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추종자의 성숙에 따른 구조 및 저장물질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김세규,김은수,김우갑,이광웅,Kim, Se-Kyu,Kim, Eun-Soo,Kim, Woo-Kap,Lee, Kwang-Woong 한국현미경학회 1995 Applied microscopy Vol.25 No.4

        The ultrastructure and storage reserves of the Capsicum annuum seeds wer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structure and to localize storage components in the endosperm using light microscopy,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seed coat was composed of one cell layer which contained a large number of lipid bodies, while most of the endosperm cells did not showed many lipid bodies. During seed maturation, the endosperm cells were continuously degenerated by the autophagy. Various types of plastids were also distinguished in the endosperm cells. They contained starch grains surrounded by electron-dense tiny particles, plastoglobuli, and vasicular bodies.

      • KCI등재후보

        백서 폐동맥 내피세포에서 cytokine 및 내독소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과 미토콘드리아 aconitase 활성도의 관계

        김세규(Se Kyu Kim),장준(Joon Chang),이원영(Won Young Lee),장상호(Sang Ho Jang),박전한(Jeon Han Park),김세종(Se Jong Kim),김성규(Sung Kyu Kim),(Boaz A . Markewitz),(John R . Michael) 대한내과학회 1999 대한내과학회지 Vol.56 No.2

        N/A Objective : Both constitutive and inducible forms of nitric oxide synthase exist in endothelial cells. Disorders that produce acute lung injury frequently release endotoxin and cytoknes, such as interferon(IFNγ)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Endotoxin and these cytokines likely act as important mediators of cell injury. Because nitric oxide (NO) avidly reacts with iron, it may affect the activity of key enzymes, such as mitochondrial aconitase, which contain an iron-sulfur structure as a prosthetic group. Method : We studied the effect of IFNγ, TNFα and E. coli lipopolysaccharide(LPS) on NO production and mitochondrial aconitase activity in cultured rat lung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RLMVC). Result : Exposing RLMVC for 24 hours to IFNγ(500 U/mL), TNFα(300 U/mL) and LPS(5 ㎍/mL) significantly increases nitrite production to 20±1 μM compared to 0.07 μM in control cells(P<0.05, n=4). Cytokine treatment also reduced mitochondrial aconitase activity from 196±8 to 102±34 nmole/min/mg of cell protein(P<0.05, n=4). Treatment with the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N-monomethyl-L-arginine(NMMA) (0.5 mM) not only significantly blunted the cytokine- mediated increase in nitrite formation (3±0.5 μM vs 20±1 μM with cytokines, P<0.05, n=4), but also prevented the cytokine-mediated drop in aconitase activity (161± 24 vs. 196±8 nmole/min/mg of cell protein, NS). Conclusion : Exposing RLMVC to IFNγ, TNFα and E. coli LPS substantially decreases mitochondrial aconitase activity. Nitric oxide appears to mediate this effec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xcessive production of NO by endothelial cells, in response to cytokines and endotoxin, may inhibit the function of the endothelial cell itself.

