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신구 개념과 기능의 확장 - 1 : 웨어러블의 개념으로 재해석된 장신구의 의미 확장을 중심으로

        김계옥 ( Kim Kye-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의 개념으로 재해석된 장신구를 통해 장신구의 의미와 기능의 확장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아트, 디자인, 과학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소통 방법으로서의 장신구에 대해 논구하였다. 전통적인 장신구의 형식을 뒤집고 장신구의 정체성에 대해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는 개념적 장신구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일반적 장신구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확장을 도출하였다. 퍼포먼스 아트, 제품, 패션디자인 영역에서의 인체의 쓰임을 장신구 영역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과 의미를 중심으로, 인체 그 자체로서, 확장된 인체의 기능으로써의, 감각적 경험으로서의 장신구 범주로 분석하여 새로운 장신구 형식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장신구는 감성적 경험으로서의 치장을 위한 도구로서 신체 그 자체로서 장식이 가능하며, 여러 제품의 기능을 수반하여 데스크톱, 테크노, 메티컬 장신구 등으로 그 기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신체 공간의 확장된 기능과 의미를 통한 감성적 장신구의 새로운 언어는 아름다운 신체 장식 이상의 문화적 이모티콘으로 발전될 수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extension of meaning and function of jewellery through the new value of jewellery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wearable. Based on the idea, examining the jewellery as new communication tool through fusing art, design and science. As analyzing on conceptual jewellery art which various trying to identity of jewellery reversed traditional jewellery formation, deducting restructure and extension of recognition for general jewellery. It inspects possibility to the formation of new jewellery through analyzing jewellery approached to body itself, extended functions of body and sensorial experience as based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interaction with area of jewellery through the use of body in area of performance art, product and fashion design. It is possible to decorate as the body itself by the ornament tool of sensory experience, showing the extended possibility of functions as desktop, techno and medical jewellery as adding various functions of products. The new language of sensory jewellery through the extended function and meaning of body space could be developed the cultural emoti-con beyond the beautiful object.

      • SCOPUSKCI등재

        근적외 분광분석법에 의한 고춧잎의 Ascorbic Acid 함량 측정

        김계옥(Kye-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3

        건조 고춧잎의 ascorbic acid 함량은 건조방법간에 다소 잔존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vacuum 건조시 공기와의 접촉이 없어서 ascorbic acid 잔존량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근적외 분광분석에 의한 건조 고춧잎의ascorbic acid 신속 측정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로 고춧잎과 같은 채소에 함유된 ascorbic acid 함량을 신속히 측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e loss of ascorbic acid in dried red pepper leaves prepared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of air-, oven-, microwave oven-, and vacuum drying with blanching or without was determined by a HPLC method. Vacuum drying showed the least loss of ascorbic acid than the other drying methods. Additionally, the feasibility o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NIRS)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in the red pepper leaves was studied. NIRS was found to be an efficient way of determining ascorbic acid contents in red pepper leaves, requiring only 30 seconds of an analytical time.

      • KCI등재
      • KCI등재

        KISE-BAAT(수학)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박경숙 ( Kyung Sook Park ),정동영 ( Dong Young Chung ),정인숙 ( In Suk Jeong ),송영준 ( Young Jun Song ),김계옥 ( Kye Ok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ISE-BAAT(Math). KISE-BAAT(Math) test was administered 2,000 students from kindergart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ented that overall alternate-form reliability coefficient is .89 and by subtest it ranges from .36 and .97.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shows high level of reliability of .98. By grade and subtest it ranges from .39 through .96 for Form A and .28 through .95 for Form B. The overall item response theory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also presents high level of .97 and .99. By grade and subtest it ranges from .69 through .97 for Form A and .77 through .95 for Form B. The overall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of each alternate form presents 2.11 and 2.32 respectively. By grade and subtest it ranges from 0.7 through 1.54 for Form A and .07 through 1.79 for Form B. The overall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presents .98. By grade and subtest it ranges from .88 through .97 for both forms. Cronbach``s coefficient alpha of each alternate form presents high level of reliability of .99. By grade and subtest it ranges from .25 through .96 for Form A and .37 through .97 for Form B. As for the ontent validity related expert team worked from the stage of setting up standards of achievement, developing test items. The item tryout was administered to select and arrange test items.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was examined. The valid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and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showed .70 and .75 respectively. As for inter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ubtests range from .81 to .95.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KISE-BAAT(Math) is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test instrument.

