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김서현(Kim, Seo-Hyun), 규태(Kim, Gyu-Tae), 영근(Kim, Youngke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4 교육치료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한 대학생 총 435명 중 63명을 제외한 372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주요 변인들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이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 사이에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정서표현양가성은 내현적 자기애, 관계적 공격성의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곤란은 내현적 자기애, 관계적 공격성의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인을 고려했을 때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완전 이중매개 모형이 지지 되었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대학생의 상담적 개입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disorder on emotional express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data of 372 participant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s the main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regulation disorder partially mediated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Third, in the case of considering the mediating variable, the influence o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decreased. Still,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upporting the complete double mediating model.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stat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릿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김서현 ( Kim Seo Hyun ),박은아 ( Park Eun Ah ),천성문 ( Cheon Seong M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그릿과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문제해결중심 대처, 지지추구중심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상도, 전라도, 서울, 경기도 소재 유아교사 377명이며, 검사를 위해유아 교사용 그릿척도, 심리적 소진척도, 스트레스 대처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문제해결중심 대처와 지지추구중심 대처는 정적 상관이었고, 그릿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상관이었다. 둘째, 그릿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 및 지지추구중심 대처는 모두 부분 매개효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problem solving focu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focused stress coping in relations between grit and burnout of infan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1 infant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s, Gyeongsang Provinces, and province Jeju and they were asked about grit, burnout, and stress coping with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athered data so as to find out relevance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 by use of SPSS 21.0. The pri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infant teachers’ grit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ed with problem solving focu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focused stress coping, while it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burnout. Second, it is found that problem solving focu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focused stress coping partly mediate the effect of the teachers’ grit on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서현 ( Seo Hyun Kim ),정은숙 ( En Sook Jung ),명소연 ( So Yeon Myung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lf-direc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work experience and job-see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wo waves of data, 4th wave(2nd year of high school) in 2006 and 6th wave(mostly 1st year of university) in 2008,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work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n both wave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derated by self-directedness in the 6th year survey.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be increased when adolescents had stronger self-directedness. To lead the work experience of adolescents to the enhancement of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t is needed that the innovation of career education and policies for adolescents to develop their self-directed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adolescents` job readiness and self-initiative.

      • KCI등재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김서현(Seo Hyun Kim),주현정(hyun-Jung Ju),방울(Bang Woo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들이 영아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헤 제공하는 실제적인 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심층적인 생각과 경험을 들어 봄으로써 주제와 관련된 복합적이고 자세한 현상을 이해 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S시와 C시의 교사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1차 소집단 면담, 2차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가 자료가 필요한 경우 전화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스스로 의사를 표현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민감하게 영아의 의사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 영아의 의사를 대변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영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에 대해 일상생활 중심으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영아의 참여권 실현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힘든 상황과 구체적인 지식 및 경험 부족, 영아 발달 등으로 인해 영아 참여권 실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모두 함께하는 인식 개선 및 영아의 개별 요구를 더 반영할 수 있는 환경, 계속 더 반성해 볼 수 있는 교사 교육의 기회 등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이야기하였다. 결론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맞춤의 방식으로 영아에 참여권을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요구를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보육 현장의 영아 참여권 지원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바탕으로 영아 참여권 보장 환경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day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and to identify challenges and needs in the proces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12 childcare teachers from S and C c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study involved conducting a first group interview and a second individual interview in a semi-structured format, as well as conducting phone interviews when additional information was needed. Results Childcare teachers who work with toddl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ress themselves and make decisions, and trie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They also acted as representatives of the toddlers wishes to others and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issues that affect the children. However, they faced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due to a lack of spec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developmental limitations of young children, and challenging circumstances. They discussed specific improvement needs for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such as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better reflects individual needs and improving teac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ontinued reflec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s that child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in a child-centered way. However,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have clear demands for improvement. It is crucial to continuously improve the childcare environment based on practical information related to supporting toddlers’participation rights ,to ensur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