      • KCI등재

        지방분권시대에서의 경관법과 도시경관조례

        김세규(Kim Se-Kyu) 한국비교공법학회 2009 공법학연구 Vol.10 No.4

        도시에서는 건축물 등 인공적 구조물이 어떻게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가에 따라 직접적으로 도시주민의 생활의 질을 규정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건축물, 문화적 시설, 거리와 그 밖의 경관의 배치에 따라 도시의 문화적이고 사회적 환경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전환과 함께, 최근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대두하고 공공성을 갖는 도시경관에 대한 사회적 가치가 날로 커지게 되었다. 그 결과, 2002년 제정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경관부문이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2007년 5월에는 도시경관에 관련한 기본법의 성격을 지닌 「경관법」이 제정되었다. 도시경관은 인공성의 여부에 따라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으로 구분하며, 주거지경관 · 상업지경관 · 가로경관 등과 같이 시가지를 구성하는 모든 경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시의 역사 · 문화 · 자연을 보전하고, 공간 · 문화환경의 총체적 질을 높이면서 도시기능의 회복도 도모하고, 도시 곳곳에서 일상적 체험이 가능한 매력적인 장소와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민의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는 총체적인 도시가꾸기 작업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도시경관조례”는 도시전체 또는 일정지역에 대하여 지역성을 반영한 아름답고 쾌적한 도시이미지(city image)를 특정한 경관이미지로 유도하기 위한 복잡 다양한 사항을 정리 · 통합하는 것으로서 도시경관형성을 유도하는 제도인 것이다. 이는 결코 규제가 아니며,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시민의 다양한 의식 및 생활양식, 국제화에 어울리는 지역의 경관형성을 통한 쾌적한 도시경관형성에 동시다발적으로 요구되는 다종다양한 경관요소들을 수용하여 공간에 작용하여 만들어 가는 것이다. 관련하여 경관이익이란 객관화, 광역화된 가치 있는 자연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경치나 풍경을 향유할 수 있는 이익이라는 것이다. 이는 주민일반의 공공적 이익이고, 그 침해에 대한 구제는 본래 도시계획이나 행정소송을 통한 공법적 구제가 적합하다. 또한 미국에서의 재판상 경관미적 개념의 수용을 국내의 법정에서도 받아들여져서, 경관미라는 단독적인 이유만으로도 부자연스런 개발과 시설물설치행위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행 지방자치법 제15조에 근거한 조례의 제정과 개폐 청구제도는 주민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조례의 제정과 개폐를 청구할 수 있을 뿐, 주민이 직접 조례를 제정하거나 개폐할 수 있는 제도는 아니다. 독일의 여러 란트에서는 조례규정사항(예산조례등은 제외)까지도 주민(시민)이 결정할 수 있는 주민결정(시민결정)제도가 인정되고 있는데, 한국의 지방자치법 제15조상의 조례의 제정과 개폐 청구는 독일의 주민결정(시민결정)제도와 비견될 만큼 강력한 주민참여제도는 아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범위 안에서 주민의 결정으로 도시경관형성등의 조례를 제정하거나 개폐할 수 있는 제도도입 필요성의 견해제시에 공감하며, 이러한 견해제시가 우리의 지방자치법상 원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a city, it prescribes quality in citizens' life directly how artificial structure such as buildings is formed and a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in a city is formed according to arrangement of historical buildings, cultural facilities, street and other landscapes. In addition, interest for city landscape damaged by indiscreet development as well as conversion of paradigm in city landscape was distinguished and social value of city landscape with publicness was increased day by day. As the result, landscape part occupied an important field in 「Act on Planning and Use of National Territory」 enacted in 2002 and 「Landscape Law」 with characteristics of basic law related to city landscape in May, 2007 was enacted. City landscape is divided into natural landscape and artificial landscape according to artificiality and means all landscapes composed of a city area such as housing landscape, landscape of commercial area and street landscape. Therefore, it means overall works for city decorating to make quality in citizens' life glossy by groping recovery of city function and offering attractive space making ordinary experience possible here and there in a city, preserving history, culture and nature in a city and raising overall quality of spatial and cultural environment. Namely, 'City landscape ordinance' is a system to induce formation of city landscape by arranging/integrating diverse complicated matters to lead beautiful and pleasant city image reflecting locality to a peculiar landscape image with regard to the total or a fixed area of a city. It is not pertinent to regulation and is to be applied to space by accepting diverse landscape elements required to formation of clean city landscape through improvement of quality in citizens' life and citizens' diverse kind of consciousness and lifestyles and landscape formation of area suitable to internationalization. Landscape profit is a profit to enjoy scenery or landscape forming objectified and integrated valuable natural conditions. It is a public profit of all citizens and, for relief of the violation, relief of public law through city plan or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suitable.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all control unnatural development and facility installation act with only independent reason which is landscape beauty by accepting concept of landscape beauty in USA judgment to domestic court. And in the event of enactment of ordinance and system for claim of its revising/abrogating based on article 15 of the present local autonomy act, citizens can just claim enactment and revising/abrogating of ordinance to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not a system that citizens can enact or revise/abrogate ordinance directly. In diverse German lands, system of citizens' decision that citizens can decide even regulations of ordinance (budget ordinance excluded) is recognized. Namely, claim of enactment and revising/abrogating of ordinance in article 15 of local autonomy act in South Korea is not a citizen participatory system as powerful as being compared with German system of citizens' decision. Therefore, within a limited scope, the author sympathizes with opinions to introduce a system to enact or revise/abrogate ordinance of city landscape formation by citizens' decision, and anticipates that such opinions will make Korean local autonomy act reviewed.

