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서의 CISD와 CISM 집단 경험보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명소연(Myung, So-Yeon),이동훈(Lee, Dong-H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 이후 집단 경험보고로 활용된 CISD와 CISM의 내용을 소개하고 심리적응급처치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쟁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CISD와 CISM의 형성배경 및 발전과정을 알아본 후, CISD와 CISM의 주요내용을 확인하였다. CISD와 CISM이 외상사건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 타당한지에 대한 효과성 쟁점은 적용 대상과 개입 시기, 효과성 측정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와 절차 준수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CISD와 CISM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CISD와 CISM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증진 모델에 입각하여, 강점 기반 접근 방식으로 회복 탄력성을 증진하는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상 사건에서 동료의 죽음 또는 피해자의 죽음과 같이 사망을 목격할 때 애도 반응을 고려한 탄력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논의를 통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에 필요한 요소들을 외상 사건의 특성 및 조직 환경의 맥락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ISD and CISM used as a group debriefing after traumatic event were introduced, and issu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irst aid were examined. First, by reviewing research and literature,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CISD and CISM group debriefing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main contents of CISD and CISM group debriefing were confirmed. Effectiveness issues regarding whether CISD and CISM are appropriate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were divided into application targets, intervention timing, methodological issues regard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and compliance with procedures. Based on this, CISD and CISM searched for ways to effectively utilize in the field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for the CISD and CISM to be used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interventions to promote resilience through a strengths-based approach based on the mental health promotion model are need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 flexible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urning response is necessary when witnessing death, such as the death of a colleague or the death of a victim in traumatic events. Besides, through the discussion, the elements necessary for CISD and CISM group debriefing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were additionally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umatic event and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대학교 내 교육대학원 상담 전공 지원 및 입학 동기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명소연 ( Myung Soyoen ),최준섭 ( Choi Joonsup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상담 전공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대학교 내에 설치된 교육대학원 입학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입학 경험이 담긴 경험보고서 및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207개의 핵심개념, 33개의 범주,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는데, C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 전공 학생들의 입학 경험은 크게 대학원 진학 동기, 대학원 진학 결정과정에서의 고민/갈등, 교육대학원 내 교육대학원 선택 동기, 상담 전공 선택 동기, 전공 선택과정에서의 고민/갈등, 졸업 후 기대하는 나의 모습의 6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입학 및 상담 전공 선택의 전과정을 드러냄으로써 해당 경험에 내포된 의미와 시사점을 밝혔으며 더불어 초등학교 현장 및 교직문화에 기반한 교사의 직무 경험에 대한 이해, 상담 전공이 초등학교 현장에 기여하는 학문적 의의, 교육대학원생 모집/운영 및 상담 전공 커리큘럼의 내실화와 관련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stablished with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counseling major.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report and interview data contain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07 core concepts, 33 categories, and 6 domains(Motivation for going to graduate school, Concerns/Conflicts in the Graduate School Admissions Decision Process, Motives for choos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th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otives for choosing a major in counseling, Concerns/Conflicts in the Major Selection Process, What I look forward to after graduation) were derived.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were revealed by revealing the entir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a counseling major. In addition, we drew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job experience of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nd teaching culture,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counseling major contributing to the elementary school field, the substantial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counseling major, recruiting graduate students and opera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KCI등재