      • KISE-기초학력검사(KISE-BAAT)개발연구

        박경숙,김계옥,송영준,정동영,정인숙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12

        본 연구는 학교 학습 특히. 국어와 수학에서 부진을 나타내는 아동을 선별 또는 진단하고, 이들이 부진을 나타내는 영역과 수준을 파악하여 이들의 교육계획 수립과 적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용 기초학력 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KISE-BAAT)의 개발을 위해 기초학력의 개념과 기초학력의 구성요인 등을 탐색하여 KISE-BAAT의 구성모형을 개발한 다음, 그 모형을 토대로 검사문항의 성취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토대로 범교과적으로 통용할 수 있는 KISE-BAAT의 검사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학생 1,499명을 대상으로 KISE-BAAT의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검사문항의 변별도와 양호도 등을 분석하여 최종 검사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KISE-BAAT의 표준화를 위해 전국의 유치원,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중인 5~l4세의 아동 5,97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규준의 작성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 통계를 산출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력을 기초학력 과 심화학력으로 구성 된다고 가정 하여 심화학력에 의 한 학업성취를 제외한 학업성취를 기초학력으로 규정하고, 만 5세부터 14세까지 아동의 기초학력을 측정하는 개인용 기초학력검사인 KISE-BAAT를 개발하였다. KISE-BAAT는 KISE-BAAT(읽기), KISE-BAAT(쓰기), KISE-BAAT(수학)의 3개 검사로 구성되는 복합심리검사(battery)로서 각각의 소검사는 가형과 나형 2종의 동형검사로 구성되어 교육 프로그램의 사전ㆍ사후효과, 일반화 및 전이효과 측정을 용이하게 하며, 백분위수ㆍ환산점수ㆍ학력지수 학년규준의 제시로 아동의 기초학력의 지체 여부와 정도에 대한 진단과 더불어 교육계획의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KISE-BAAT는 학교학습의 도구가 되는 읽기ㆍ쓰기ㆍ수학의 기초학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결과를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개인용 기초학력검사라 할 수 있다. 둘째, KISE-BAAT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동형검사 신뢰도계수는 KISE-BAAT(읽기) 가형과 나형 .82, KISE-BAAT(쓰기) 가형과 나형 .69, KISE-BAAT(수학) 가형과 나형 .89로 나타났고, 반분신뢰도 계수는 KISE-BAAT(읽기) 가형 .93, 나형 .92, KISE-BAAT(쓰기) 가형 .91, 나형 .94, KISE-BAAT(수학) 가형과 나형 모두 .98로 나타났으며, 문항반응이론 신뢰도 계수는 KISE-BAAT(읽기) 가형과 나형 모두 .90, KISE-BAAT(쓰기) 가형 .99, 나형 .96, KISE-BAAT(수학) 가형 .97,나형 .99로 나타났다. 그리고 측정의 표준오차는 KISE-BAAT(읽기) 가형 .76, 나형 .85, KISE-BAAT(쓰기) 가형 .90, 나형 .92, KISE-BAAT(수학) 가형 2.11, 나형 2.32로 나타났으며, 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KISE-BAAT(읽기) 가형 과 나형 모두 .96, KISE-BAAT(쓰기) 가형 .95, 나형 .96, KISE-BAAT(수학) 가형과 나형 모두 .98로 나타났으며, 문항의 내적 일치도 계수도 KISE-BAAT(읽기) 가형과 나형 모두 .98, KISE-BAAT(쓰기) 가형과 나형도 모두 .98, KISE-BAAT(수학) 가형과 나형 모두 .99로 나타났다. 따라서 KISE-BAAT의 KISE-BAAT(읽기), KISE-BAAT(쓰기), KISE-BAAT(수학) 가형과 나형은 모두 측정학적으로 아동의 기초학력을 측정하는데 있어 일관된 수치와 정보를 제공해 주는 도구라 할 수 있다. 셋째, KISE-BAAT의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ISE-BAAT(읽기) 가형ㆍ나형과 KEDI-기초학습기능점사 읽기Ⅱ의 상관계수는 각각 .50, .56, KISE-BAAT(쓰기) 가형ㆍ나형과 KEDI-기초학습기능검사 읽기Ⅰ의 상관계수는 각각 .68, .67, KEDI -기초학습기능검사 쓰기와 상관계수는 각각 .51, .68, KISE-BAAT(수학) 가형ㆍ나형과 KEDI-기초학습기능검사 셈하기의 상관계수는 각각 .70, .75로 나타났다. KISE-BAAT와 KEDI-기초학습기능검사는 매우 다른 영역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다른 개념을 기초로 제작된 것이나 두 검사간의 상관계수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인 타당도의 한 측면을 나타내는 KISE-BAAT 검사영역 상호간 상관계수는 전체적으로 KISE-BAAT(읽기) 가형이 .23에서 .93을, 나형이 .19에서 .91을 범위로 하고 있으며, KISE-BAAT(쓰기) 가형이 .70에서 .95를, 나형이 .73에서 .95을 범위로 하고 있고, KISE-BAAT(수학) 가형이 .81에서 .94를, 나형이 .83에서 .94를 범위로 하고 있다. 따라서 KISE-BAAT는 개발의 과정에서부터 이루어진 내용 타당도의 확보를 위한 노력 등으로 기초학력을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KISE-BAAT는 아동들의 읽기ㆍ쓰기ㆍ수학 기초학력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개인용 기초학력검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KISE-BAAT는 연구 수행상의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 활용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계속 수정 보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KISE-BAAT는 문항 편파성 분석 (item bias analysis)과 일반화 가능도 분석에 대한 연구와 더 폭넓은 타당도 분석을 위해 사고력 검사나 다른 학력검사와 공인타당도 분석 등을 연구해야 한다. 