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vidone-Iodine과 Chlorhexidine의 적용시간에 따른 타액 내 세균수의 비교

        김서윤(Seo-Yoon Kim),노기표(Ki-Pyo Noh),김학균(Hak-Kyun Kim),김수관(Su-Gwan Kim),국중기(Joong-Ki Kook),박순낭(Soon-Nang Park),김민정(Min-Jung Kim),김재진(Jae-Jin Kim),김은석(Eun-Seok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9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5 No.5

        Objective: It is important to sterilize oral cavity with antibacterial agent before surgery for preventing infec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reduction of salivary bacterial counts according to applied time when povidone-iodine (PVI) and chlorhexidine gluconate(CHX), most broadly used materials in dentistry, were applied intraorally before the surgery. Methods: Six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PVI and CHX were applied in each group for 1, 2 and 3 minutes, respectively. Then salivary microbacteria tak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aterials were cultured using 5% sheep blood agar plate.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tion of microbacteria in both PVI and CHX and the effect did not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ime. When applied for a minute, PVI showed somewhat higher reduction rate than CHX, but in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duction rate. Conclusion: We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erilization ability of PVI and CHX in all groups in this study. Therefore, both agents would get sufficient effect when applied for a minute.

      • KCI등재

        한국인에서 혈청 페리틴 농도와 흡연 및 폐기능과의 관계

        김서윤 ( Seo Yun Kim ),이수환 ( Su Hwan Lee ),이인선 ( In Seon Lee ),김샛별 ( Sae Byol Kim ),문찬수 ( Chan Soo Moon ),정성모 ( Sung Mo Jung ),김세규 ( Se Kyu Kim ),김영삼 ( Young Sam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2 No.2

        Background: Cigarette smoke induced release of iron could alter iron metabolism in the lungs of chronic smokers and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the total oxidative burden on the lungs of smokers. In previous studies, ferritin level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smokers were eleva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ferritin concentration, smoking and lung function in Korean people.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acquired in the second year (2008) of the For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at was conducted from 2007 to 2009. The analysis included 2,244 subjects who were older than 20 years and had complete data from both lung function test and serum ferritin concentration. Among participants, 1,076 were male and 1,168 were female. Results: Mean serum ferritin concentrations in males were 120.3±80.1μg/L and 47.9±39.8μg/L in femal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rum ferritin concentrations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and amounts of alcohol. Serum ferritin concentrations were associated with smoking amounts by simple linear regression but not associated with smoking amounts after adjustment with age, body mass index, and amounts of alcohol in both males and females. Lung fun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serum ferritin concentrations. Conclusion: Our data suggested that serum ferritin concentrations are not related with smoking and lung function.

      • KCI등재

        <유효공선행록>의 간언 대화와 갈등 해결 화법 교육

        김서윤 ( Kim Suhyoon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4

        사회적 갈등에 대응하는 일상 대화의 말하기 방식을 구안하는 것이 국어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인 간 갈등 상황에서도 사회적 갈등 요소를 인식하고 이에 적절히 대응하며 갈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말하기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유효공선행록>을 비롯한 가문소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문소설은 유교적 효 관념에 바탕을 둔 간언 문화를 반영하는 대화 장면들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면들을 통해 일상 대화 속에서 대화 참여자들이 사회적 갈등을 드러내고 해소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다. <유효공선행록>에서 간언의 화자는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분명히 드러내어 상대와의 사회적 갈등 지점을 명시하되, 대화 상대와의 관계적 정체성에 착안하여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상대와 공유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함으로써 갈등 해결의 단서를 찾아 나가는 말하기 방식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간언의 화자는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상대와의 관계적 정체성과 통합하여 강화하게 되며, 화자와 청자의 관계적 정체성 또한 확장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그 성격이 재규정됨으로써 한층 공고해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간언 대화의 과정은 비록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는 하나, 협력적 갈등 해결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간언 대화는 대화 참여자의 사회적 정체성을 부정하거나 은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순응이나 회피, 타협과 구별되며 대화 참여자들 간의 관계적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쟁적 갈등 해결과도 거리가 있다. 앞으로 국어교육에서는 협력적 갈등 해결 화법의 일상적 모델로서 <유효공선행록>을 비롯한 가문소설의 간언 화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갈등 상황에 대응하는 협력적 말하기 방식을 학습하는 한편, 전통사회의 대화 문화를 현대의 그것과 비교하며 대화와 설득의 본질에 대해 근본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Devising a way of engaging everyday conversations in response to social conflicts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plore the way of such eng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amily novels, including Yuhyogongseonhaengrok, which are rich in conversation scenes that reflect the culture of the remonstrance based on Confucian filial piety. These scenes represent how participants reveal and solve social conflicts in everyday conversations. In Yuhyogongseonhaengrok, the speaker of the remonstrance not only clearly reveals his/her social identity and sets out the point of social conflict with the opponent but also shows the way in finding clues to resolve conflict by reconstructing his/her social identity that can be shared with the opponent by focusing on the relational identity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Through this process, the speaker strengthens his/her social identity by integrating it with the relational identity with the opponent, and the relational identity of the speaker and listener is further strengthened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in the expanded social context. The process of these conversations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cooperative conflict resolution. The dialogue is distinguished from conformity, avoidance, and compromise, as it does not deny or conceal the social identity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It is also far from the competitive conflict resolution, as it does not undermine the relational identity between conversation participan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dialectics of family novels, including Yuhyogongseonhaengrok, as a daily model of cooperative conflict resolution skills. Through this, learners will be able to learn cooperative speaking methods to cope with conflict situations, compare the conversation culture of traditional society with that of modern times, and have opportunities to fundamentally reflect on the essence of dialogue and persuasion.

