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콜과 각막상피절삭기를 이용한 각막 상피층 분리 및 창상치유 정도 비교

        김성철,김웅재,정성근,Sung Chul Kim,Wung Jae Kim,Sung Kun Chung 대한안과학회 2006 대한안과학회지 Vol.47 No.8

        Purpose: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is a refractive surgery technique in which the cornea is covered with the epithelial flap after keratectomy. However, there have been reports of tissue damage by the alcohol utilized in this procedure while preparing the epithelial flap, which has led to novel methods. One of these is the mechanical designing of the epithelial flap named epipolis laser 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Epi-LASIK). This study evaluates the histologic features and wound healing process of the corneal flap using Epi-Tome, which is the epithelial cutter of the newly introduced Epi-Lasik. Methods: Twenty-four eyes of 12 dog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In one group (n=12), 20% alcohol was used and, in the other group (n=12), Epi-Tome (Gebauer, Germany) was used to make a corneal flap. The size change of a fluorescein-stained epithelial defect was followed postoperatively at 6, 12, 24, and 36 hours. Results: The maximum decrease in defect size were observed at 0 to 6 hours in the Epi-Tome group, and from 6 to 12 hours in the alcohol group; the value were 10.01±5.32 mm2 and 9.23±4.75 mm2 respectively. Histologic review revealed that there was less tissue damage and smoother cut edge in the Epi-Tome group compared to the alcohol group, and the adhesion between stroma and epithelium was faster in the Epi-Tome group. Conclusions: Mechanically detached corneal flaps had favorable chances of survival such that re-epithelialization occurred early in the postoperative phase. A few epithelial fragments at a corneal section plane prevent corneal opacification and minimize inflammatory reaction, thus reducing postoperative pain.

      • KCI등재

        GIS를 이용한 개발지역 주변 하늘다람쥐 잠재서식지 평가

        김성철,전영신,임춘우,정철운,Sung Chul Kim,Young Shin Jeon,Chun Woo Lim,Chul Un Chung 한국환경과학회 202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2 No.5

        In this study, 12 environmental factor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habitat of Pteromys volans living around some development areas. The analyzed value ranged from 0 to 20.1, and the area with a score of 10 or less was analyzed to have a low possibility of inhabiting Pteromys volans. To verify the analyzed results,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areas with 10 or more scores, and traces of habitat of Pteromys volans were confirmed in areas with 16 or more scores. All the areas with an evaluation score of 16 or higher showed high crown density and age class. However, despite the high crown density and age class, the evaluation score in some areas was low owing to the influence of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n evaluating Pteromys volans habitats,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and complex criteria suitable for field conditions rather than applying uniform and fragmentary environmental factors only.

      • Low-resistance ohmic contacts to p-$Hg_{0.7}$$Cd_{0.3}$Te

        김관,정한,김성철,이희철,김충기,김홍국,김재묵,Kim, Kwan,Chung, Han,Kim, Sung-Chul,Lee, Hee-Chul,Kim, Choong-Ki,Kim, Hong-Kook,Kim, Jae-Mook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1994 전자공학회논문지-A Vol.31 No.10

        Ohmic contacts between Au and p-HgHg_{0.7}Cd_{0.3}Te$ with low specific contact resistance have been obtained. The contact region of the wafer is first pre-heated for 5 seconds in a rapid thermal processing equipment. The temperature reaches a maximum value of about 200$^{\circ}C$ at the end of the 5 seconds. Next, a thin Au film is formed on the contact region by immersing the sample in AuCl$_{3}$ solution. the sample is then post-annealed in the same condition as the pre-heating after Pb/In pad metals are deposited on the electroless Au contacts. The specific contact resistance measured by transmission line model is 5${\times}10^{-3}{\Omega}cm^{2}$ at 80K. RBS and differential Hall measurement data suggest that the above low resistance ohmic contact is ascribed to surface traps and increased gold diffusion rate.