그래야만 KISE-BAAT는 아동의 기초학력을 진단 평가하는데 더욱 유용하고 정교한 검사로 발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battery, KISE-BAAT(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student's achievement and performance in reading, writing and math. In order to develop the test battery the concept and construct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the framework of the test battery was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est items were established and test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urrent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he item tryout of KISE-BAAT was administered to 1,499 students in grades K, 2, 5, 8, 12 and in college.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data were obtained. Items were selected by reviewing all data available.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was administered to 5,977 students in grades K through 9. Data obtained from the standardization test used to develop national norms for the test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KISE-BAAT, a test battery for an individual, consists of three tests of reading, writing and math. Each test has Form A and Form B. KISE-BAAT is used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an individual student of age 5 through 14. The data can be used for general instruction, remedial i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Second, Several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the reliability of KISE-BAAT. Alternate-form reliability coefficient of KISE-BAAT(Reading) is .82, KISE-BAAT(writing) .69, KISE-BAAT(Math) .89. As for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Reading) shows .93 and .92. In KISE-BAAT(writing) .91 and .94 are presented. In KISE-BAAT(Math) .98 in common. Item response theory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Reading) are .98 in common. In KISE-BAAT(writing) .90 and .92 are presented. In KISE-BAAT(Math) .97 and .99 are presented.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Reading) is .76 and .85, for KISE-BAAT(writing) .90 and .92 and for KISE-BAAT(Math) 2.11 and 2.32.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Reading) are .96 in common. In KISE-BAAT(writing) .95 and .96 are presented. In KISE-BAAT(Math) .98 is presented in common. Thir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KISE-BAA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was examined. The valid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Reading) and Reading II of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showed .50 and .56 repectively. The valid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Writing) and Reading I of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showed .68 and .67 respectively. Reading I of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was matched to KISE-BAAT(Writing) since it has features of writing ability. The valid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Reading) and Writing of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showed .51 and .68. The validity coefficient of each alternate form of KISE-BAAT(Math) and Computing of KEDI-Basic Academic Ability Test showed .70 and .75. As for intercorrelation coefficents between subtests KISE-BAAT(Reading) range form .23 to .93. In KISE-BAAT(Writing) from .70 to .96 and in KISE-BAAT(Math) from .81 to .94. Based on all the data mentioned above KISE-BAAT can be said a reliable and valid test battery which assess students' ability in reading, writing and math. However, KISE-BAAT should be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order to compensate its own limitations. Future research on item bias analysis and generalizability needs to be done. Criterion-related valid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sychological tests or achievement tests also should be done to validate KISE-BAAT further. Case studies and suggestions from test users will also contribute to improve KISE-BAAT.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Ⅰ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3

