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극의 대상개별화 수준에 따른 유아와 성인의 즉지하기: 대상의 간격, 색, 모양 구성에 따른 수행을 중심으로

        김보경,박윤현,이순형,Kim, Bokyung,Pack, Yun Hyun,Yi, Soon Hyung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and core mechanism of subitizing in children and adults as well as provides rela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subitizing changed with the age of participants and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itizing according to the spacing, color, and shape of the stimuli. The subitizing task set (including forty main trials) was prepared. Forty-five children (fifteen each in groups of 3, 4, and 5-year-olds) and fifteen adults were recruited to perform the subitizing task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ubitizing speed and accuracy of children improved abruptly between age 3 and age 4.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ubitizing speed according to the spacing and color of the objects. The children's response time decreased when the objects were fully apart or were of diverse colors.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itizing speed of children related to the shape of the objects. The subitizing speed of children decreased in a condition (subitizing 5 objects of diverse colors in fixed spacing) when the shapes of the objects were diverse. The subitizing speed of adults only differ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object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development of subitizing in early childhood along with the presence of object individuation processing stages underlying subitizing. This study also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educational curricula that can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children in systematic and diverse activities.

      • KCI등재

        GLS와 Bass 모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형을 이용한 영화 관객 수 예측

        김보경,임창원,Kim, Bokyung,Lim, Changwon 한국통계학회 2018 응용통계연구 Vol.31 No.4

        국내 영화 산업 매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극장은 영화의 1차 판매 경로이며, 극장을 이용하는 관객 수는 부가판권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극장을 이용하는 관객의 수는 영화 산업 매출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 특정일의 관객 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과 Bass 모형을 결합한 Hybrid 모형을 고려한다. 두 모형을 결합함으로써 회귀분석의 예측값을 Bass 모형의 예측값으로 보정하였다. 분석에는 개봉일이 모두 다른 세 영화를 이용하였다. All subset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해 모든 가능한 조합을 생성하고 5중 교차검증(5-fold cross validation)을 통해 5번 모형을 추정한다. 이 때 제곱근평균오차가 가장 작은 모형으로 예측값을 구한 뒤 Bass 모형의 예측값과 결합해 최종 예측값을 구하게 된다. 과거데이터가 존재할수록 Bass 모형의 가중치는 증가하면서 예측값에 보정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omestic film industry sales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aters are the primary sales channels for movies and the number of audiences using the theater affects additional selling rights. Therefore, the number of audiences using the theater is an important factor directly linked to movie industry sales. In this paper we consider a hybrid model that combine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the Bass model to predict the audience numbers for a specific day. By combining the two models, the predictive value of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rrected to that of the Bass model. In the analysis, three films with different release dates were used. All subset regression method is used to generate all possible combinations and 5-fold cross validation to estimate the model 5 times. In this case, the predicted value is obtained from the model with the smallest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n combined with the predicted value of the Bass model to obtain the final predicted value. With the existence of past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the Bass model increases and the compensation is added to the predicted value.

      • KCI등재

        Researches on People with Kidney Disabilities: Trends Analysis

        김보경(Bokyung Kim),박수경(Sookyung Par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ture direction of people with kidney disabilities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in 51 people with kidney disabilities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19. The study addresses the papers’overall status, research methods and topics, and briefly present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top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topic was about nursing, with 31 papers (61%) and the period during which the most papers were published was 2015-2019, with 25 papers (49%) published during this tim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were those undergoing hemodialysis, who were the subject population in 39 papers (76%). Survey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appearing in 46 papers (90.2%), of which quantitative surveys were the most common, appearing in 36 papers (70.6%). The most common subjects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were “quality of life”, “depression”,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steem”. The most common keywords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were “quality of life”, “psychology”, “experience of chronic renal failure”, “social support”, “occupation” and “self-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ystems for people with kidney disabilities, given the lack of such research, with expanding researches not related to medicine or nursing, but focused on the kidney disabilities themselves, and researches to identify people with kidney disabilities’ social welfare needs.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등재 학술지 논문 중 신장 장애인에관련된 연구 51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신장 장애인연구에 있어 향후 지향해야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분석 대상 논문의 전반적 현황과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살펴보고 연구 주제에 따라 논문들을 간략하게 제시하여 연구 내용에도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신장 장애인 관련 연구의 관심이 간호학 분야에 31편(61.0%)으로가장 집중되었고, 2015년~2019년 구간에 25편(49.0%)의 연구가 집중되었다. 연구대상에는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39편(76.0%)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는 조사연구가 46편(90.2%)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이중 양적 연구가 36편(70.6%)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연구 주제로 분석 대상 논문에서 나타난 키워드는 삶의질이 가장 많았으며 우울,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고, 세부 내용으로는 삶의 질, 심리, 만성신부전증 경험, 사회적 지지, 직업, 자기 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신장 장애인에 관련 사회복지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의료적 관점과 간호관점이 아닌 장애의 관점을 적용한 신장 장애연구와 신장 장애인의사회복지 욕구를 파악하는 연구의 확대를 통해 신장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및 제도 확립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슬람 캘리그래피(Islamic Calligraphy)의 조형적 활용 -아흐메드 무스타파(Ahmed Moustafa), 파르비즈 타나볼리(Parviz Tanavoli) 작품을 중심으로