      • KCI등재
      • KCI등재

        지하수이용권에 관한 소고

        김세규(Kim Se-Kyu) 한국비교공법학회 2007 공법학연구 Vol.8 No.3

        오늘날 산업사회의 진전에 따라 지표수의 오염ㆍ부족현상이 점차 심화됨으로써 지하수가 일반공중의 用水源으로 다량 이용되고 있다. 부연하면 지표수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물론 지표수가 풍부한 지역에서도 수질이 좋은 지하수의 개발ㆍ이용이 늘어가고 있으며, 앞으로 국민의 물사용에 있어서 지하수의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수자원의 최후보루인 지하수를 적절히 개발.이용하고 먼 장래에 까지 양질의 지하수를 충분히 확보해야 함은 매우 중요한 공법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즉 지하수에 대한 공적 관리 및 공공자원성확보가 요청되고 있다. 현행 지하수법의 규정 가운데에는 지하수가 공공의 수자원임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들이 많다. 곧 지하수를 공공의 수자원으로 인정할 경우에 토지를 굴착하여 지하수를 채취하는 것은 토지소유권과는 다른 이른바 지하수이용권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본다. 지하수를 인류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한 공법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는 「公水論」과, 지하수를 사권의 대상으로서 인정하고 지하수 채취에 따른 여러 문제점을 규제하기 위해서 공공제한의 대상이 된다고 하는 「私水論」이 대립되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하천수를 하천부지의 소유권과 분리해서 다루고 있는 법리와 지하수를 公水化하고자 하는 세계적 경향 등을 감안하여, 지하수를 토지소유권에서 분리해서 공공의 것 또는 국민 전체의 것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한다. 부연하면 지하수를 私法的 側面에서 토지소유권의 일부로 간주하고자 하는 견해와 토지소유권에서 독립한 물권으로 보는 견해로 양분되어 있지만, 하천수가 하천부지와 다른 것으로 다루어 지듯이 지하수도 토지와 분리하는 방법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공물설에 기초하여 지하수는 하천수 또는 일조 등과 마찬가지로 만인을 위하여 존재하는 공물이다. 따라서 지하수이용권의 문제도 공물의 사용권의 연장선상에서 공적 관리가 우선 적용되고, 사적 토지소유자에게는 일상적인 생활의 필요성의 범위 내에서 그 사용이 허용된다고 봄으로써 지하수의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다시금 강조하고자 한다. 끝으로 환경이란 토지소유자나 점유자만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독점물이 아니며, 지역주민이 공동으로 주장할 수 있는 공유물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지하수도 공물(특히 공공용물)로서의 이용관계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지하수법 제1조, 제3조, 제7조 제3항, 제8조 참조). 또한 동법 제30조의3에 근거하여 시장.군수에 의한 지하수이용부담금의 부과ㆍ징수도 지하수의 공공재라는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고 본다. 곧 지하수이용권은 토지소유권과는 별개의 공권적 시각에서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pollution and shortage of surface water is getting gradually aggravated because of industrial society progressing in these days, the groundwater has been used in large quantities for water. That is, the exploitation and use of groundwater which is good quality is being increased in the regions not only with the lack of surface water but also with an abundant supply of i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ependency on groundwater will be depended in the nation??s water use. Therefore it becomes a very important public issue to develop and use groundwater which is the last fort of water resource and to secure the groundwater which is good qualitie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needs to secure the public management and resources of groundwater. There are a lot of the Groundwater Act which assumes groundwater as a public water resource. When the groundwater is recognized as pulic water resource, the groundwater collection by the excavation of land which is regarded as the right of using groundwater is distinguished from a doctrine of landownership. In foreign countries, there is enactments which is the ownership of river seperated from river site and it is recognized ground water as pulic water, therefore it suggests that we also need to separate groundwater from a right of landowner and to recognize groundwater as public water. It is bisected in an opinion whether groundwater is recognized as a part of doctrine of landowner or as a independent part in private law, but it is emphasized that groundwater is seperated from land such as river is seperated from river site. In based of a public thing theory, ground water is a public thing for the public such as river or sunshine. Therefore first of all, the use of groundwater is applied to the public management in the point of the public using right and it is permitted for the private landowner to use within range of necessity of a daily life. That is, groundwater is emphasized to be public resource. In conclusion, environment is not the monopolization which is belongs to the landowner who can insist on the right of landownership, but the public thing which is belongs to the local residents.

