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의 면역(免疫) 증강효과(增强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봉성,정규만,Kim Bong-Sung,Jeong Gyu-Mahn 대한한방소아과학회 1994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8 No.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amyangwee Tang on cell-mediated and humoral immune response, solid extract of Insamyangwee Tang (sample A), mixture of individual solid extract of Insamyangwee Tang (sample B)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14 days. The auther used ICR mice having a body weight of about 20-22g as experimental animals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Saline, Sample A and Sample B group. All of the mice were sensitized i.v. with $10^8$ sheep red blood cells(SRBC) and challenged i.d. with $10^8$ SRBC 4 days later. Such immune responses as delayed-type hypersensitivity(DTH), rosette forming cells(RFC), hemagglutinin titers(HA titers) and hemolysin titers(HL titers) were measured at 24 hours after challeng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DTH in Sample A & Sample B group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Saline group, with satistical significance. 2. RFC in Sample A & Sample B group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Saline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3. HA titers in Sample A & Sample B group were not increased, as compared with Saline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4. HL titers were increased just only in Sample A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inference from the above results is that Sample A group is better than Sample B group, and Insamyangwee Tang enhance the cell-mediated and humoral immune response.

      • KCI등재후보

        조원산가미방(調元散加味方)이 흰쥐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봉성,서정민,백정환,Kim, Bong-Sung,Seo, Jung-Min,Baek, Jung-Han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6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0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Jowonsangamibang(JWS) on the growth of rats. Methods : First of all, we divided male Sprague-Dawley rats into 4 groups(J1, J2, J3 and sham group). Then J1, J2 and J3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JWS water extracts(JWSE) once a day at a dosage 250, 500, 1,000mg/kg respectively for 3 weeks. The sham group was administered with normal saline in the same manner. And we measured body weight, amount of body weight increased, length of femur, serum GH, serum IGF-I, serum TSH and serum testosterone after each week.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body weight, the level of GH, TSH, and testosterone in J1, J2 and J3 groups. The change of body weight gaine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J3 group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after 1, 2 and 3 weeks. The length of the femu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J2 group after 1 week and in the J3 group after 3 weeks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The level of IGF-I in the serum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J1, J3 after 1 week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JWS increased body weight, length of femur, serum GH, serum IGF-1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This study shows that JWS has an effect on promoting the growth of rats, thus it's expected to treat of growth delay in children.

      • KCI등재

        사방댐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김봉성 ( Bong Sung Kim ),이창우 ( Chang Woo Lee ),서을원 ( Eul Won Seo ),이종은 ( Jong Eun Lee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3

        본 연구는 사방댐의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북북부지역 예 천, 영주, 봉화의 산간계류에 위치한 사방댐을 대상으로 준설 전·후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실험수계 3곳과 대조수 계 2곳의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로 설정하여 2011년 5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다. 실험수계에서 준설 전 4 문 6강 11목 31과 56종이 출현하였으나, 준설 후 4문 5강 10목 27과 51종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사방댐 준설 후 발생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미소서식처 파괴는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특히 실험수계의 상 류지점에서는 종수가 평균 38%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준설 후 실험수계에서 종풍부도지수와 종다양도지수가 감소 했지만, 우점도지수는 증가하였다. 실험수계의 상류지점에서 미소서식처의 파괴와 정수역이 형성되었으며, 유속이 감 소하고 하상구조는 모래나 실트로 단순해졌다. 그에 따라 상류지점의 섭식기능군과 서식기능군의 종조성은 단순해졌 으며, 상·하류 군집의 차이가 커졌다. 또한 상류지점에서는 유속이 느리거나 정수역을 선호하는 깔따구류(Chironomidae spp.), 부채장수잠자리류(Gomphidae spp.), 하루살이류(Ephemeridae spp.)의 개체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가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mountain stream of Gyeongsangbuk-do. The sediment control dam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dredging from mountain streams of Yecheon, Yeongju and Bonghwa in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Sampling was taken at upper and down from 3 experimental sites and 2 control sites during May to August 2011. The identified species before dredging were 56 belonged to 31 families, 11 orders, 6 classes and 4 phyla, but after dredging it has decreased to 51 species belonged to 27 families, 10 orders, 5 classes and 4 phyla. The microhabitat damag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ccurred at experimental sites after dredging of sediment control dams led to reduc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Especially, upper stream of experimental sites showed the reduction of an average of 38% species. In general,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species richness indices decreased after dredging; however, dominance indices increased at experimental sites. In the upper stream of experimental sites, the microhabitat damaged and became pool due to dredging. Also, velocity of flow decreased and the river bed became simply due to the sedimentary matter being finer than sand and silt. As a result, composi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were relatively simpler at upper stream and the degree of community differences was greater between upper and down stream. Also, Chironomidae spp., Ephemeridae spp., and Gomphidae spp. to prefer where slow velocity of flow and lentic increased in a greater rate, and the EPT/C index to indicate the balance of the community decreased.

