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분석 : 가정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김남은,허영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를 분석하여 초등 학교 실과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현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의 내용을 비교하고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의 타당도는 CVR 지수 0.93으로 충분히 타당하다고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 내용과 관련된 SDGs 목표는 17개 목표 중 11개, 169개 세부목 표 중 23개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에서 SDGs 주제별 관련된 가정생활 영역은 환경적 관점이 22개로 가장 많았고, 사회·문화적 관점이 14개, 빈곤과 기아종식이 3개, 경제적 관점이 3개였다. 셋째, SDGs 세부목표 중 양성평등은 5학년, 6학년 모든 실과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깨끗한 물과 위생,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의 경우도 대부분 제시되어 있다. 반면, 불평등 감소, 기후변화와 대응, 산업·혁신·사회기반 시설,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목표의 경우 지속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함 에도 불구하고 5학년에만 제시되고, 6학년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in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basic data so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realized in pract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a total of 10 people was constituted, and the CVR result after analysis was verified to be sufficiently valid as 0.9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11 out of 17 goals and 23 out of 169 specific goals were related to the SDGs goal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Second, in practical art textbooks, the number of contents in the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SDGs subject classification was 22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14 from the socio-cultural point of view, 3 from the eradication of poverty and hunger, and 3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Third, gender equality among the SDGs targets was presented in all subjects and textbooks in grades 5 and 6, and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also presented in most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equality reduction, climate change and response, industry, innovation, social infrastructure, decent jobs, and economic growth goals, they are presented in the 5th grade and not in the 6th grade textbooks, despite the need for continuous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deal with them for next curriculum.

      • KCI등재

        21세기 일본의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 - 중국위협에 대한 전략과 지역구상 -

        김남은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60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nderlying factors that drive Japan's geopolitical perceptions and strategies in the 21st century. Japan's geopolitical perceptions and strategies are centered on strong Chinese deterrence, which is justified by the need to prevent threats to Japanese security, and emphasizes Japan's role and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pecifically, it calls for strengthening Japan's unique and robust defense system, enhancing military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strengthening solidarity with countries that share universal values. In particular, Japan introduces new geographic concepts such as the “free and open Indo-Pacific” and sees its mission as providing leadership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universal values, which have emerged as an indispensable condition of Japan's geopolitical strategy, are presented as a means for Japan to continue to expand its strategic space for its own active interest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based on geopolitical interests and as a justification for deterring China. Moreover, the highly geopolitical strategy of applying universal values to the region to establish new regional boundaries and order inevitably presupposes the strengthening of Japan's own defense capabilities. 본 연구는 21세기 일본의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을 추동하는 기저 요인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일본의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은 일본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것으로 당위성을 확보하고, 국제사회에 대한 일본의 역할과 공헌을 강조하며 강력한 중국 억지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의 독자적이고 견고한 방위체제 강화, 미국과의 군사협력 강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와의 연대 강화를 내세운다. 특히 일본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을 하나로 엮어내며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등과 같은 새로운 지리적 개념을 도입하고, 이 지역에 일본이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을 사명으로 여긴다. 일본의 지정학적 전략에서 필수불가결한 조건으로 등장한 보편적 가치는, 일본이 자국의 이익을 위한 전략적 공간을 계속 확대해나가기 위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동시에 지정학적 이해관계에 기반을 두고 중국 견제의 정당화 논리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보편적 가치를 지역에 접목하여 새로운 지역의 경계와 질서를 구축하려는 고도의 지정학적 전략은 필연적으로 일본 독자적 방위력 강화를 전제로 한다.

      • Fuzzy 情報 處理를 爲한 效率的인 推論 方法에 關한 硏究

        김남은,정환묵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1 응용과학연구논문집 Vol.1 No.-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three types of heuristic knowledge through fuzzy production rule that is used for processing uncertain information in expert system. And then we defined ITV(Interval Truth Value) for processing ambiguous term and the expression of thought. Futhermore, we suggest the method of fuzzy reasoning which transform LTV(Linguistic Truth Value) into LTV with rule tabl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 영역 내용의 세계시민교육 연관성과 초등 실과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김남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UNESCO의 교육 2030에서 공동 지표로 채택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이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실과 교과서에 어떻게 내용으로 제시되 고 있는지 알아보고 실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요소를 분류하여 정리한 후 이를 분석 준거로 하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성 분석법으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30개의 성취기준 중 10개의 성취기준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요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관련 내용요소는 다양성, 정체성, 환경에 대한 관심, 차이와 다양성 존중, 협력과 문제 해결, 적극적 참여와 실천이다. 분석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는 5학년 6권, 6학년 6권으로 총 12권이다. 나의 성장과 발달 단원은 다양성, 자아정체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인간과 공동체의 영향과 가정생활문화와 안전 단 원은 다양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환경에 대한 관심, 인간과 공동체와의 연결과 영향, 적극적 참 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해결과 관련이 있다. 자립과 생활관리 단원은 지속가능발전, 환경에 대한 관심, 비판적 사고, 윤리적 책임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다. 탐구성 분석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영역은 0.23으로 나타나 비 탐구적인 성 향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판적 사고, 윤리적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등의 역량을 함 양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교과서 서술 방식이기에 차기 교과서 개발에는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가 실과교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되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실천적 교육 방법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adopted as a joint indicator in UNESCO's Education 2030, i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extbooks. To this end,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and 2015 textbooks were analyzed by Romey's Inquir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10 out of 30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lated content elements were diversity, identit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e research subjects are 12 textbooks in 5th grade in 6 volumes and 6th grade in 6 volumes. Growth and development unit was related to diversity, self-ident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the influence of people and communities. Family life culture and safety unit was associated with divers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connections and impacts between humans and communities,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The self-reliance and life management units were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rn for the environment, critical thinking, ethical responsibility,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the family life field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0.23 as a whole, showing a non-exploratory tendency. Since this is a textbook narrative method that is not suitable for cultivating competency such as critical thinking, ethical responsibilit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because the next textbook narrative development will require a discussion on th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studies on education methods that can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al subjects will continue.

