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부모-자녀관계에서 성인초기 자녀들이 지각하는 자녀역할부담의 요인 탐색 연구

        김빛여울(Kim Bityeoul),조경숙(Cho Kyungsuk),강진령(Kang Jin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초기 자녀들이 자녀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겪게 되는 부담감을 구성하는 요인을 도출하여 자녀역할부담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먼저 기존의 연구에서 자녀역할과 자녀역할부담에 대한 내 용이 부족하고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이를 재정립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2016년 2월 초기 성인기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녀역할부담에 대한 77개의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내용타당도를 거쳐 부 적절한 문항을 제외하거나 수정하여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초기 성인기 301명을 임의표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5요인 27문항이 최종 예비문항으로 선정되었다. 각 요인은 구성 문항의 특성 에 따라 ‘부모의 간섭에 대한 부담’, ‘자녀책무에 대한 부담’, ‘진로기대에 대한 부담’, 보은에 대한 부담‘, 부양에 대한 부담’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녀들이 가족 내 역할에 대한 부담감을 갖게 되는 과정 및 문화적 특성을 탐색하였고, 자녀역할부담 정도가 부모와 자녀의 관계의 질 및 심리상태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on the perceived burden of adult child s role in korea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to measure it.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Child s Role and The burden of child s role clearly, and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Then by conducting expert review, 43 items were deleted 26 items were corrected, and 34 items were extracted. In next study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of the perceived Burden of Child s Role, 301 early adulthood were randomly sampl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final five factors and twenty seven items were selected for the Burden of Child s Role. The five factors determ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urden of parental interference , the burden of responsibility as child , the burden of career expectation , the burden of repaying parents sacrifice , and the burden of parental support .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Korean adult child has the burden of child s rol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rden of child s role scale in Korean family.

      • 대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포용적 경험 분석: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

        김빛누리(Bit Nuri Kim),구유리(Yoori Koo)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연구는 다양한 학계의 포용성 평가 기준을 통합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경험이 얼마나 포용적인지를 평가하고 그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 문헌에 존재하는 틀들을 활용해 포용성 평가 프레임워크를 작성하고, 이를 대표적인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4 가지(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제페토)에 적용하여 각 서비스의 포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서비스의 특성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포용성의 양상과 실제 서비스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포용해야 할 특징들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SCOPUS

        포용적 SNS 설계를 위한 서비스경험 원칙과 실행방안 제안 - 사회적 소수자 경험을 중심으로-

        김빛누리(Bitnuri Kim),구유리(Yoori Koo) 한국디자인학회 2023 디자인학연구 Vol.36 No.4

        Background : Currently, inclusive research related to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Social Media Service) is limited in term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research on inclusive experiences in terms of service experience is in its early stages. Thus, the accurate concepts and elements are not clearly defin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by considering theories related to inclusion and inclusive service design, and to verify and materialize the principles deriv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SNS use experience of social minorities. Methods :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conceptual elements of inclusion were deriv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literature. Based on this,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inclusive experience and service design. Next,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social minorities using SNS to verify the principle and to discover how the subfactors of the principle appear as embodied user experiences in actual services.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on social media use experiences of social minorities and thematic analysis, detailed experience elements and a specific action plan of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were discovered. Results :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clusive services were defined as ‘services that have functions for diversity and accessibility, have systems to achieve inclusion, and encourage users to feel that the user experience is inclusive’. In addition,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was derived into three categories: [A] Functional, [B] Systemic, and [C] Experiential inclusion. Under these categories, eight factors were derived as sub-items: [A1] Securing user diversity, [A2] Securing service accessibility, [B1] Establishing inclusive value-based strategies and systems [B2] Enhancing users’ capabilities and voice, [B3] Educating on inclusion, [C1] Supporting users to express their various identities, [C2] Increasing users’ value as members, and [C3] Securing connectivity between users and diverse groups. 22 experience value elements were also derived. Conclusions : Based on the literature on inclusion, inclusive services and the actual experience of social minorities, the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and an action plan are present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derived principles and action plan to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SNS use journey, an “Inclusive Service Experience Principle Application Map according to the user experience stage” is propo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 inclusive user experience and presents concrete application plans for practitioners in companies.

