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94∼1995년 한국에서 발생한 가을철 열성질환에 대한 혈청역학적 연구

        송기준,송진원,백락주,김상현,김세연,이용주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4

        목 적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금성 열성질환의 전반적인 혈청역학적 양상의 분석을 위해 1994년부터 1995년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바이러스병연구소에 급성 열성질환으로 검사가 의뢰된 환자혈청 5330건을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신증후출혈열, 라임병 및 랩토스피라증에 대한 항체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년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바이러스병 연구소에 검사가 의뢰된 환자혈청을 주 대상으로 간접면역형광항체법 검사로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신증후출혈열 및 라임병에 대한 항체양성 유무를 검색하고 macroscopic agglutination법으로 렙토스피라증에 대한 항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열성질환 환자 혈청 5330건을 대상으로 신증후출혈열,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및 라임병에 대한 항체검사 결과 쯔쯔가무시 항체양성자가 12% (640/5330)로 항체양성자 중 여자가 60%로 60대가 30% (192명)로 가장 많았다. 월별 분포에서는 대부분의 양성자 (89%)가 가을철에 집중되어 있었다. Richettsia, typhi에 대한 항체를 양성률을 보였다. 발진열 항체 양성자 중 남자가 60% (106/178)로 여자보다 많았으며, 모든 연령 층에서 발견되었으나 40∼50대가 57% (107명)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이 양성자 (44%)가 늦가을 (10∼12월)에 발생하였다. Macroscopic agglutination법에 의한 렙토스피라에 대한 항체률을 조사한 결과 1% (55/5330)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으며 연도별로는 1994년 0.4% (11/2799), 1995년 1.7% (44/2531)로 1995년에 더 많은 항체 양성자가 발생하였다. 총 55건의 렙토스피라 항체양성자 중 남자가 71% 였으며, 연령별 분포에서는 60대가 47%로 가장 많았으며 20대 이상의 성인에서만 항체가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항체양성자 (78%)가 8∼10월에 집중되었다. 라임병은 총 5330건 중 항체양성자는 없었다. 결 론 : 1994∼1995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발열성질환환자 중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신증후출혈열 및 렙토스피라증 환자가 전체의 29%였으며 항체 양성자수로는 신증후출혈열,쯔쯔가무시병,발진열,렙토스피라증 순이였다. 따라서 위의 4가지 질환이 우리나라에서 특히 가을철에 발생하는 급성열성질환의 주원이으로 생각되나 새로운 질병이나 신종 병원체에 의한 동일한 질환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지속적인 혈청역학적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rincipal acute febrile diseases reported in autumn, Korea, have been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scrub typhus, murine typhus and leptospirosis. Methods : To evaluat the seroepidemiologic patterns of acute febrile illness in Korea, sera were collected from 5330 patients from 1994 to 1995, and examined for antibodies against Hantaan virus, Orientia tsutsugamushi, Rickettsia typhi, and Borrelia burgdorferi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idy technique (IFA) and by macroscopic agglutination test for Leptospira interogans. Results : Of 640 seropositive cases against O. tsutsugamushi, 60% were female; age group of the seventh decade occupied 30%; 89% were reported during October and November. By IFA test, the seropositive rate of murine typhus was 3.5% (18/5330) with high incidence rate (44%) in the period from October to December, and mal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were mostly affected. Cases seropositive for leptospirosis consisted 1% of 5330 acute febrile illness cases. Of 55 seropositive cases, 71% were male; 71% were in their sixties; 78%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to January and males in the thirties were mostly infected. No seropositive case of Lyme disease was present.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hantavirus, O. tsutsugamushi, R. typhi, and L. interogans were the main causative agents of acute febrile diseases during autumn season in Korea.

      • 신증후출혈열 환자의 역학조사를 위한 혈청학적 분석 및 항원검출

        백락주,송기준,김상현,윤재경,김세연,송진원,이용주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5

        목 적 : 1991년 한탄바이러스 예방백신접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의 신증후출혈열 발생양상 및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비율에 대한 전반적인 역학조사와 새로운 한탄바이러스종의 존재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혈청학적 검사와 환자혈청에서의 한탄바이러스 항원검출을 시도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3년간 발생한 열성질환 환자중 신증후출혈열, 리케치아증 및 렙토스피라증 등이 의심되어 항체검사를 위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바이러스병 연구소에 의뢰된 혈청 8102건을 대상으로, 간접형광항체법, 혈구응집저지반응, 면역효소측정법 및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한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혈청역학적 연구 및 항원검색을 수행하였다. 결 과 : 간접형광항체법으로 조사한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양성율은 30대 남자에서 가장 높았으며 10월에서 1월사이에 항체 양성 건수가 집중되어 있었다. 신증후출혈열 발생 빈도가 감소하고 있었으며 특히 건조기에 집중되었던 발생양상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한탄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서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보다 3배이상 높게 관찰되었으며 서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고령층에서 더욱 빈발하였다. 한탄 및 서울 바이러스 이외의 새로운 한탄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결 론 : 전반적으로 발생빈도가 감소하였으나 현재에도 우리 나라에서는 매년 수백명의 신증후출혈열 환자가 발생하며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체이나 새로운 한탄바이러스종의 존재 가능성이 확실하여 이의 규명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Hantaan (HTN) and Seoul (SEO) viruses, harbored by the stripedfield mouse(Apodemus agrarius) and the Norway or common rat(Rattus rattus & Rattus norvegicus) respectively, were known to cause hemorrhagis fever with renal syndrome(HFRS) in Korea. We evaluated the seroepidemiologic patterns of hantaviral infection and detect the hantaviral antigens from patients sera. Methods : total 8,102 HFRS patients' sera were collected from 1994 to 1996, and examined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IFA), h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HI), IgM em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IgM-ELISA) and neste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Results : The seropositive rate against hantaviral antigen was 12.0%(973/8102) with the high incidence rate(68.3%) in the period from October to January, and males in the thirties were mostly affected. HTN viral infections were detected 3.5 and 5.2 times higher than SEO viral infections by HI and RT-PCR, respectively, and patients in the fifties were the mostly affected age-group in SEO viral infections. IgM antibodies were detected in the 717 sera of the 905 IFA positive cases(79.2%), and the antigen detection rate of HTN and SEO viruses was 7.7%(56/724). Interestingly, 40 sera(4.4%), showed higher antibody titers against the puumala(PUU) virus than those against HTN or SEP virus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HTN and SEO viruses were the main causative agents of HFRS in Korea, and also suggested the possible presence of PUU-related hantaviral infections.