      • KCI등재

        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집박쥐 암컷의 번식단계에 따른 행동권 분석

        정철운 ( Chul Un Chung ),한상훈 ( Sang Hoon Han ),김성대 ( Sung Dae Kim ),임춘우 ( Chun Woo Lim ),김성철 ( Sung Chul Kim ),김철영 ( Chul Young Kim ),이화진 ( Hwa Jin Lee ),권용호 ( Yong Ho Kwon ),김영채 ( Young Chae Kim ),이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집박쥐의 번식단계에 따른 행동권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임신기, 수유기, 수유 후기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3개체씩 총 9개체를 대상으로 원격무선추적을 실시하였다. 원격무선추적은 0.38g 발신기와 R2000 수신기 그리고 3소자 안테나를 이용하였으며, 박쥐의 포획은 double-stacked mist net와 harp-trap을 이용하여 포획하였다. 행동권 분석에는 GIS용 SHP File과 ArcGIS 3.3(ESRI Inc.) Animal Movement Extension 2.0을 이용하였으며, Kernel Home Range Method와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번식단계에 따른 암컷 집박쥐의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임신기의 행동권은 MCP 100% 13.46±1.84ha, MCP 95% 12.28±2.15ha, KHR 50% 3.00±0.71ha로 나타났으며, 수유기의 행동권은 MCP 100% 8.13±0.23ha, MCP 95% 7.73±0.63ha, KHR 50%는 1.84±1.05ha로 조사되었다. 수유 후의 행동권은 MCP 100% 125.58±97.77ha, MCP 95% 123.89±97.73ha, KHR 50% 28.61±26.78ha로 분석되어 집박쥐의 행동권은 번식단계에 따라 MCP 100%, MCP 95%, KHR 50%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유 후기의 행동권이 가장 크고 수유기의 행동권이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home ranges depending on the reproductive stage of Pipistrellus abramus, radio-tracking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9 individuals, 3 individuals each, by dividing stages into a pregnancy stage, lactation stage, and post-lactation stage from May to August 2009. For radio-telemetry, 0.38g transmitters, R2000 receivers and 3-element Yagi antennas were used. Pipistrellus abramus were captured using a double-stacked mist net and a harp-trap. Analysis of home ranges used a SHP File and ArcGIS 3.3 for GIS, and used a Kernel Home Range Method(KHR) and a Minimum Convex Polygon(MCP) Method for analysis. Home ranges at the pregnancy stage were MCP 100% 13.46±1.84ha, MCP 95% 12.28±2.15ha, KHR 50% 3.00±0.71ha, and home ranges at the lactation stage were MCP 100% 8.13±0.23ha, MCP 95% 7.73±0.63ha, KHR 50%1.84±1.05ha. Home ranges at the post-lactation stage were MCP 100% 125.58 ±97.77ha, MCP 95% 123.89±97.73ha, KHR 50% 28.61±26.78ha. As a result, home ranges of pipistrellus abramu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MCP 100%, MCP 95%, KHR 50% depending on reproductive stages, being largest in the post-lactation stage and smallest in the lactation stage.

      • SCOPUSKCI등재
      • 효과적인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위한 개발비율에 관한 연구

        김성철(Sung Cheol Kim),이형진(Hyung Jin Lee),정춘병(Choon Byeong Chung) 대한전기학회 201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전력산업은 새로운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통신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하여 전력소비의 형태는 다양화되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전력 소비와 전력 생산의 증가폭의 격차는 점차 심화되어 가고 있다. 전력생산은 제한된 조건에서 증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소비에 대한 공급 부족은 더욱 심화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력산업은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통한 합리적인 전력산업의 운영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과거 스마트 그리드는 새로운 기술 도전에 대한 선택조건 이었지만, 현재의 스마트 그리드 구축은 산업기반의 생존성에 대한 필수조건이 되었다. 스마트 그리드의 효과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해서는 전력 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한 역할에 부합하는 기능이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기능에 맞는 발전의 균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전력산업에서 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위한 노력은 2000년대 초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론이 도입된 이후 지속되어왔다. 현재 스마트 그리드시스템은 상당부분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지만 효과적으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효과적인 구축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전력계통에 대한 접근방법과 관련 기술 발전의 균형성에 대한 모형과 정량화된 지표를 제시 하고자 한다.