      • SCOPUSKCI등재

        The First Newborn Screening Study of T-Cell Receptor Excision Circle and κ-Deleting Recombination Excision Circle for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in Korea: A Pilot Study

        손소희,강지만,김종민,성세인,김이슬,이해정,김빛아름,이연경,고선영,신손문,김예진,Son, Sohee,Kang, Ji-Man,Kim, Jong Min,Sung, Sein,Kim, Yi-Seoul,Lee, Haejeong,Kim, BitA Reum,Lee, Yeon Kyoung,Ko, Sun Young,Shin, Son Moon,Kim, Yae-Jean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201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4 No.3

        Purpose: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 is the most serious form of primary immunodeficiency. Infants with SCID are susceptible to life-threatening infections. To establish newborn screening for SCID in Korea, we performed a screening test for T-cell receptor excision circle (TREC) and ${\kappa}$-deleting recombination excision circle (KREC) in neonates and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SCID among their parents. Methods: Collections of dried blood spots from neonates and parent surveys were perform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and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in Korea. The amplification crossing point (Cp) value <37.0 was defined as TREC/KRECpositive based on cutoff values from measuring multiplex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 Cp value >39.0 was defined as negative. Results: For TREC/KREC screening, 141 neonates were enrolled; 63 (44.7%) were male. One hundred forty neonates (99.3%) had positive TREC/KREC results at the time of the initial test; 82.3% and 75.9% were positive and 17.0% and 23.4% were weakly positive for TREC and KREC, respectively. In one neonate (0.7%), the initial TREC/KREC test result was negative. However, repeated tests obtained and confirmed a positive result. For an awareness survey, 168 parents were engaged. Only 2% of parents (3/168) knew that the newborn screening test for SCID had been introduced and performed in other countries. Eighty-four percent of parents (141/168) replied that nationwide newborn SCID screening should be performed in Korean newborns. Conclusions: In this study, newborn SCID screening was performed along with assessment of public awareness of the SCID test in Kore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newborn SCID screening can be readily applied for clinical use at a relatively low cost in Korea.

      • KCI등재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제빙석(Qi, Bings),김빛여울(Kim Bityeoul),조경숙(Cho Kyungsuk),강진령(Kang Jin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존중감과 한국어 수준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특별시 소재한 5개 4년제 대학 교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4.0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은 자기존중감과 한국어 수준, 학업성취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감과 한국어 수준은 학업성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과 한국어 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존중감과 한국어 수준은 지각된 차별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설명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Korean language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 conducted offline and online surveys for Chinese students attending five universities in Seoul so that a total of 340 data were collected. Then, 32 cases were excluded due to insincere and unresponsive items and final 308 data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in order to verify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n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verification showed as follow. First,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Korean language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Moreover, self-esteem and Korean language level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Second, the self-esteem and Korean language level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s the process of how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조경숙 ( Cho Gyeong Suk ),김빛여울 ( Kim Bit Yeoul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성취지향목표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생 313명을 수집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과, 마지막으로 Sobel test 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숙달접근 목표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숙달회피, 수행회피 목표는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숙달접근 목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소망적 사고 대처는 성취목표지향성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숙달회피 및 수행회피 목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소망적 사고 대처가 부분매개를 하였다.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 과정을 예측하여 이를 예방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metho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put in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ree-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for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with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he conclusion is that as follows. First, the mastery approach goa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In addition, the mastery approach go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stress coping methods. Second, the wishful thinking coping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y avoidance goal and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 of academic procrastination of Chinese students and to plan strategies to eliminate any negative factors to promote the successful school life.

      • KCI등재

        세대 내, 세대 간 교류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세대 내 교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순둘 ( Soondoo Chung ),정세미 ( Sem Chung ),김빛여울 ( Bityeou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2

        본연구의 목적은 세대 간 교류(가족, 타인)과 세대 내의 교류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 간 교류가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에 세대 내 교류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삶의 만족도 수준과 세대 내, 세대 간의 성별차이를 위해t-test를 실시하였고, 세대 내. 세대 간 교류가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삶의 만족도는 성별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세대 간 교류 중 가족교류와 세대 내 교류는 여성노인의수준이 높았다.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여성노인의 경우 교육받은 기간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세대 내 가족과 타인의 교류가 활발할수록 노인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노인은 세대 내 가족과 타인의 교류, 세대 내 교류가 모두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노인의 경우 세대내 교류가 가족교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노인의 삶의 질을 위해서 가족, 타인의 세대 간의 교류의 증진과 남성노인의경우 세대 간 교류를 고려한 세대 내 교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inter- and intra-generational interactions on qualityof life of older people and observes moderating effect of intra-generational interaction on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for thisstudy were from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 aging society.”A total of 392 olderadults samples who were aged 65 and mo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Major results ofthis study are as follows. No specific differences were found in quality of life between menand women. However, old women showed higher degree of intra-generational and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quality of life for older womenwere educatio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with family andothers. In case of older men,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with family and others andintra-generational interaction were appear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quality oflife. Furthermore, moderating effect of intra-generational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between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and quality of life has been found. Based on the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usingintra- and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For older me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ole of intra-generational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enerationalinteraction and quality of life.