        김보경 ( Bokyung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구전으로 계시된 신의 말씀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이었던 이슬람 캘리그래피는 세밀화, 건축, 공예 등 전통예술로써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우상숭배를 금지하는 종교적 교리에 따라 독자적인 회화나, 조각은 암묵적으로 금기시 되어왔기 때문에 이슬람캘리그래피는 하나의 예술 장르로써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슬람 캘리그래피의 조형성은 문자의 의미 전달에도 의의가 있지만, 많은 시각예술가들에 의해 순수 예술로 다양하게 발전될 수 있는 요소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슬람 캘리그래피의 조형적 활용에 관하여 아흐메드 무스타파와 파르비즈 타나볼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슬람 캘리그래피의 전통 원리를 연구하고 집대성한 아흐메드 무스타파는 캘리그래피를 회화에 적용하였으며. 파르비즈타나볼리는 전통과 예술을 결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에서 출발하여 캘리그래피를 조각으로 작업한다. 이들은 캘리그래피를 활용하여 이슬람 교리에 기반하는 내용을 포함하면서도, 캘리그래피의 조형성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은 캘리그래피를 글쓰기의 성분보다도 시각적인 요소에 집중하여 이슬람 문화의 상징으로 표상하고 있다. 캘리그래피를 활용하는 동시대 이슬람 문화권 작가들이 늘고 있지만, 국내 미술 계에서는 지리적, 문화적으로 낯선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미미하다. 두 작가의 이슬람 캘리그래피를 조형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를 살펴봄으로써 이슬람예술의 전통을 활용한 새로운 당대 예술의 영역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slamic calligraphy, used to record the word of God, is acknowledged its value as traditional arts with its meticulous details, architecture, and crafts. Since Idolatry is forbidden in Islam, independent paintings or sculpture are implicitly prohibited. Under the circumstances, Islamic calligraphy was able to settle into a distinctive genre in art. While the form in Islamic calligraphy has a significance in delivering the meaning of characters, it ha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s fine art by many visual artists. In terms of applying the form of Islamic calligraphy, this paper mainly focus on the works of two artists: Ahmed Moustafa and Parviz Tanavoli. While Ahmed Moustafa, studied on the principles of Islamic caligraphy, applies caligraphy into his paintings, Parviz Tanavoli approaches from the fusion between tradition and art and turns caligraphy into the sculpture. They not only include the words of Islamic doctrines, but also extend the formativeness of caligraphy. In this process, instead of the verbal elements they focus on the visual elements and symbolize caligraphy into Islamic culture. Even though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emporary Islamic artists utilizing caligraphy, it has not been throughly researched on contemporary Islamic caligraphy due to the geographic and cultural unfamiliarity in Korea. By looking at applying the form of Islamic caligraphy by two artists, the paper seek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utilizing the traditions of Islamic art in the boundaries i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Return-to-Work among People with End-stage Renal Disease Who Are Receiving Hemodialysis Treatment

        김보경(Bokyung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말기신부전 환자의 직업 복귀 경험을 심도있게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Yin(2014)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의 다중전체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충청남도의 투석병원에서 말기신부전을 진단받고 3개월 이상 혈액투석 중인 환자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반 구조화된 개방형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Yin(2014)의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5개의 범주는 ‘직업 복귀를 원함’, ‘직업 복귀 과정에서의어려움’, ‘직업 복귀 과정에서 받은 도움’, ‘직업 복귀 이후 향상된 정신건강’, ‘사회적변화를 원함’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혈액투석 환자가 직업 복귀 과정에서 경험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직업 복귀증진의 방안으로 혈액투석 환자에 대한 인식개선과 야간투석병원의 확대,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근로 복지제도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return-to-work among people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who are receiving hemodialysis (HD) treatment 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developed by Yin (2014) and had a multiple holistic design struc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articipants from October 2016 to January 2017.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semi-structured open-ended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developed by Yin (2014). Results of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s of returning to work fell into five main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se categories described the experiences of returning to work among receiving HD treatment and the participant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work. This study s results clearly delineated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that HD patients have when returning to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o make this process easier, the perceptions of HD patients should be improved, more nighttime hemodialysis units must be expanded, and suitable welfare policies must be implemented.