      • KCI등재

        하천의 인공구조물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김봉성 ( Bong Sung Kim ),심광섭 ( Kwang Sub Sim ),김선희 ( Sun Hee Kim ),권오창 ( O Chang Kwon ),서을원 ( Eul Won Seo ),이종은 ( Jong Eun Lee ) 한국환경과학회 201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artificial structur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stream Sampling was taken at upper(pool), down (riffle) and control(riffle) from two check dams, two weirs, one agricultural reservoir, and one multipurpose dam in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these structures were surveyed during 2009 to 2011. The simple habita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ccurred at the upper sites due to pooling effects from artificial structures. Specifically, Check dam1, Jusanji, Imha dam showed very low biological attribute values compared to the down and control sites, which have greater difference in substrate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upper sites of Check dam2, Weir1 and Weir2, the difference of values of biological attributes was relatively smaller. Also, propor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functional habit groups were relatively simpler at upper stream and the degree of community differences was greater between upper and down, control sites. Spearman`s correlation between biological attributes and substrate characteristics, water quality parameter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particularly, the substrate characteristics were more significantly related. In conclusion, the pool causer by artificial structures had negative effect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thus leading to simplified stream habitats at upper stream ecosystems.

      • 보호계전기 특성 자동 시험 시스템의 개발

        김동수(KIM Dong-Su),이기택(LEE Ki-Taek),김봉성(KIM Bong-Sung),김철환(KIM Chul-Hwan)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현재 한국전기연구원에는 국내 · 외 보호계전기의 사용전 검사 시험이 년간 약 6,000여대 이상 의뢰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특성시험에만 약 3,000 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시험 수요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보호계전기가 가진 각 보호 요소의 특성 시험에 필요한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여 시험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시험자의 시험 설비 조작 또는 결선의 실수로 인한 영향을 최소로 하여 정확한 시험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보호계전기 특성 자동 시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호계전기 보호 요소의 특성 시험시 필요한 시험 장비를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제어하고 결과를 저장, 출력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한다.

      • 저압 직류차단기 성능 및 기반구축

        안상필(Sang-Pil AHN),김봉성(Bong-Sung KIM)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최근 태양광 발전설비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저압 직류차단기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 직류차단기의 성능이 교류차단기와 어떻게 다른가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국내 직류차단기에 대한 시험 기반구축의 현실과 향후 필요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아 폐질환에서 폐생검의 유용성

        이재희,이소연,김자형,김봉성,홍수종,Lee, Jae Hee,Lee, So Yeon,Kim, Ja Hyung,Kim, Bong Sung,Hong, Soo-Jo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2