      • GPS tag를 이용한 문둥이박쥐의 여름철 행동권 및 주간 휴식지 환경 분석

        김성철 ( Sung-chul Kim ),정철운 ( Chul-un Chung ),전영신 ( Young-shin Jeon ),임춘우 ( Chun-woo Lim ),한상훈 ( Sang-hoon H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는 유럽에서 아시아 지역그리고 우리나라의 섬 지방을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는 종으로 국내 서식종 가운데 대형종에 속한다. 최근 박쥐의 생태학적 중요성에 인식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박쥐의 생태연구와 서식지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박쥐의 보호를 위해서는 생태학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연구된 자료를 활용한 서식지 보호와 관리가 연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박쥐의 생태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문둥이박쥐 또한 단편적인 연구결과만이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관찰 기록이 드물고 생태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문둥이박쥐를 대상으로 행동권과 주간휴식지의 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종 및서식지 보호를 위한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박쥐의 포획은 울산광역시와 안동시에 위치한 문둥이박쥐의 야간 휴식지에서 이루어졌다. 포획이 이루어진 지점의 환경은 교량으로, 주변으로는 경작지 및 민가 그리고 산림이 조성되어 있다. 지역별로 각 3개체씩 총 6개체를 포획하여 견갑골 중앙에 GPS tag(Pinpoint-50, Lotek Wireless, Newmarket, ON, Canada)를 부착하였으며, 성별, 무게, 전완장, 번식상태 등을 기록한 후 현장에서 재방사 하였다. 방사된 개체는 주 1회 재포획을 시도하였으며, 포획된 개체는 현장에서 자료 다운로드 및 충전 후 재방사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6월 1일 부터 8월 20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GPS tag가 부착된 연구대상 개체 가운데 2개체(울산1, 경주 1)에서 총 70개의 분석 가능한 위치좌표를 확보하였다. 분석은 2개체에서 확보된 위치좌표에 대해서 ArcGIS(ESRI Inc. U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MCP (minimum convex polygon)를 이용한 최대 행동범위와 KHR (Kernel home range)을 이용한 핵심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문둥이박쥐의 여름철 행동권(MCP 100%)은 각각 0.22㎢, 2.11㎢였다. KHR 50%에 근거한 주요 채식지역의 범위는 0.02㎢, 0.03㎢였으며, 채식지 환경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핵심지역의 환경특성은 침엽수림과 혼효림으로 구성된 산림 및 경작지로 구분되었다. 박쥐의 출현은 일몰후 1시간 이내에 이루어졌으며, 활동 종료 후 주간 휴식지로의 귀소 시간은 03시에서 05시 사이로 나타났다. 주간휴식지로부터 일일 최대 원거리는 3.6㎞지점이었으며, 채식지 이용시간은 21시에서 23시 그리고 00시에서 03시 사이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간 휴식지의 환경은 2개체 모두 계곡부와 인접한 산림(침엽림) 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채식지와의 거리는 각각약 300m 와 3,400m로 확인되었다. 문둥이박쥐는 주·야간휴식지로 빌딩, 주택, 교량, 산림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결과에서는 산림지역만 이용되었으며, 주간 휴식지의 세부 위치는 각각 산림 가장자리 주변과 산림중앙지역이었으며, 향은 남동향 및 서향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여름철은 문둥이박쥐의 번식기로 암컷의 경우 특정 야간 휴식지로 귀소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서식지 이용 및 주간휴식지 환경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며, 본 결과는 향후 문둥이박쥐의 생태연구 및 서식지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다 세부적인 서식지 이용패턴 및 이동경로 파악을 위해서는 동면처의 환경특성 파악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GPS tag를 이용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건설프로젝트의 파트너링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병화,김성철,Chung Byoung-Hwa,Kim Sung-Chirl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1

        효과적인 리스크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건설회사의 리스크관리 실태를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리스크인자를 규명하고 그 제어 및 대응책으로 개선된 건설 계약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선된 계약방식의 파트너링은 건설프로젝트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파트너링은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계약당사자들의 갈등해소, 능률적이고 긴밀한 관계유지, 신뢰하는 분위기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파트너링에 의해 건설계약을 체결한다면 리스크인자를 경감하게 되어 공기단축, 품질향상, 공사비절감,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는 건설프로젝트의 계약방식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ed the risk identification and the risk respons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executed by mean of questionnaires/interview, significant risk factors are identified for construction contracts. The purpose of study is to improve the contract method for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partnering is increasingly being used on construction project. Partnering involves the parties to a construction project working together in an environment of trust and openness to realize the project efficiently and conflict. Partnering can bring significant benefits, including fewer adversarial relationships and increased end-customer satisfaction,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all parties involved in a project strive for its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