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원의 법적지위 연구

        김기선(Ki-Sun Kim),전영우(Yeong-Woo Jeon) 한국해사법학회 2021 해사법연구 Vol.33 No.2

        한국선원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선원의 직무상 재해율 9.49%는 고용노동부에서 발행한 2020년 산업재해 현황분석에 따른 육상노동자 사고 재해율 0.49%보다 19.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선내안전보건과 관련한 사고율이 심각한 수준이다.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2019년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따른 우리나라 사고 사망만인율(0.46‱)은 선진국(영국 0.04‱, 일본0.15‱)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다. 선원재해예방을 위한 선내안전보건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의정비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이행하는 수범자인 선박소유자와 선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선원재해예방을 위해서는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박소유자의 의무 준수와 더불어 선박소유자의 조치에 대한 선원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선내안전보건의 문제는 선박소유자의 이행의무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다. 이로 인해 선원은 선내안전보건에 있어 주로 권리의 향유주체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선내안전보건에 있어 선원은 주로 권리의 향유주체이지만 이와 동시에 의무의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원재해예방을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선내안전보건에 있어서 선원의 권리와 의무를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선원이 선원재해예방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선원의 법적지위의 재정립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원의 공법상 권리 및 사법상 권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선내안전보건기준을 시급하게 제정·시행하여야 한다. 둘째, 선원의 제3자에 대한 배려, 위험에 대한 보고의무, 주의의무 등 선원의 의무 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선원법상 안전배려의무를 명문화하여 선원 스스로 안전보건기준의 준수 및 이행에 있어 적극적이고 주체적 역할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안전배려의무의 위반 시 선원의 이행청구권도 인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9.49 percent for seafarer in 2020 according to the Korea Seafarer’s Statical Year Book is 19.4 times higher than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0.49 percent for shore worker according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in 2020 issu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It means that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Seafarers is a very serious level. Korea s accident mortality rate(0.46‱)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2019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s also very high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UK 0.04‱ and Japan 0.15‱). In order to improve the standard of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ship for the prevention of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not only the improvement of relative regulations is important, but also the roles of shipowners and seafarers who implement them are important.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it is essential to comply with the obligations of shipowners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as well as to cooperate with shipowners actions. In the meantime the issue of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has been discussed mainly by shipowners performance obligations. As a result, seafarers have been recognized primarily as enjoying rights relating to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However, in respect of the safety and health aboard, seafarers are those who should primarily enjoy rights,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parties subject to obligations. As a solution for preventing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this study intends to study and propose amendments to redefine the seafarer’s legal position so that the seafarer can be independently and actively involved in preventing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through a comparative law review of crew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afety and health aboar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s on the safety, health and accident prevention on board should be legislated and enforced in order to provide seafarers with rights of both public and private law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seafarers’ duties such as safe care for a third party, duty of reporting hazards, duty to take caution. Third, the duty of care for safety should be explicitly introduced in the Seafarers’ Act in order for seafarers to enable them to play positive and key roles in observing and implementing the safety and health standards and seafarer fulfillment claims should also be admitted for the case of breaching the duty of care for saf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아웃소싱의 노동법적 문제

        김기선(Ki Sun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3

        사업 또는 사업의 일부를 해외로 아웃소싱하는, 이른바 글로벌 아웃소싱을 시도하는 기업의 리스트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경제의 근본적인 구조변화로서 경제가 한 국가 단위를 초월하여 국제적인 가치사슬(Value Chain)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 및 일자리 등 국내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이론적으로 예측하기란 어려운 문제이다. 다만 확실한 것은 글로벌 아웃소싱이 각 생산요소의 국제적 이동가능성을 비대칭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글로벌 아웃소싱에 의해 자본이라는 요소의 이동성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노동이라는 요소는 그 속성상 일정한 지역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여전히 이동성이 제약되기 때문이다. 이 글은 글로벌 아웃소싱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노동법적 문제와 그 과제를 다룬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우선 글로벌 아웃소싱으로 인한 고용관계의 이전의 문제를 살핀다. 이후 글로벌 아웃소싱으로 인한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문제를 검토한다. 또한 글로벌 아웃소싱과 관련해서는 구조조정의 쟁의행위의 정당성이 문제될 수 있다. 끝으로, 이 글에서는 고용안정협약과 관련된 문제를 검토한다. The list of companies that performs a shift operating locations abroad, is getting longer. This development is an expression of a fundamental structural change in the economy that creates international value chains. The impact of these developments on the labor market in general are difficult to assess. The starting point is indisputable that the opportunities for cross-border Moblität for the factors of production grow asymmetrically. While the mobility of the factor capital has grown dramatically by these developments, the factor work remains localized for structural reasons. This paper deals with labor law issues of global outsourcing. In this context, first focus is the question of the transfer of employment. Following this, the legality of the dismissal for business reasons should be stated. Then the question arises whether the strike against the dismissal for business reasons is unlawful. Fin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al problems of securing employment agreement.

      • 진동 인텐시티 해석을 통한 원유운반선의 거주구 횡방향 진동 저감 연구

        김기선(Ki-Sun Kim),희원(Heui-Won Kim),주원호(Won-Ho Joo)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2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Structural intensity has been mainly utilized to identify vibration energy flow in a vessel. In this paper, the structural intensity of a shuttle tanker subjected to H-moment of the main engine was calculated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op-bracing elements, which support the main engine onto the hull structure to prevent the excessiv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main engine, play the role of the dominant path and sink for vibration energy flow from the main engine. Therefore, the structural intensity was controlled by the modification of stiffness and damping characteristics of the top-bracing elements.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the transverse vibration level at the center of navigation bridge deck decreased after the control of structural intensit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UCP 600 합리성 행위기준의 적용방식: 서류검토기간의 효율과 형평의 균형

        김기선(Kim, Ki Sun) 한국무역상무학회 2013 貿易商務硏究 Vol.57 No.-

        This study analyzes some important spin-off effects of the provision, UCP600 Article 14(6), through the methodology of the expected utility maximization theory based on the state-contingent commodities model. Some tech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isk-averse beneficiary will choose to present his documents more than 5 days before expiry date by paying a higher risk premium (so-called cure period) for full assurance to cure documentary discrepancies, if expressed economically, he pursues loss reducing activities to the point where the expected marginal product of his activities is less than its marginal cost. Secondly, where the effectiveness of securing cure period is uncertain, the risk-averse beneficiary will choose to present documents just on the expiry date without securing any cure period by paying no risk premium.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e safe harbor standard should be optimal solution only if it is supplemented by the hidden reasonableness standard for balancing the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beneficiaries and ban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