        우리 나라 특수교육은 전환기적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른바 특수교육 요구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라는 양적 교육의 시기를 넘어 현실적 여건에서 최상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질적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교육에서 질적 교육으로의 전환을 패러다임 이동이라는 맥락에서 본다면,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은 특수교육기관의 내·외적 체제를 재구조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 여기에는 현 체제의 틀 속에서 그 개선을 요구하는 온건한 경향성도 있지만 체제 자체를 붕괴하고 재편하고자 하는 급진적 경향성도 나타나고 있다.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 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우리 나라의 특수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그 분석모형의 설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의 경향성, 선진 외국의 특수교육 추세, 특수교육기관의 운영형태와 방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서 분석모형을 정립하였다. 이런 분석모형은 현특수교육 체제 의 틀 속에서 그 개선점을 찾고, 나아가야 할 지향점 을 정립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었다. 즉, 본 연구의 분석모형은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학교교육 재구조화의 측면에서 그 실상과 개선점, 지향점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분석요인은 특수교육기관의 일반현황,교육활동,교육지원활동으로 세분화하고, 그 영역에 따른 요인을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조사지에 의한 양적접근과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접근에 의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정립, 분석요인 추출, 분석방법의 적용이라는 일련의 수행과정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 첫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에 대한 제도적 지원방안이 단계적으로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특별한 법적·제도적 규정과 지원이없이 그 수요에 따라 급증하였고, 제도와 규정이 이를 뒷받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황은 제도적 지원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다양한 장애 영·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상황에 기초한 단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을 설립유형별 및 운영형태별로 특성화하고, 장애 영·유아에 대한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는 전문화된 기관으로 유도하면서 장애 영·유아의 교육비에 대한 지원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장애의 발견, 진단, 배치, 교육 및 통합이라는 일련의 연속적인 체제에서 충분한 역할을 하여야 한다. 발달지원센터와 같은 진단 및 평가를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기관으로서 장애 영·유아의 발견 및 진단, 개개인에게 적절한 조기교육기관의 선정 및 배치, 적절한 조기중재와 조기특수교육, 치료교육 이후의 학교교육 배치라는 일련의 연속적 체제에서 자체의 역할을 모색하여야 한다. 즉, 부모 및 가족지원에 중점을 둔 장애영아에 대한 조기중재, 그리고 통합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유아의 장애를 경감시키기 위한 전문적 조기특수교육의 충실한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방법과 교육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 연구가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장애 영·유아 조기교육을 위한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또 영세한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들의 운영난으로 인한 교육의 질적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행·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기교육은 부모의 재정부담이 크고, 이로 인해 교육기관들의 시설 및 교육환경이 열악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교육의 국가관리라는 측면과 장애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장애 영·유아의 교육을 위한 지원 및 통제를 점차 확대하여 장애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특수교육의 질을 확보하고, 사교육비 증대에 따른 부모의 가계부담을 덜어 주어야 한다. 넷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공교육의 틀 안에서 나름대로의 특성화를 통한 독자적인 정체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1~2세까지의 장애영아에 대한무상교육과 3~5세까지의 장애유아에 대한 의무교육을 조속히 실시하여 장애 영·유아 의 교육기회를 보장하여야 하며, 현재 유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설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들에 대해서도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장애 영·유아교육을 보완하는 기관으로 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모든 기관을 획일적으로 통제하기보다는 현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과 치료를 장애 영·유아 개개인의 욕구에 맞게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특수학교 첫째, 사립 특수학교에 대한 지원대책 및 특수학교 설치형태에 있어서의 변화가 요청된다.우리 나라 특수학교 교육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립학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일반학교 내 혹은 일반학교 밀집지역에 소규모 특수학교를 설치하여 교육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는 특수학교 교육 서비스를 요구하는 중증 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의 보장차원과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에 대한 지원적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특수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하는 차원에서 법령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학교의 재학생이 점차 중증·중복화되고 있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대도시의 경우 초·중학교 과정은 법정 학급당 학생수가 과밀한 상태에 있고, 전국 대부분의 고등학교과정은 법정 최고 학생수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부담 경감 및 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 학급당 법정 학생수의 감축을 위한법령 개정이 요구된다. 셋째, 특수학교는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의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총체적인 질 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넷째, 특수학교 교원정책에 있어서의 일부 개선이 요구되어진다. 특수교육 자격소지자의 학교배치 비율을 점차 확대하고, 교원의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동시에 의무기한 연수제를 두어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반드시 교원연수를 받도록 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의 업무과중과 교육부담등을 감안하여 특수교육 보조원을 배치하는 방안이 조속히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환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환교육을 IEP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수가 전국 단위로 실시되어져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 재학생들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을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보다 체계적인 협력체제가 조성되어야 한다. 여섯째, 특수학교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교육활동 이외에 부가되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즉, 학생 진단 · 평가, 치료, 지역사회연계, 학부모 연수 등의 활동을 학교 교육계획에 입안하여 연중 실시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 계획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일곱째, 국가수준, 학교수준, 학생수준이 연계된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센터(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CDC)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기관을 두어 개발하고, 단위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기구를 지역교육청에 설치 ·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수준 교육과정을 위한 학교별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기구를 설치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연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특수학급 첫째, 특수학급은 관(국가) 주도의 설치로 지역별 분산율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교과정별 설치에서의 불균형 상태를 해소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수에 비해서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에서 특수학교에 역통합되거나 일반학교에 무방비한 상태로 입학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증설이 요구되며,특히 읍·면 지역의 고등학교 과정 특수학급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서 특수학급 교육의 연계성 확보, 고등학교 과정의 학급당 인원수 감축, 장애학생 학부모의 교육부담 경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지역별로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이 일정 수에 도달하면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설치를 의무화하는 것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학생 교육의 질 및 특수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원정책의 일부 조정이 요구되어 진다. 