      • KCI등재

        <용문전>의 자아실현 서사와 그 교육적 활용 방안

        김서윤 ( Kim Suh Yo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6 No.-

        <용문전>은 천상계에 근거를 둔 운명적 서사 전개를 통하여, 주인공 용문이 개인의 가치관과 능력을 극대화하며 자아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자신이 속한 가문 및 국가와 심각한 갈등을 감내해 가면서까지 본원적 자아를 실현해 나가는 용문의 모습은 청소년기 독자들에게 자아실현의 심층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진로를 모색하며 자아실현의 방향을 고민해야 하는 청소년기 독자들에게, <용문전>은 주어진 환경과 개인적 가치관의 갈등이라는 당면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지를 진지하게 묻고 답하게 한다. 현대의 자아실현 담론은 개인의 가능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상은 사회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직업이나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이에 도달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과 자기 통제를 촉구하는 경향을 띤다. 이는 환경과 맞서며 새로운 가능성을 발굴해 나가는 과정인 자아실현 본연의 의미와 상치되므로 반성적 성찰이 필요한 지점이다. 외형적인 직업이나 지위보다는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가치를 진로 탐색의 지표로 삼고, 그 기반으로서 개인의 주체성에 보다 확고한 위상을 부여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개인이 환경의 제약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자아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용문전>은 이러한 맥락에서 의미가 깊다. 익숙한 환경을 벗어남으로 인해 파생되는 개인의 내적 갈등을 진지하게 다룰 뿐 아니라, 그러한 갈등을 극복해 낼 수 있는 근거로서 개인의 독자적 존재 가치를 지지해 주는 천상계의 존재가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자아실현 과정에서 발생하게 마련인 환경과 개인의 갈등과 그 해소 방안을 천상계와 지상계의 대립 및 위계 관계를 통해 분명히 인식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용문전>은 청소년기 독자들이 주목할 만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Yongmoonjeon is a literary work that depicts the predestined self-realization process of Yongmoon who arrived from a celestial world. Sustained by the celestial world, he successfully achieves his personal goals. Although he experiences certain conflicts with his family and country, he remains focused on his objectives and achieves them. This offers you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deliberate on the essenti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the most important task during that period of life. Currently, the self-realization discourse for young people is contradictory. It emphasizes the value of individuality, but simultaneously confers supreme values on prominent careers and social status. Young people are persuaded to suppress their individual values and aim for common goals approved by the media. Since this distorts the fact that self-realization accompanies conflict with one’s environment, it should be examined. The narrative of Yongmoonjeon is meaningful in this context. It describes how a man fulfills his potential from the celestial world by defying the restrictions of family and country placed on him in the earthly world. Yongmoonjeon not only displays a man’s conflict with his environment, but also demonstrates his efforts to overcome those conflicts with celestial assistance, symbolizing his own self-conscious individual identity and values. Thus, Yongmoonjeon can be evaluated as a work that enables young readers pay attention to inevitable conflicts with environment when they attempt self-realization, gaining self-confidence through belief in the power of positive self-identity.

      • 고소설의 이원적 세계관과 관계주의 문화

        김서윤 ( Kim Suhyo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先淸語文 Vol.51 No.-

        The dualized narrative world of the Korean classica novels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but it constitutes a continuous narrative worl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The dual world view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is derived from the narrative view pursuing balance between the group and the individual. The characters' behaviors are contrasted in the heaven and earth. In the heavenl with a strong collectivist system, characters form mutual relationships based on personal desires. On the other hand, in the earch where individualism is likely to emerge, the characters are committed to solving the crisis of the group through mutual relations. By antagonizing between the values of the group and the individual, the characters live a life that prioritizes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relationship. The self of the characters across the two worlds shows continuity in terms of mutual relations, which means that the readers who tried to harmonize the identity of the group and the individual through the relationsmp-oriented life, could identify themselves with characters in the novels. Paying attention to the dual world view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is important in exploring Korean classical novels as cultural texts representing Korean culture of relationalism.