      • MOC 시스템을 이용한 브레이크 패드 마모 진단 기술 개발

        이건희(Geonhee Lee),박재현(Jaehyun Park),이수혁(Soohyuk Lee),박정환(Jeonghwan Park),문권기(Kwonkee Moon),김빛누리(Bitnuri Kim),이찬원(Chanwon Lee),김용길(Yongki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As the paradigm of the automobile industry approaches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driver’s involvement in driving vehicles is decreasing. Accordingly, the system reliability and failure diagnosis of vehicles are getting important. Among many automobile parts, pre-diagnosis of a brake pad wear is indispensable because its wear could cause fatal defects that degrade brak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nitoring system of brake pad that can pre-diagnose the wear of brake pads in stages using MOC(Motor on caliper), a type of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 KCI우수등재

        한국 영재교육 연구 40년(1980-2019): 시기별.유형별.주제별 양적 분석

        박현진(Park, hyunjin),김빛(Kim, vit),김선인(Kim, sunin),김미숙(Kim, meesoo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19년까지 40년 동안의 국내 영재교육의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향후 우리나라 영재교육 관련 연구 및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980년부터 2009년까지 30년 간의 영재교육 관련 연구물 총 2,157편을 수집하여 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분석한 김미숙 외(2010)의 선행 연구 자료를 활용한 후속 연구로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최근 10년 간의 연구물 총 2,859편을 전수 조사로 추가 수집하여 최종 4,860편을 대상으로 40년 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전 연구와 비교 분석 및 종합하고자 하였다. 시기별⋅유형별, 시기별⋅주제별, 유형별⋅주제별의 교차표 분석(Cross-Tabulation) 결과, 양적인 측면에서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의 제정 이후로 관련 연구의 수가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확실한 성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물의 유형 측면에서는 1990년대 이후,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 유형에서 연구물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또한, 연구 주제는 시기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몇몇 주제를 중심으로 여전히 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영재 및 영재성에 관한 연구와 영재판별 및 선발에 관한 연구가 주로 연구된 반면 영재교육기관 평가 및 컨설팅 연구는 매우 저조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 연구들의 연구 대상은 학생(81.1%)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이 중 초등학생에 관한 연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 동일 기간에 연구된 영재교육 분야를 보면 인지역량 분야가 사회정서역량 분야에 비해 10배 수준으로 많았다. 인지역량 내에서는 수학 및 과학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서역량 내에서는 리더십 분야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져 세부 교육 분야에서도 연구의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 영재교육 연구가 지난 40년 간 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어떻게 변화하여 왔고, 현재 어디에 있으며, 앞으로 어디로 가야하는지 논의하고 정책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gifted education research in Korea for 40 years from 1980 to 2019,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policies for gifted education. This is a follow-up study using the data from Kim et al. (2010) who collected a total of 2,157 studie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for 30 years from 1980 to 2009 and analyzed them by period, type of paper and topic. A total of 2,859 additional studies from 2010 to 2019 were collected as a complete survey to analyze the final 4,860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40 years and to compare and synthesize them with the previou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eries of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nactment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in 2010, there has been a definite growth achieved. In terms of the type of paper, since the 1990s, studies have risen dramatically in academic journals, theses, and dissertations. Also, research topics were different from time to time, but were still biased around several particular topics. While research on the gifted and giftedness and that o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gifted person were mainly studied, research on evaluation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at on consulting were very limited. From 2010 to 2019, students (81.1%) were the most studied subject of research,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than half of them. In addition, regarding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studi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number of research on cognitive skills was 10 times higher than that o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the most prominent in cognitive skills, and leadership was the most studied i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resulting in a bias in the provision of gifted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gifted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changed by period, type of paper, and topic over the past 40 years, where it is now, and where it should go in the future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 [서 평] ‘아주 작은 원자’, 그리고 ‘강력한 원자폭탄’: Atomic Habits

        김태진(Tae-jin Kim),김빛(Beat Kim) 통섭인문학회 2023 통섭인문학 Vol.2 No.2

        이 책의 저자인 제임스 클리어는 습관이 곧 자신의 정체성이라고 말한다. 좋은 습관은 미래의 좋은 자신이고 나쁜 습관은 곧 미래의 나쁜 자신이다. 변화는 하루아침에 일어나지 않고 오랜 반복된 습관의 결과이다. 그러므로 습관은 ‘무언가를 하는 것’을 넘어서 ‘누군가가 되는 것’이다. 좋은 습관을 형성하려면 주변의 환경이 중요하다. 좋은 환경 속에 있다면 좋은 습관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지루하고 다소 힘들더라도 루틴을 지킨 사람들이다. 아마추어들은 좋은 루틴을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한다. 어떤 환경에 처하더라도 사소해 보이는 루틴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프로이고 차이를 만드는 사람들이다. James Clear argues that habits are our identity. Good habits can guarantee our bright future, whereas bad habits may lead our life to failure. Thus, changes do not take place overnight; rather, it is the result of long repeated habits. Habits are more than ‘doing something’; they are ‘becoming someone’. To form good habits the environment around you is crucial. If you are in a good environment, you can easily form good habits. The successful are those who stick to routines even if they are boring and somewhat challenging. Amateurs push good routines out of priority; they let their lives interrupt. Those who stick to routines that seem trivial are true professionals and the ones that make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