특수교사 자격소지자의 완전 배치,특수학급 담당교사의 가산점 제도 개선, 특수교육+일반교육 교사자격 소지자의 전근(보) 방지를 위한 조치, 일반 교과수업 및 특수학급수업 담당으로 인한 고충 해소책 등의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개발·제공 등을 통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기하고, 특수학급 학생의 중증화 경향에 대처하도록 하여야 하며,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업무부담을 경감하는 차원에서 순회치료교육교사 제도를 도입하여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의 치료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특수학급에서의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특수학급 재학생의 중증화 경항과 중복 장애학생의 배치율이 확대됨에 따라 특수학급의 주된 목적인 통합교육 실천에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해야 하며,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도입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합교육의효율적인 실천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 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된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들의 환경적 요인이 너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서 이들에 대한 교육적 차원뿐만 아니라 복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요청된다. 다차원적 영역(학업, 직업, 건강, 심리 및 정서, 가정환경 등)에서의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법제화함으로써 기존의 학습 진도표 및 학습계획서 수준의 개별화 교육계획서를 대치 혹은 보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환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환교육을 IEP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수가 전국 단위로 실시되어져야 찬다. 또한 특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학생들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직업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의 보다 체계적인 직업전환 체계를 조속히 만들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수학교와는 별도로 특수학급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구축하여야한다.별도의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특수교육 교육과정으로 통일하고 그 안에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을 구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에 교육과정 개발센터(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CDC)끼의 기능을 담당하는 별도의 기관을 두고, 지역단위 특수학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기구를 지역교육청에 설치·운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일곱째, 특수교육 장학진의 전공자 해치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수학급 담당교사와 지역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의 긴밀한 연계는 특수학급 학생의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중요한 관건이므로 지역교육청에 특수교육을 전공한 장학사를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교육 장학지침서 개발은 물론, 장학관련연수기회를 대폭 확대하여야 한다. Special education of Korea faces transitional phase on which it should move the focus on quality education from quantity education that emphasized the opportunities of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ransitional phase can be called the transfer of paradigm which demands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e demand of reconstruction appear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moderate tendency which demands revision under the current frame and radical tendency which calls for overturn of current system and total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ssues, and the desirable future directions of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Since the analysis model which the viewpoint of the study stands on is important, it was established through scrutinizing the tend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rends of special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type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management.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re two representative institutes for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al clas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clusion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constr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reform current measures and search for future directions. Analysis factors consisted of general stat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ive activities, and each category has its own factors.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hich were acquired through processes of the establishment of analysis model, extraction of analysis factors and implication of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eeds to be reconstructed. Recently, educational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diversified by the idea of quality of education and practical inclusion education policies. However, special classes do not meet students' educational needs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Special schools should demonstrate rudimentary changes in their management owing to transfer of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lsabilities to special classes and the subsequent problem of facing the fact that most of their students have multiple/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y continue the old-fashioned management. Therefore, special classes should be reconstructed as institutes for serving students with mild and moderate disabilities and special schools should be reframed as institutes for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lso followed in order to enforc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service system which includes screening, diagnosis, educational placements,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services after schooling. Second,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eed changes in their identities and more initiatives in their roles. Special classes should be managed to implement inclusion education efficiently and special schools should have the identity as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which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divided region. Currently special classes are recognized as inclusion education system, however, students in special classes a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 support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s considered to be unreliable. It is because the conditions of inclusion education at regular schools are not appropriate, the curriculum of special classes is unrealistic, and required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are not provided properly. Therefore, preparation of the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and