      • SCOPUSKCI등재

        성인 환자의 전신 마취동안 사용되는 O2 와 N2O 의 적정유량

        박대팔,구본업,서일숙,박세훈,박준만,손기석,김세연,이병용 대한마취과학회 199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1 No.2

        Background: During adult general anesthesia, we used 3~5 L/min of fresh gas flow(FGF) but low FGF are employed, the amount of anesthetic consumption and air contamination can be reduc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inimal appropriate inflow rate of oxygen and nitrous oxide during semiclosed circle technique. Methods: We selected 40 patients, ASA group l or 2, scheduled for elective, non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semiclosed circle system.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50% oxygen, nitrous oxide and enflurane, controlled ventilation was used; rate of 10/min, tidal volume of 10 ml/kg. After induction and vital signs stabilized, FGF was changed to 4 L, 3 L, 2 L and 1L/min at interva1 of 30 minutes. We observed mean airway pressure and arterial blood gas tensions. Results: The changes of mean airway pressure did not correlated with fresh gas inflow rate. In arterial blood gas analysis, PaO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significantly according to decreasing fresh gas inflow rate(p$lt;0.01) but there were no clinical hypoxemia in all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PaCO₂ and base excess. Conclusions: We consider that FGF of 1-2 L/min is appropriate during adult general anesthesia because of economic and ecological advantages. Also, we consider low flow technique with below 1L/min can be used safely and effectively under proper gas monitoring such as oxygen analyzer capnometer.

      • 1995년 및 1996년에 국내에서 분리된 풍진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및 계통분석

        백락주,송기준,정재희,정희진,김우주,김민자,송진원,김세연,이용주,박광숙,강주일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3

        목적: 유소아에서 경한 발진성 질환을 일으키는 풍진바이러스는 토가바이러스과에 속하며 일회 감염으로 평생면역을 획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풍진예방접종이 시행된 이후 선진국의 경우 풍진 호발 연령이 유소아에서 청소년 층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1995년에서 1996년도 사이에 발생한 풍진대유행기에 주로 중 고등학생층에서 풍진이 호발하였다. 주기적인 풍진의 유행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는 최근까지도 풍진 바이러스의 분리나 유전정보에 대한 연구보고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에서 1996년에 발생한 풍진 환자의 인후분비물을 채취하여 세포배양법으로 풍진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였으며, 분리된 풍진바이러스의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증폭한 후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 분석하였다. 결과: 세포배양을 통해 7주의 풍진바이러스를 분리하였으며 국내 풍진바이러스주들은 염기서열상 92.5-100%의 동질성을 나타내었고, 백신주 RA27/3과는 2.2-6.4%의 차이를 보였다. 아미노산서열상에서는 국내에서 분리된 풍진바이러스주들은 98.3-100%의 동질성을 나타내었고, 백신주 RA27/3과는 1.7%이하의 차이를 보였다. 계통분석 결과 국내에서는 최소한 2가지 유형의 풍진바이러스가 유행하였다. 결론: 국내에서 유행한 풍진바이러스주의 E1 gene 부위를 기존에 알려진 외국의 분리주나 백신주와 비교시 의미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Vero E6 세포는 풍진바이러스의 분리배양에 유용함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풍진바이러스의 지속적인 변이 양상이 관찰된 사실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풍진바이러스 감시체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age group of Rubella virus (RV) infection in most industrialized nations located in temperate climates, has in large part shifted from children to young adults since introducing of the RV vaccine in late 1960's. Interestingly, there were rubella outbreakes from 1995 through 1996 in Korea,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ly affected during that time. Although continued of genetic information of rubella viruses circulated in Korea. Method: To isolate RV circulated in Korea, and determin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V strains in Korea and RV isolates from other geographic regions including vaccine strains, we inoculated nasopharyngeal secretion samples from clinically diagnosed rubella patients to Vero E6 cells, and sequenced corresponding region of the 5' EL encoding genomic regions of RV isolates. Result: Seven RV strains isolated from Korea showed 93.6 to 97.8% and 98.3 to 100% sequence homologies in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compared to RA27/3 vaccine strain. Phylogenetic tree based on 359bp of RV indicated that at least two different groups of RV circulated in Korea during 1995-1996 epidemics. Conclusion: Our data suggested that mutant RV strains were possiblely not the cause of recent rubella epidemic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