        입시반복과 전공변경으로 재진학한 대학생들의 경험 : 학력사회에서 꿈에 닿는 방법

        김서현 ( Kim Seohyun ),임혜림 ( Yim Hyerim ),명소연 ( Myung Soyeon ),정익중 ( Chung Ick-joo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최근 한국에서는 어렵게 입학한 대학교를 중도 탈락하고, 대학입학시험을 거쳐 대학을 바꾸고 전공을 다시 찾는 이들이 많다. 이는 어느새 학력사회인 한국에서 대학생들이 고유한 꿈에 닿는 방법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시반복 후 새로운 대학교에 진학하여 전공을 바꾼 대학생들의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탐구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대학생 5명과 개별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에서는 먼저 사례 내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각 사례에서의 이슈들을 비교하면서 사례 간 분석을 하여 21개의 하위범주 및 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참여자들은 ‘마음껏 꿈꾸지 못했던 어린 날’, ‘방향이 어긋난 채 잠시 머무른 자리’, ‘탈 많은 선택을 격려해준 사람들’, ‘잠시 키를 낮추며 기다리는 미래’, ‘지나온 날보다 분주해진 마음’과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모두 관통하면서 ‘나이테에 겹겹이 더하는 꿈’이라는 중심주제가 드러남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학력·학벌주의에 대한 성찰을 비롯하여 대학생들이 고유한 꿈과 다양한 선택으로 건강한 발달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Recently, in Korea, a lot of students dropped out of the college and they managed to look for a new major with a change of college, tak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gain. This has already become a wa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o reach their own dreams in credenti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ho re-entered a new college and changed their majors after repeated examination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Five colleg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is study conducted a cross-case analysis, then comparing the issues of each case revealed in the within-case analysis, and found 21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The cross-case analysis found out that w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were ‘young days when I could not dream enough’, ‘the place I stayed in the wrong direction for a moment’, ‘people who always supported my wrong choices’, ‘awaiting the future with lowering my expectations for a while’ and ‘busier mind than the past days’. Furthermore, the experience across all participants was revealed as the main topic of ‘dreams added in layers on the growth ring’.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at college students could continue the healthy development with unique dreams and various choices, including a reflection on Korea's credentialism and elite university favoritism.