materials for raising awareness on disability among non-disabled students, implementation of teacher-aide system should be supported effectively by the government policies. . On the other hand, the gradually increasing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is one of the salient features in the field. However, the reality manifests that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o not believ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Therefore, the process is quite slow and special schools still serv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t can be concluded that most special schools currently go through difficulties serving a whole array of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ies. Though the process is slow, special schools should be prepared for the future changes. In the near future they will have to serve mostly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and they should transfer their identity to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which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alloted region as well as their own students. Third, proper steps should be devised to promote connection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pecial classes are fairly dispersed in all areas nationwide, however, special schools cluster around the center of specific areas. That is the reason collaborative connection among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s needed so that special schools can support special classes with its plentifu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pecial schools are supposed to play the central role in special education services connec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and special classes. Through the system the functions of special schools and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promoted and the services of special classes can be supplemented. The future changes of management system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will be able to make progress more effectively with the changes in awarenes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mo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various curriculums, improvement of all environments surroun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Ⅱ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는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지원 및 정책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정 특수학급 1개 학급,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시각, 청각,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5개 학교, 총 6개 학교(급)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활동은 사전활동, 본 조사활동, 사후활동으로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사전활동은 인터넷 혹은 각종 자료를 통해 해당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며, 사후활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진 조사내용을 보충 및 보완하고, 조사결과를 숙의하기 위한 정보공유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과정에서는 연구자가 연구대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를 구성 하고 있는 학교장, 교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인적 구성원들과 학교를 배경으로 한 내·외적 교육환경,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심층적이면서도 다면적인 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와 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주된 수단으로 하는 질적 분석방법의 적용은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실제에서 일반화될 수 있는 것은 아주 제한되어 있다는 점과 교육실제의 의미구조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교육실제가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조망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적절하고도 유용한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일련의 수행과정과 사전활동,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그리고 사후활동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은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총체적인 질 관리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특수학급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특수학급 운영모델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교육여건 등이 다양한 것이 특징 이지만, 참조할 수 있는 기준적 인 특수학급 운영모델을 개발 · 보급하여 특수학급에 정착시키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갖은 틀 속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적 재량이 발휘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현재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의 장애가 중도·중복화 되는 경향이 해를 거듭 할 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및 지원대책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교육의 이념추구와 그에 따른 특수교육 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에 특수학교에 다수 배치되어 있던 경도 및 중등도 장애학생들이 특수학급으로 이동하면서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는 점차 중도·중복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는 이들 중도·중복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운영체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중도 및 중복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지원대책으로써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전담교사의 배치 및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조속히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경향에 따라 치료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치료교육활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실천에 있어서도 선택적 치료교육을 강조함으로써 치료교육이 학생이 갖고 있는 장애에 맞게 개별화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특수학교의 경우 치료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수가 부족하고, 치료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형편이어서 적절한 치료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강구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치료교육이 교실수업 자체에서 실천되도록 하는 노력이 단위학교에서 권고되어야 한다. 다섯째, 특수학교는 직업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인력 및 공간, 지원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학교 교육의 실제적 목표는 장애학생의 신변자립 및 사회적 자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에 대한 지원이 현실적 수준에서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특수학교는 학생들의 장애정도가 이전보다 훨씬 중증화되고 있고, 심지어는 사물의 인지조차 어려운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이 지적능력을 가진 일부 학생들만의 교육으로 전략하여서는 안되며, 그 대상폭을 확대하여야 한다. 교과교육이 아닌 직업교육에서조차 소외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또한 직업교육과 관련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학생들의 직업적 요구가 다양한데 비해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학교간에 차별화되지 않은 채, 직종과 장애영역이 상호 고착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장중심의 직업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교육 및 산학연대를 통한 직업교육의 확대, 장애학생 취업직종 확대를 위한 노력 등이 요구된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지원 및 학교차원에서의 실행방략에 대한 대책의 강구가 요구된다.