      • KCI등재

        환경권에 기초한 유지청구의 가능성

        김세규(Kim, Se-Kyu)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68 No.-

        According to consistent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environmental rights sanctioned under private laws do not have their legal basis in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lso, the Supreme Court has sporadically recognized private-law rights to sunshine, view, religious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etc. on the condition of ‘exceeding the limit of patience’, under the premise that claims for removal of disturbance cannot be recognized directly on the ground of environmental rights unless there are explicit provisions which recognize environmental rights as such under private laws. In the environmental-right theory which is one of the theories regarding legal basis of an injun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n environmental right can only be recognized when the subject, object, contents, method of exercise, etc. of the right can be concretely established in the light of explicit legal provisions, purposes of relevant laws and natural reasoning. Therefore,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have firmly established that claims for removal of disturbance cannot be sanctioned directly based on environmental rights when there are no explicit legal provisions recognizing environmental rights as such under private laws.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legal basis of an injunction, there is also another view that notes the scope of remedies for the sufferer is inevitably limited in sofar as the existing real-action theory is held fast to. Under these circumstances, some formidable opinions which recognize concrete effects of environmental rights have come to the fore of late and a few lower courts have accepted such arguments in their judgments. And a judgment by the Supreme Court (25 September 2008, 2006c49284), though not published, confirmed that the original ruling (the Daejeon High Court, 21 June 2006, 2002b6362) which decided that ”the above-mentioned residents have the rights to demand the suspension and prohibition of the digging works“ did not have any illegality of misunderstanding legal principles. Under the development of such judicial precedents, this paper starts with raising the issue of whether or not an injunction application cab be filed on the basis of the environmental-rights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With regard to the legal nature, contents and effects of the environmental-rights provisions of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the opinions of some domestic scholars of the constitution and environmental laws have been quoted in this paper which contend that environmental rights can be regarded as concrete ones to demand the removal of any infringement with regard to the environment on the basis of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Such opinions provided much help for preparing this paper.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which provides a brief explanation for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rights as concrete ones and the legal possibility of an injunction based thereon: 1) In practice, some hope and argue that forward-looking court decisions should be accumulated, which draw the statutory grounds of an injunction directly from environmental rights. Accordingly, in furthering such point of argument and from the standpoint of sympathizing with preceding studie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legal principle of the public trust doctrine should be incorporated in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as the basic thought of acknowledging the legal principle of environmental rights. 2) This paper totally supports the view that the provision of Article 35,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saying “The substance and exercise of environmental rights shall be determined by Act”, and ‘the purposes of provisions of laws’ and ‘the natural reasoning’ cited by the Supreme Court should be presented as the logical basis for recognizing the concrete nature of environmental rights, and not vice versa for refuting it. … 종래 일관되게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헌법의 규정에서 직접 사법(私法)상의 환경권이 나오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아울러 대법원은 “사법상의 권리로서 환경권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는 한 환경권에 기하여 직접 방해배제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는 전제 아래 사법상의 권리로서 일조권, 경관권‧조망권, 종교적 환경권, 교육환경권 등을 ‘수인한도 초과’를 조건으로 삼아 산발적으로 인정해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유지청구의 법적 근거에 대한 학설의 하나인 환경권설에 대해서는 환경권은 명문의 법률규정이나 관계 법령의 규정 취지 및 조리에 비추어 권리의 주체, 대상, 내용, 행사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정립될 수 있어야만 인정되는 것이므로, 사법상의 권리로서의 환경권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는데도 환경권에 기하여 직접 방해배제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확립된 대법원 판례이다. 한편 유지청구의 법적 근거와 관련하여, 종래의 물권적 청구권설(物權的請求權說)을 고수함에 따라 피해자의 권리구제범위가 그만큼 제한됨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그와 같은 사정 하에서, 최근 환경권의 구체적 효력을 인정하는 견해가 만만치 않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급심 법원도 이를 인정한 바 있는 것이다. 그리고 미간행된 판결이긴 하나, 대법원 2008. 9. 25. 선고 2006다49284 판결은 “위 주민들은 토지소유권 및 환경권에 기초하여 굴진공사의 중지와 금지를 청구할 권리가 있다”고 판단한 원심판결(대전고등법원 2006. 6. 21. 선고 2002나6362 판결)에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고 판단한 바 있다. 본고는 위와 같은 판례의 전개 하에서, 직접 헌법상의 환경권조항에 근거하여 유지청구를 할 수 없는가라는 문제제기를 시작으로 하여, 헌법 제35조의 환경권 조항에 대한 법적 성질과 내용‧효력과 관련하여, 특히 환경권은 환경에 대한 침해가 있을 때 헌법 제35조제1항에 기초하여 그 배제를 청구할 수 있는 구체적 권리로서 볼 수 있다는 국내 헌법학자와 환경법학자들의 견해를 원용하였다. 그러함으로써 이 글의 수행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 다음에서는 구체적인 권리로서의 환경권의 인정과 그에 따른 유지청구의 가능성을 설명하면서 이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1) 실무상으로도 유지청구의 실정법적 근거를 환경권에서 직접 이끌어내는 전향적인 판결이 축적되기를 주장하는 바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같은 논지의 연장선에서 선행 연구와 그러한 견해들에 공감하는 입장에서, 본고는 환경권의 법리를 승인하는 기본적인 사상으로서의 환경공유신탁(공공신탁이론: Public Trust Doctrine)의 법리를 현행헌법 제35조에 도입‧규정할 것을 제안한다. 2) 환경권의 구체적 효력을 부인하는 유력한 근거로 내세워지는 헌법 제35조제2항, 즉 “환경권의 내용과 행사에 관하여는 법률로 정한다”라는 규정과 대법원이 들고 있는 ‘법령의 규정취지’와 ‘조리’도 오히려 환경권의 구체적 권리성을 인정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지 그 반대로 부인하는 논거로 작용할 수는 없는 것이다는 견해제시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이른바 환경권 규정이 처음 우리나라 헌법에 수용된 것은 1980. 10. 27. 전부개정된 헌법 제33조에 “모든 국민은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됨으로써 그 내용과 행사에 관한 법률유보조항이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1987. 10. 29. 전부개정된 헌법 제35조제2항에 법률유보조항을 새로 두고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위와 같은 선행 연구에 힘있어 오늘날 환경국가의 구현이라는 취지에 부응하여, 헌법적 틀에서 환경권의 구체적 권리성을 명백히 인정‧선언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곧 현행헌법 제35조제2항에서 표현하고 있는 “환경권의 내용과 행사에 관하여는 법률로 정한다”는 법률유보조항을 삭제하고 그에 갈음하여 같은 제2항에 공공신탁이론의 법리를 담은 바의 문언으로 규정‧도입을 신중히 검토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함으로써 유지청구의 법적 근거와 관련하여, 헌법 제35조의 환경권에 기초한 유지청구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비용해성 혹은 지연 용해성 폐렴의 임상적 고찰