      • KCI등재

        朝鮮開化における金玉均と福沢諭吉の相互認識

        김남은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7 No.-

        19世紀中葉以来、西洋列強の動向と深く関わりながら近代日韓の相互 認識が形成されることとなる。これは西洋化․近代化の達成度から評価されるものであって、それまでのあり方とは決定的に異なるものであった。それゆえ、本稿は西洋文明の導入による自国の近代化を目指していた金玉均と福沢諭吉を考察の対象とすることで、彼らは「伝統から近代への転換という潮流にどのように対応しようとしたか」という問いに答え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具体的には、19世紀後半における朝鮮をめぐる国際情勢に着目しながら、日本を利用しつつ日本をも乗り越える「力強い現代的国家」を目指し朝鮮近代を主導した金玉均と、「援助」というきわめて具体的な対朝鮮政策をもって「朝鮮の近代=日本化」をはかった福沢の相互認識を明らかにしている。

      • KCI등재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TEMPS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김남은,허영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angemaker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Changemak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growth of learners applying the TEMPS program.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Changemaker education was defined. Changemaker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changes society in a positive direction through a process of thinking about, learning about, making, and participating(playing) in various problems that we face in real life and drawing out solutions and share he solutions with others. Second, in this reasearch, the direction of Changemaker education is to make them interested in social problems and solve it and to make both the family and the career life happy and healthy by collaborating with other people. The scope of the contents is defined as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elements of the five domains of the child family, diet nutrition, clothing, housing and consumer life”. As a way of teaching, we suggested that the TEMPS phase is followed so that the session purpose is achieved. Third, the Changemaker program consists of five steps of TEMPS among the five key ideas of Changemaker education. T(Thinking) is the step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thinking about how to solve it, and E(Education) is getting the background for the next step. M(Making) is a step to create a target for problem solving, and P(Participation) and P(Play) are steps to Participation and enjoy. S(Share) is a step of changing the society through the result display, SNS sharing, and class presentation. In this study, 12 programs for middle school and 15 programs for high school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EMPS level. Each of the programs consists of 2 to 12 unit hours, which add up to 68 hours in the middle school program and 68 in high school.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hangemaker program for one year (March 2, 2018~December 31, 2018) will experience improvement in many aspects including the linkage of life and education, practical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self-esteem,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reflection, sensory observation, and so on. 이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정과 수업에 맞는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한 후 이를 적용한 학습자의 성장에 관한 사례를 통해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체인지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Thinking), 배우고(Education), 만들고(Making), 참여하고(Participation) 즐기며(Play)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서로 공유(Share)하여 변화(Change)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폭넓은 메이커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공감, 협업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을 주도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하고 내용의 범위를 “아동 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의 5개의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세부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방법으로 “주제별로 TEMPS 단계를 통해 교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로 제안하였다. 셋째,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의 설계는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5가지 핵심 아이디어 중에서 TEMPS를 단계로 프로그램을설계하였다. T(Thinking)는 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이고, E(Education)는 다음 단계(Making)를 위한 배경지식을 얻는 단계이다. M(Making)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목표물을 만드는 단계이고, P(Participation)와 P(Play)는 참여하고즐기는 단계이다. S(Share)는 결과물 전시, SNS공유, 수업 발표회 등을 통해 교육적으로 확산을 시켜 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Change)시키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TEMPS 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중학교 12개 프로그램, 고등학교 15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당 각각 2차시~12차시로 중학교 총 68차시, 고등학교 총 68차시 분량이다.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에 1년 간(2018년 3월 2일~2018년 12월 31일) 참여한 학습자들은 삶과 교육의 연계, 실천 능력의향상, 자기 주도 학습, 자존감 향상, 성취감과 자기 성찰, 비판적 인식 향상, 감각적인 관찰 등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새우의 급성간췌장괴사병과 수입 위생 조치

        김남은,김도형,Kim, Nam-Eun,Kim, Do-Hyung 한국어병학회 2015 한국어병학회지 Vol.28 No.1

        In 2009 outbreaks of an emerging disease in shrimp farms were first reported in China. The disease was known as early mortality syndrome (EMS), or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disease (AHPND). Since 2009, the disease has been spread to Vietnam, Malaysia, Thailand and Mexico. The causative agent of the disease was identified as Vibrio parahaemolyticus. It is a common seawater inhabitant bacterium, and the pathogen can sometimes contaminate seafood. The disease has caused mass mortality of cultivated shrimp, and huge economic losses in the countries nam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AHPND, emergency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of import conditions and even import bans, were put in place by many other countrie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arge quantities of shrimp imports from countries, such as Thailand and Vietnam. Transportation of live and fresh dead shrimp is highly likely, and could be a transmission pathway if the shrimp are sourced from populations in AHPND endemic area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mporting countries may provisionally adopt sanitary or phytosanitary measures on the basis of available pertinent information, including that from the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from sanitary or phytosanitary measures applied by other countries based on "Agreement on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It is pertinent that Korea also takes proper emergent measures to keep out diseases and provide safe sea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