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은 일반학교와의 교류형태 혹은 특수학교에 적을 둔 개별학생이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의 통합교육은 주로 발달장애학생들을 지도하는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고, 후자의 통합교육은 감각장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이들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고, 실효성 있게 실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되고, 단위학교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학생준비도 파악, 사전교육, 보조원의 지원 등과 같은 전반적인 통합교육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한다. 끝으로 특수교육의 전환적 시점에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위상정립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청됨과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에 대한 세부적인 영역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d to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 transfer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heoretical studies on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alysis models and analysis factors were established.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for quantitative analysi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qualitative analysis. While implemen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belong to anthropological research, researchers visited schools and carried out comprehensive survey activities on the school personnel such as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environment of the schools and interaction among them. In implementing this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generalization is fairly restricted due to the various and uniqu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and each factors of educational practices should be viewed not in unrelated fragments but in the whole educational context. This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one elementary course special class of a regular school and five special schools of different disability category; vision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y, and emotional disturbance. The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eps; preparatory activities, main survey step, post survey activities. During preparatory activities, researchers collected materials about the schools through internet or other resources and during post survey activities they supplemented the data acquired and shared ideas and information to consult the survey result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cquired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set up to support special schools which have increasingly larger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recently since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isabilities tend to move to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under the trend of inclusion education and accompanying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policies. The management of special schools need a large scale transfer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by developing prope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and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aide system soon. Second, efficient therapeutic education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The current seven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therapeutic education in order to meet each student's need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education. However, special schools suffer from shortage of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awareness on therapeutic education has not been properly promoted.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conditions and also to connect education and therapy in many ways. Third, special schools should be equipped with human resources, space and support system to provide appropriate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the ultimate practical goal of special schools can be said as each student's achievement of independent daily and social life, therefore, support for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its practices. Above all, vocational education should include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variety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needs in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do not reflect them properly with holding old-fashioned and specifically fixed occupation-disability relationships.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vide hands on vocational education, to promote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businesses to extend occup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state level and school level measures to activate efficient inclusion education should be set up. Inclusion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is usually implemented in two different ways. One is school level exchange programs mostly for schoo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ther is an individual student's visit and involvement in programs of a regular school and this type of inclusion is usually carried out for students with sensory impairments. In order to activate inclusion education more efficiently, state level initiative of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interposition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textbooks for non-disabled students, extension of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to support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tiprejudice instructions is in need and school level efforts to grasp students' readiness for inclusion, to provide preparatory education and to operate teacher aide system should be made. Fifth, since a special class is an institute providing welfare services as well as educational service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network and management of comprehensive student services such as general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each student and appropriate placement. Exis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Sixth,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pecial class management models are needed as references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of special classes even though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which operates special classes vary. It is important to set up measures to extend discretionary power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fforts for the settlement of identity. transfer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hould be continued and subsequent researches need to be followed to investigate each factor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 KISE-적응행동검사 개발 연구