        김세규 ( Se Kyu K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2

        Unapparent resolution of pulmonary infiltrates is a common consultative problem for the pulmonologist. Nonresolving and slowly resolving pneumonias pose a diagnostic challenge. Nonresolving pneumonia or slow-resolving pneumonia is used to define the clinical situation in which an adequate resolution of radiographic infiltrates or clinical symptoms is not achieved despite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for pneumonia. Nonresolving pneumonia represents treatment failure as a result of an infectious cause such as inappropriate initial antibiotic therapy and resistant or unusual microbial infection, and a noninfectious cause. It is critical to be able to identify patients with nonresponding pneumonia and to identify patients at risk for progressive pneumonia to institute appropriate therapy. A variety of abnormalities in host defense may result in delayed resolution of pneumonia. The most common host-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 delayed resolution are older age, DM, smoker, COPD, and immunocompromised state. When these factors are present, the infection may be expected to take longer than usual to clear. Noninfectious etiologies of nonresolving pneumonia include neoplasms, pulmonary hemorrhage, pulmonary embolism, sarcoidosis, eosinophilic pneumonia, pulmonary edema,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drug-induced pneumonitis, and pulmonary vasculitis. The sheer number of alternative diagnoses, both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can overwhelm the clinician and lead to unnecessary testing. Knowledge of typical resolution patterns and risk factors for delayed resolution can aid the clinician and prevent an exhaustive search for alternative etiologie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Korean J Med 74:117-117, 2008)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