        목 적 : 폐생검은 호흡기 질환을 가진 환아의 진단을 위해서 는 훌륭한 검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검사를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전신마취와 수술이라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합병증들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소아 호흡기 질환 환자에서 폐생검이 치료에 미친 효과와 검사에 따른 부작용을 조사하여 폐생검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 1993년 7월부터 2001년 6월까지 9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폐질환 환아를 대상으로 폐생검 전과 후의 진단 및 치료의 변화 여부와 검사의 시행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는 총 19명으로 남아 13명, 여아 6명이었다. 검사 당시의 중간연령은 3년 8개월(9개월-8년 7개월)이었고, 폐생검은 개흉술로 시행한 경우가 12명, 흉강경을 이용한 경우가 7명이었다. 폐생검 결과 간질성 폐질환이 12명(64%)이었고 결핵과 바이러스 질환이 4명(21%), 그 외 다른 질환들이 3명(15%)이었다. 특히 흉부 단층 촬영 소견에서 폐쇄성 세기관지염으로 의심된 7명 중 2명에서만 조직학적으로 일치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검사 후 치료 방법이 달라진 경우는 16명(84%)이었다. 이중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한 경우가 10명, 항바이러스 제제와 항생제, 결핵 제제의 투여를 시작한 경우가 5명, 사용하던 치료를 중단한 경우가 1명이었다. 검사 시행 후 생긴 합병증은 1명으로 농흉이었다. 폐생검 시행 이후 외래에서 추적 관찰한 중간기간은 1년 6개월(10일-8년)이었다. 관찰하는 동안 질병의 경과를 살펴보면 10명(53%)에서는 호전되었으며, 악화된 경우는 5명(26%), 변화가 없는 경우가 3명(16%), 추적되지 않는 경우가 1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4명(21%)이 사망하였고, 사망원인은 급성 호흡 곤란증후군 1명, 호흡부전 2명, 그리고 패혈증 1명이었다. 결 론 : 소아 폐질환에서 폐생검은 확진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일 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료 방침의 결정에 많은 기여를 한다. 따라서 소아 폐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폐생검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lung biopsies for the management of children with lung disease.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9 lung biopsies done at Asan Medical Center, Seoul between 1993 and 2001. Data gathered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underlying conditions, diagnosis before biopsy, final diagnosis, change in therap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 Nineteen patients underwent lung biopsy. Among them, 13 patients were male and six patients were female; the median age was 3.6 years(0.8 to 8.6 years). Twelve patients underwent open lung biopsies and seven patients had thoracoscopic biopsies. The overall diagnosis rate was 95 %.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interstitial lung disease(12 patients, 64%) and infection was detected in four patients(21%). The biopsy-proven bronchiolitis obliterance was confirmed in two of seven patients suspected by CT findings. Specific treatment was changed after biopsy in 16 patients (85%). The morbidity & overall mortality rates of the patients were 5%(one patient) and 21%(four patients) respectively. Only one complication was seen : empyema. The causes of death wer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one patient), respiratory failure(two patients), and septicemia(one patient). Conclusion : The lung biopsy is a safe procedure and it contributes to more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of pediatric lung diseases. We recommend lung biopsies should be considered more positively in the diagnosis of pediatric lung diseases.

      • 누전차단기의 충격파 부동작 특성과 EMC 성능 비교분석

        김언석(Oun-Seok Kim),한윤탁(Yoon-Tak Han),김봉성(Bong-Sung Kim),정중일(Jung-Il Jeong),정병하(Byung-Ha Jeong),김재철(Jae-Chul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3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

        본 논문은 누전차단기의 충격파 부동작 특성과 전자기적합성(EMC) 특성비교에 관한 것이다. 국내 규격에서는 충격파 부동작 성능만 확인하지만 국제규격에서는 많은 EMC 항목이 있다. 누전차단기 17종에 대하여 EMC 4항목을 실시한 결과, IEC 61000-4-5에 따른 조합서지 내성에서 9종이 불량이었다. 다른 항목에서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다. 오동작만 발생한 시료 2종에 대하여 충격파 부동작 성능을 평가한 결과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것으로 보아 EMC와 충격파 부동작 시험은 상관관계가 적으며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