        정인숙,강영택,김계옥,박경숙,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3

        본 연구는 우리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생활양식에 적합한 적응행동검사인 KISE-적응행동검사를 개발하여 정신지체학생과 같은 장애학생을 판별하는데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KISE-적응행동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국내 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적응행동검사를 분석하여 적응행동검사의 구성요인,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을 분석하여 KISE-적응행동검사의 모형을 개발한 다음,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939개 문항을 개발하고 실험적용을 통해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문항의 양호도를 분석하기 위해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17세의 학생 가운데서 559명을 표집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의 양호도 분석 결과에 의해 문항을 검토한 후 변별력이 낮은 문항을 삭제하고 242개 문항을 최종 검사문항으로 선정한 후 하위 검사별로 산출한 문항의 곤란도 순서대로 문항을 배열하였다. 본 연구의 표준화검사는 전국의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17세의 학생 중에서 일반학생 1,776명과 정신지체학생 1,765명, 총 3,5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표준화 검사의 분석내용은 규준작성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 통계와 신뢰도 검증ㆍ타당도 검증으로 크게 구분된다. 규준 작성 및 해석을 위한 통계자료는 각 연령별 환산점수, 개념적 적응행동ㆍ사회적 적응행동ㆍ실제적 적응행동 지수 및 전체 적응행동 지수 및 전체 적응행동 지수의 산출, 하위검사간의 점수 차이 및 평균에서의 이탈도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반분 신뢰도와 측정의 표준오차ㆍ재검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KISE-적응행동검사와 사회성숙도검사간의 공인 타당도와 KISE-적응행동 검사의 하위검사 상호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ISE-적응행동검사는 우리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생활양식에 적합한 문항으로 개념적 적응행동검사, 사회적 적응행동검사, 실제적 적응행동검사를 구성하고 일반학생을 규준으로 적응행동을 평가하되,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그들의 규준으로도 적응행동을 평가 하도록 규준을 산출하였으며, 적응행동도 지능과 동일하게 편차단위로 해석해야 적응행동의 지체 정도를 분석하는데 용이하고 피검자의 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도 쉽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차지수를 이용하여 적응행동 점수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KISE-적응행동검사의 신뢰도 검증 결과, 각 하위검사의 반분신뢰도는 일반학생의 경우 평균 .67에서 .98의 범위 내에,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평균 .71에서 .99의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고,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의 신뢰도는 일반학생의 경우 .94, .92, .80, .90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지체 학생의 경우 .97, .96, .96, .99로 나타났다. 측정의 표준오차도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에서 일반학생의 경우 2.74, 3.10, 3.43, 1.75으로 나타났고,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3.94, 4.54, 5.21, 2.82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모두 대체로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계수로 KISE-적응행동검사는 신뢰로운 검사라 할 수 있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 KISE-적응행동검사와 사회성숙도검사와의 상관계수는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에서 일반 학생의 경우 중학교 2학년에서 .67, .80, .76, .86, 정신지체학생의 경우 중학교 2학년에서 72, .61, .83, 78로 나타났다. 이것은 KISE-적응행동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는 서로 다른 배경과 적응행동에 대한 정의를 기초로 제작한 것이나 둘이 밀접한 상관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KISE-적응행동 검사는 타당도 높은 적응행동 검사라 할 수 있다. 넷째, 전체 연령에서 개념적 적응행동검사ㆍ사회적 적응행동검사ㆍ실제적 적응행동검사 및 전체 적응행동검사간의 상호 상관 분석 결과, 일반학생과 정신지체학생 모두 비교적 검사간에 상관을 나타내어 KISE-적응행동 검사는 검사영역간에 비교적 상관이 높은 검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발한 KISE-적응행동검사는 연구 수행상의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 현장에서 활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계속 수정ㆍ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KISE-적응행동검사는 개발 결과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보다 신뢰롭고 활용성이 큰 검사로 발전해야 한다. 따라서 KISE-적응행동검사는 적응행동지수 및 각 하위검사 점수들에 대한 해석을 위해 본 연구에 제시한 분석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이탈도 분석을 다양하게 시도해 볼 필요가 있으며, 각 장애영역과 관련하여 임상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고, 보다 예언력 있는 검사가 되기 위해서는 각 하위검사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도해 볼 필요도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s of adaptive behavior which is suitable for ou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a basic and compulsory instrument in order to identif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social adaptive scales in order to produce a model of Korean adaptive behavior scale and to develop items which fits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n we selected items through experimental trials. 559 students from K through 12, at the age of 2-17, were sampled in order to decide the item quality. According to the item analysis results, 242 items were finally selected and arranged by the item difficulty for each domain. For the normative procedure of this study, 1,776 non-mental retardation student sample and 1,765 mental retardation student sample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 The analysis of the standardized test results included statistics for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order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scales, converted scores by age,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practic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total quotient, score differences among domains, and deviance from the mean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SE-scales adaptive behavior consists of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social adaptive behavior, and practical adaptive behavior domains. The items were develop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suitability to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scale was standardized on two groups,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students without mental retardation. Therefor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be evaluated by two different norms. The interpretation of scores was based on deviation quotient as in intelligence tes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gree of retardation of adaptive behavior skills and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plans for the examinees. Second, examining the reliability reveled that the split-half test reliability for normal students fell between .71-.99 and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t fell between .73-.99.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practic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total scales reliability were shown as .94, .92, .89, .91 for normal students and .97, .94, .96, .96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tandard errors of measurement of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social adaptive behavior, practical adaptive behavior domain and total scales reliability were shown as 2.74, 3.10, 3.45, 6.45 for normal students and 3.94, 4.54, 5.21, 7.56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fine. Third,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revealed that correlation coefficeint between KISE ?scales adaptive behavior and Korean modified ABS-SE for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soci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practical adaptive behavior quotient, total scale reliability were shown as .72, .61, .83, .78 for normal students and .82, .80, .84, .84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values suggests that supportiv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s. Fourth, intercorrelation of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domain, social adaptive behavior domain, practical adaptive behavior domain and total scale through all ages suggested that norm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howed relatively independent results. KISE ?scales adaptive behavior need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issues and problems which will occur in the field. Follow-up studies such as factor analysis of each domain, investig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disability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and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deviance analysis can be expected.

      • KCI등재

        전통채소 밑반찬의 Recipe 개발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임숙자,이홍란,장기숙,김계옥 한국조리과학회 199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7 No.3

        Recipe for Korean typical wild-vegetable preparations were developed and changes in pH, total acidity and ascorbic acid were measured during the storage period at 4∼5℃. Crude fiber and minerals were also analyz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Changes in pH and total acidity were not significant in most of the samples an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vegetable preparations were in good conditions throughtout the storage period at 4∼5℃. The contents of ascorbic acid have been gradually reduced during the first 10-day storage showing 30∼70% retention and continuous loss to 30∼40% left on 20th-day. Crude fiber and mineral (Ca, P, Fe, K, Mg)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wild-vegetables than in the everyday use vegetable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tested samples were in good scores (overall scores>6) except sancho-seed pick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