        김서현(Kim, Seo Hyun),임혜림(Yim, Hye Rim),명소연(Myung, So Yeo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변화된 대학생 당사자들의 문화를 민감하게 반영해 삶의 질 증진을 도울 기초적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대학생 집단의 행복지원 목적의 사회복지학 유관 학문 간 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입시 성공 사례가 아니어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대학생 총 5명과 종단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olaizzi의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6개의 주제와 함께 “도망칠 곳을 먼저 찾음”, “시작부터 잘못된 재도전”, “자괴감에 억눌린 채 복학함”, “반수 트라우마로 멈춘 성장”, “쓰라림으로 깊어진 내 인생”이라는 5개의 범주를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반수 증가 현상 및 한국의 대학 서열화 문제에 관한 재고찰과 더불어 대학생 시기의 건강한 발달과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논의점을 제공하였다.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ill not only serve as a basic task for social welfare experts to help improve quality of life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changed college students, but will als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related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longitudinally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hich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since it was not a successful case in the past. The data collected were explored with Colaizzi"s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with a total of 16 topics, five categories, including “looking for an escape first”, “a wrong re-challenge from the beginning”, “return to school suppressed by shame”, “stalled growth due to bansu trauma”, and “my life deepened by bitterness” were discovere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ovided discussion points to support the healthy performance of development tasks during university years, along with the reconsideration of the increasing bansu phenomenon and the university hierarchization issue in South Korea.

      • 메디컬리조트의 치유환경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서현(Kim, Seo-Hyun),윤은경(Yun, Yean-K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has brought about urban crowding & diversification, thus giving a lot of advantages to modern people, but due to the ever deepening free competition, their mental stress becomes heavy, and harmful environmental factors consequent on urbanization are threatening modern people’s health in reality. Accordingly, with the public concern for health getting higher, the motivation of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a medical resort for rest, recreation and health maintenance, etc. has increased, and as a medical tour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 due to people’s lifestyle putting emphasis on health, a medical resort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for treatment has come to be required.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divide a medical resort into treatment space, care space, experience space and lodging space according to its function, and to define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s spatiality, sentience, morphologic property, and placeness .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tus of domestic & overseas resorts on the basis of this, it was found that a medical resort is general medical service facility, such as treatment of diseases, diet, health examination, beauty treatment, and stress management, etc. In addition, a medical resort, as a composite medical recreational facility, is in need of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which can maximize in-space heal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erceive the necessity of a medical resort in preparation for stress and harmful environment occurring as modern society is more in progress like this, and healing environment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can maximize treatment in the space together with diverse space compositions, are acutely required in reality; in this context, there should be lots of researches on this issue for the time to come.

      • KCI등재

        남성 독거노인의 협동조합 공동체 활동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서현(Kim, Seo-Hyu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독거노인이 협동조합 공동체를 통해 경험한 노년기 사회적 활동이 갖는 의미와 그에 따른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다. 연구는 Giorgi(2009)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협동조합 공동체에서 활동 중인 남성 독거노인 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 수행 후, 원자료를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협동조합 공동체 활동을 통해 세상과 단절된 삶에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였으며, 소통을 통해 성숙한 주체로 거듭났다. 이는 타인과 함께 공동의 활동을 함과 동시에 가치 지향적 사회적 역할을 확보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활동이 가능한 것은 친밀한 공간을 함께 점유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협동조합 공동체 활동을 통해 자신과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며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은 고독한 시간을 협동조합 공동체를 통해 위로와 응원을 받았으며, 이는 서로에게서 발견하는 자기 가능성과 가치 있게 삶을 마무리하려는 의지가 바탕이 됨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기 존재 확인, 가치 있게 늙어가는 노년, 노인 중심의 지역사회기반 협동조합 마련에 관한 논의와 제언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cooperative community participations of elderly men living alone.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proposed by Giorgi(2009). The researcher selected eight elderly men as paticipants who are active member of cooperative communit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d then organized and analyzed the raw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found new hope from the life disconnected from the world through activities of cooperative community and they became mature agent throught communication. This was related to working together in communal activities and also to establishing a value-oriented social role for themselves. These activities were possible because they shared an intimate space together. We found that they could establish new identities by perceiving their own and each other’s existence through cooperative community participations. They were comforted and encouraged by the cooperative community for their lonely times, and we can see that this was based on the self-potential they find in each other and their willingness to end their lives meaningfu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on aging meaningfully and building social cooperatives that are elderly centered and based on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