      •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김보경(Kim, Bokyung),김정식(Kim, Jungsik)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2

        This study delves into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lationship. 184 employees working at a company manufacturing health product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servant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of data analyses indicated that servant leadership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at different culture types also significantly account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cept adhocracy culture’s negatively rel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analyses of mediation effects by organizational culture revealed that clan, hierarchy, and market cultu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adhocracy culture partially mediated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findings,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Perception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n the Classroom Mo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김보경(Kim Bo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자기결정이론 (SDT: Self-Determination Theory)에 의하면, 자율성, 능력, 연관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가 동기 이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동기는 수업과 연관이 깊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세 가지 요소를 살펴보고, 한국 EFL 대학생의 학습 동기와 이 요소들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이용한 양적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한국 EFL 대학생 3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위 세 가지 요소와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 동기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SDT에서 발췌한 네개의 간단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지는 영어로 되어있으나, 학생들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한글도 같이 제공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 참가 대학생들은 주로 자신들의 자율감에 의해 동기유발이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동기 향상에 있어서, 능력 감이나 연관성은 자율감보다는 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형은 다른 아시아권역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아시아권 연구에서는 자율성이 학습 동기에서 오히려 덜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연구 결과의 활용과 연구수행에 따르는 제약에 관한 논의로 끝을 맺었다. 연구자들은 학습자의 동기유발이 무엇인지를 일반화하는 데에 있어 매우 신중해야 한다. 학습의 맥락이나 상황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때문이다. Objectives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proposes that learner perceptions of thei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understanding human motiv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se three factors and how they may relate to the classroom mo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Methods This was a quantitative stud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 total of 31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ur short survey questionnaires taken from SDT were used to measure these three factors and student levels of classroom motivation. These surveys were administered in English and Korean. Results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se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mostly driven by a sense of self-autonomy in developing their motivation to learn. A sense of competence or relatedness were of lesser importance in enhancing motivation. This pattern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Asian settings, where autonomy is shown to be of lesser value to classroom motivation.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Researchers must be careful about generalizations of what may drive student motivation because the context or setting plays a significat role in this determination.

      • KCI등재

        이상의 성천 수필에 나타난 감각 정동과 그 의미

        김보경(Kim, Bo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3

        본고는 자연(시골)-문명(도시)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감각 정동을 중심으로 이상의 성천 기행 수필을 독해함으로써 성천행의 의미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후기 문학 활동(1935~37년)은 이상이 동경에서 죽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동경을 주요한 지리적 표상 삼아 그 의미가 논해져온 측면이 있다. 그런데 성천 수필에 나타난 감각 정동에 주목할 때 절망, 권태, 죽음과 같은 주제어로만 수렴되기 어려운 또 다른 주제의식이 드러난다. 성천 수필에서 감각이 작용하는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는 화자의 신체와 다른 신체들과의 횡단적 상호작용이 드러나는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것은 미각을 통한 정동적 작용이다. 미각은 화자나 성천 사람들의 사회문화적 환경이나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하는데, 이때 음식과의 활력적인 상호작용은 자연이나 성천 사람들을 타자화 하는 화자의 자의식을 느슨하게 만드는 효과를 준다. 두 번째로 성천 수필에서 미각과 후각은 과거를 환기하는 작용을 한다. 과거가 환기되며 나타나는 시간 이미지는 차이 없는 반복성으로 특징지어지는 권태의 시간성과 대비되는 희망을 상징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목한 『산촌여정』의 흰빛의 과일은 누에를 치는 성천의 여성들과 누에나 뽕나무 잎과 열매, 기계 등이 연합하는 시간의 과정을 체현한다. 성천에서 돌아와 쓰인 『추등잡필』이나 『조춘점묘』에서 재현된 경성에서도 끽다점이나 공지와 같은 공간은 식민주의적 권력으로 짜인 경성의 다른 공간들과는 이질적인 정동적 공간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상 문학의 귀결점을 동경행으로 서사화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이상이 성천-경성의 여러 공간들을 통과하면서 어떤 방식으로 긍정적인 변용의 지대를 포착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ense affects on Yi Sang’s Seongcheon essays to break the dichotomy of nature(rural)/culture(urban) and examine the meaning of Seongcheon experiences. Tokyo has been represented as a significant geographic symbol of Yi Sang’s late literary career(1935-1937) due to his death in Tokyo. However, when focusing on the sense affects on Seongcheon essays, the theme not only could be clarified with the keywords such as despair, boredom, or death, but also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two features. First,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in)human bodies are described especially through the sense of taste affect. Taste shows sociocultural environment or identities of humans, and the interaction of eating food has the effect of loosening the self consciousness of Yi Sang that otherizes nature or people in Seongcheon. Second, taste or smell acts to recall the past. These past images symbolize the hope that is contrasted to the temporality of boredom which is characterized as repetitions without any differences. This hope is specified by the image of white fruit in Journey to Mountain Village(「山村餘情」), which embodies the process of the culture of silkworms, showing the positive alliance among female workers, silkworm, mulberry and mulberry leaves, and weaving machine. The affective experiences in teahouse or empty land in Gyeongseong(Seoul) in Yi Sang’s Early Spring Description(「早春點描」), Autumn Lamp Essays(「秋燈雜筆」), written after coming back from Seongchoen, are described as the affective spaces different from other colonial spaces. Through this work, it can be clarified how Yi Sang had described the positive affective spaces in Seongcheon and Gyeongseong, and also allows to get another account from supposing Tokyo as the final destination of hi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