      • KCI등재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 : 도돌이표를 지나도 반복되는 길

        김서현 ( Kim Seo Hyun ),임혜림 ( Yim Hye Rim ),명소연 ( Myung So Yeo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반수(半修)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에 대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7명의 후기 청소년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경험의 본질적 의미가 생생하게 드러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Giorgi의 방식으로 분석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를 도출한 결과, 반수로 대학에 진학한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경험은 19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체계화되었고, “적성보다는 성적이 중요했던 고교시절”, “떠밀리듯 진학하여 꿈과 멀어진 발걸음”, “득이 되기도 독이 되기도 했던 반수생활”, “반수 성공에도 도달하지 못한 장래희망”의 4개의 상위 구성요소로 구조화되었다. 중심주제는 “도돌이표를 지나도 반복되는 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반수로 한 번 더 입시를 치렀고 다시 대학에 진학하는 좁은 길을 돌아왔지만, 여전히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기준에 타협하며 진로발달을 하는 모습이었다. 본 연구는 반수로 대학에 다시 진학한 이들의 진로발달 경험이 후기 청소년기 복지와 행복에 어떤 심층적 의미가 있는지 탐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끝으로, 반수생 증가 상황에 대한 각성, 청소년기 진로발달 및 삶의 질 증진 도모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as known as Bansu in Korean), in depth, apply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e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seven adolescents as research participants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their experience, vividly. The data were analyzed by Giorgi`s method to draw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of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in late adolescence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after taking a semester off was systematized into 19 sub-categories and structured into four main categories: “high school years in which academic record was more important than aptitude”, “the step away from the dream, being forced to proceed to college”, “the time of study to take the exam again, which was an advantage and disadvantage at the same time” and “the wish unfulfilled even with the success of entering a different university.” It turned out that the main topic was “the repeated way even after passing the repeat sign.” They took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once again and came back to the narrow way to enter a prestigious university, but they still compromised the standard made by the older gener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late adolescents` welfare and happiness in that it explored the in-depth meanings of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youth who entered a different university by taking the CSAT again after taking a semester off. Lastly, based upon the situati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take the CSAT again, this study suggested better measures for career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and the promotion of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이동훈(Lee DongHun),정보영(Jeong BoYoung),강은진(Kang EunJin),명소연(Myung SoY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미국 학교위기대응체계 및 학교기반 위기대응팀과 위기개입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의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 구축 및 개선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한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학교기반 위기대응을 위한 기구와 재정이 법으로 명시되어있어서, 위기발생시 지역, 구, 학교의 역할과 책임소재가 명확하고, 단일한 위기관리 명령체계 구축으로 인한 혼선을 방지한다. 둘째, 학교위기사건 발생 시 학교는 사건지휘체계에 따라 전문위기대응에 관한 역할이 분담되고 위기대응팀과의 협력을 통해 사회 각 영역 간에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조정한다. 셋째, 위기대응팀은 위기사건에 지치거나 압도당하지 않도록 팀 구성에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소진을 예방하고 있으며, 학교와 위기대응팀의 협력을 통해 학교자체의 위기역량강화에 초점을 둔다. 넷째,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은 예방단계에서 장기화된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위기개입을 실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의 구축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school crisis response system and intervention are examined in the U.S. by reviewing Crisis Response Team(CRT) to give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nd improving the school crisis response system in Korea.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n the school - based crisis response system about the U.S. and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based CRT in the U.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inancial support for school - based crisis response has been stated by law so tha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region, district, school have been clearly defined. Second, in the event of a school crisis, the school have been shared the role of professional crisis response according to the Incident Command System and coordinates communication smoothly between each area of society through cooperation with CRT. Third, CRT prevents burnout by showing flexibility in team composition so that CRT members are not tired or overwhelmed by a crisis event, and focuses on strengthening the crisis capability of the school itself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CRT. Fourth, the school-based CRT in the U.S. conducts a step by step crisis intervention from prevention to prolonged post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school-based crisis response system in Korea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서현 ( Seo Hyun Kim ),정은숙 ( En Sook Jung ),명소연 ( So Yeon Myung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경험과 구직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구직효능감 증진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2패널 4차년도(고등학교 2학년)와 6차년도 자료(대부분 대학교 1학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구직효능감은 직업경험 중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차년도에서 청소년의 직업경험 중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에서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 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의 상승이라는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도록 하기 위해서 청소년들이 자기주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의 변화 및 제도적 개선을 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진로설계 및 직업준비 과정에 있는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lf-direc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work experience and job-see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wo waves of data, 4th wave(2nd year of high school) in 2006 and 6th wave(mostly 1st year of university) in 2008,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work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n both wave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derated by self-directedness in the 6th year survey.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be increased when adolescents had stronger self-directedness. To lead the work experience of adolescents to the enhancement of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t is needed that the innovation of career education and policies for adolescents to develop their self-directed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adolescents` job readiness and self-initiative.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

        김서현(Kim, Seo Hyun),임혜림(Yim, Hye Rim),명소연(Myung, So Yeo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변화된 대학생 당사자들의 문화를 민감하게 반영해 삶의 질 증진을 도울 기초적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대학생 집단의 행복지원 목적의 사회복지학 유관 학문 간 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입시 성공 사례가 아니어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대학생 총 5명과 종단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olaizzi의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6개의 주제와 함께 “도망칠 곳을 먼저 찾음”, “시작부터 잘못된 재도전”, “자괴감에 억눌린 채 복학함”, “반수 트라우마로 멈춘 성장”, “쓰라림으로 깊어진 내 인생”이라는 5개의 범주를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반수 증가 현상 및 한국의 대학 서열화 문제에 관한 재고찰과 더불어 대학생 시기의 건강한 발달과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논의점을 제공하였다.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ill not only serve as a basic task for social welfare experts to help improve quality of life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changed college students, but will als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related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longitudinally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hich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since it was not a successful case in the past. The data collected were explored with Colaizzi"s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with a total of 16 topics, five categories, including “looking for an escape first”, “a wrong re-challenge from the beginning”, “return to school suppressed by shame”, “stalled growth due to bansu trauma”, and “my life deepened by bitterness” were discovere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ovided discussion points to support the healthy performance of development tasks during university years, along with the reconsideration of the increasing bansu phenomenon and the university hierarchization issue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