      • KCI등재

        송대 유학자 錢時의 『중용』 해석 연구 - 주희의 중용장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

        김서윤(Kim, Seo-yun)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4

        주희와 육구연은 학문에 대한 견해가 달라 논쟁을 벌였던 것으로 유명하지만, 주자나 육구연은 모두 ‘孔孟의 道’를 계승하여 의리를 구명했던 理學家이다. 理學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을 뿐, 그 사상적 뿌리가 같으므로 둘의 의견을 수용하여 상호보완 한다면 더 훌륭한 학문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송대의 유학자인 전시는 육구연의 재전제자로, 육구연의 심학을 바탕으로 『중용』을 해석했지만 문자의 해석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주희의 설을 따랐다. 하지만 『중용』의 요지를 파악함에 있어서는 주희와 달랐기에, 몇몇 해석에는 큰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먼저 전시의 『중용관견』에 대해 알아보고, 『중용장구』와의 비교를 통해 주희의 해석과 다른 부분들을 검토하여, 전시가 파악한 『중용』의 요지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Qian Shi(錢時, 1175~1244) was a Song Dynasty Confucian scholar who Yang Jian(楊簡, 1141~1226)’s outstanding student, and Yang Jian also was a Lu Jiuyuan (陸九淵, 1139~1193)’s outstanding student. They continue to maintain Lu Jiuyuan’s ideology, and have written many studies books. As a result, their research work is the largest number of scholars of the School of Mind. Among them, Qian Shi’s Sishuguanjian(四書管見) was the important work explained “Confucianism” in the School of Mind. This papar is a study on Interpretations of the Zhongyongguanjian(中庸管見), which is one of the Sishuguanjian. In this article, I tri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Qianshi’s interpretations of Zhongyong comparison with Zhu Xi(朱熹, 1130~1200)’s interpretation. We look at Zhu Xi’s interpretation which is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Qianshi’s interpretation which is based on the Scool of the Mind,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ir point of view about Zhongyong.

      • KCI등재

        고객접촉과 신체적·심리적 피로감이 간편결제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서윤(Kim, Seo yun),박영아(Park, Young A) 한국산업경영학회 2021 경영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타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적 피로감이 간편결제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간편결제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이 기술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시스템 특성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바이러스 회피와 생존을 위한 소비로 인해 신체적·심리적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소비자들의 심리 및 정서를 중심으로 살펴봤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조사는 2020년11월 26일∼12월13일까지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두 대학교의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구글 설문 기능을 통해 작성된 문항의 URL를 제공하고 설문지를 작성하게 했고 총 302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촉에서 커뮤니케이션 시간과 공간적 근접성은신체적·심리적 피로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의 풍부성은 신체적·심리적피로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심리적 피로감은 간편결제서비스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여 간편결제서비스 도입 및 확장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nted to examine wheth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caused by contact with others affects the intention of accepting simple payment services. It is meaningful that if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simple payment services focused on system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technology, this study focused on the psychology and emotions of consumers who a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ired from virus avoidance and consumption for survival.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6 to December 13, 2020 on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Gyeongbuk. It provided the URL of the questions written through the Google survey function and had them fill out the questionnaire, and used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ime and spatial proximity in customer contact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Second, the abundance of information has not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Thir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ceptance of simple payment servi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simple payment servic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터뷰콘텐츠 특성이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플로우 경험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서윤 ( Kim Seo Yoon ),오명열 ( Oh Myoung Yul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7 No.-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로 다양한 장르와 콘텐츠를 시공간 제약 없이 편리한 디바이스로 능동적인 시청이 가능하고 디지털 미디어 변화를 기반으로 다매체, 다채널의 콘텐츠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뷰콘텐츠 특성의 정보성, 유용성, 신뢰성, 가치경험 4개의 독립변인이 지속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터뷰콘텐츠 특성이 플로우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플로우 경험이 매개변인으로 어떤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뷰콘텐츠 특성의 유용성과 가치경험 2개 요인이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가치경험이 플로우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터뷰콘텐츠 특성의 정보성, 유용성, 신뢰성, 가치경험 4개 요인에서 지속이용의도에 플로우 경험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로 유용한 자료 제공과 실증적인 인터뷰콘텐츠 기획과 제작 방향에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arious genres and contents can be actively viewed with convenient devices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multi-media and multi-channel contents are being created and used in various forms based on digital media changes. This study confirmed how the four independent variables of informational content, usefulness, reliability, and value experience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interview content. In this process, we tried to empirically study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iew content affect the flow experience and how the flow experience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wo factors, the useful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iew content and the value experience, affecte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and that the value experience had an effect on the flow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flow experi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interview content characteristics in four factors: information, usefulness, reliability, and value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useful data as a follow-up study and the direction of empirical interview content planning and produ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