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시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불안 해소에 미치는 영향

        김계옥,박성우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2 시각장애연구 Vol.28 No.2

        Recently released studies on Brain Education Program are focused on decreasing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are mostly conducted on regular students and some are conducted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DHA, or hearing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Brain Educ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and anxiety level according to gender, visual acuity and personality type. Brain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 22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n self-efficacy shows no difference in gender,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and personality type. Students with low vision present more positive results than blind students in the scores of self-efficacy test. Students with feeling personality type presents the same result. Second, the result on anxiety levels demonstrates no difference in gender,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and personality type. Students with low vision and students with feeling personality type present more positive results than blind students and thinking personality type in the scores of anxiety test for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최근 국내외에서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의 감소 등을 위해 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나, 주로 그 대상이 일반학생이나 ADHD, 정신지체 등 발달장애학생들로 다소 제한적이었고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접근은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2명의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 개인의 요인별 수준(성별, 시력정도, 성격유형)에 따른 시각장애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불안 감소 등 정서적 발달 촉진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시각장애학생의 정서ㆍ심리 발달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시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는 반면, 시력정도와 성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뇌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저시력학생이 전맹학생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형보다 감정형 시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다. 둘째, 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시각장애학생의 불안 해소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는 반면, 시력정도와 성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전맹학생보다 저시력학생이, 사고형보다 감정형 시각장애학생이 뇌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불안 해소에 효과적이다.

      • KCI등재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김계옥 ( Kim Kye 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현대 생물학의 급진적인 진보는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진화하며 우리의 삶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는 예술에도 활용되어 살아있는 유기체인 동식물, 미생물, 세포조직, 유전자등의 생물학적 물질이 매체로 이용되는 생물학적 예술이라는 새로운 경향을 불러온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웨어러블 아트 역시 생물학적 메타포를 통해 통념적으로 인식되는 의상과 장신구의 재료와 의미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매체의 확장적 개념을 포괄하며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인식한다. 이에 본 논문은 웨어러블 아트의 관점에서 생물학적 은유를 통한 표현사례들에 방점을 두고 그 의의와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일차적으로 생물학적 예술의 개념과 표현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미생물과 유전자의 생명활동이 예술의 범주 안에서 심미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웨어러블 아트의 개념과 신체에 대한 사유를 바탕으로 생물학적 매제와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아트의 작품사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적인 소재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둘째, 신체의 미적 변형을 유도하여 신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불러온다. 셋째, 인간과 공생하는 미생물과 유전자를 이용한 웨어러블 아트는 신체 내부에서 외부로 전위되어 객체와 주체의 분열을 통해 자아 정체성의 확장을 보여주며 주체성을 전복하고 신체성을 새로운 인간으로의 이행으로 이끈다. 이는 규정된 신체성과 인간이라는 개념을 과학과의 융합 그리고 이를 통해 구현된 생명에 대한 또 다른 아름다움에 대한 예술적 실천을 이룬다. 이러한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는 새로운 매체적, 의미적, 형식적 확장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내포한다. 그러나 장르 특성상 살아있는 유기체를 매체로 하므로 생명윤리와 도덕적 관점에 대한 논의를 동반하므로 이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숙고가 동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생물학적 접근의 긍정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웨어러블 아트의 예술적 표현성과 의미를 확장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에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radical progress of modern biology has been evolving in a wide range of areas, changing our life. Bi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arts and brought an entirely new trend called biological arts, where biological materials such as animals and plants, microorganisms and cellular tissues are used a medium. With this background, wearable arts also become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various expression ways by covering the extension concept of new media, escaping from conventional materials and meaning of clothes and jewellery through biological metaphor. Hereupon,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thereof by focusing on expression cases through biological metaphor from the perspective of wearable art.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cept and expression cases of biological art, and confirmed the possible for vital activity of microorganisms and genes to aesthetically work in the category of art. Also, this study considered work cases of wearable art using a biological media and technology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wearable art and cogitation on the body, and the result of consideration is as follows: First, wearable ar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eco-friendly material development. Second, wearable art brings change in perception of human body by inducing aesthetic metamorphosis. Third, the wearable art using microorganisms and genes transfers from the inside of human body to outside, shows expansion of self identity through division of object and subject, thus overthrowing subjectivity and leading corporeality into transition to a new human. Such a process leads the prescribed corporeality and the concept of a human into convergence with science, and achieves artistic practice towards different beauty of life embodied through this convergence. The wearable art through such a biological approach connotes positive possibility of new medium, semantic, formal expansion. However, wearable art uses a living organism as a medium and therefore accompanies a discussion about bioethics and moral perspective, so deliberation of this in sociocultural context should be accompani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as a new approach to extend the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wearable arts based on a positive possibility of biological approach.

      • KCI등재

        장신구 개념과 기능의 확장 - 1 : 웨어러블의 개념으로 재해석된 장신구의 의미 확장을 중심으로

        김계옥 ( Kim Kye-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의 개념으로 재해석된 장신구를 통해 장신구의 의미와 기능의 확장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아트, 디자인, 과학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소통 방법으로서의 장신구에 대해 논구하였다. 전통적인 장신구의 형식을 뒤집고 장신구의 정체성에 대해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는 개념적 장신구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일반적 장신구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확장을 도출하였다. 퍼포먼스 아트, 제품, 패션디자인 영역에서의 인체의 쓰임을 장신구 영역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과 의미를 중심으로, 인체 그 자체로서, 확장된 인체의 기능으로써의, 감각적 경험으로서의 장신구 범주로 분석하여 새로운 장신구 형식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장신구는 감성적 경험으로서의 치장을 위한 도구로서 신체 그 자체로서 장식이 가능하며, 여러 제품의 기능을 수반하여 데스크톱, 테크노, 메티컬 장신구 등으로 그 기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신체 공간의 확장된 기능과 의미를 통한 감성적 장신구의 새로운 언어는 아름다운 신체 장식 이상의 문화적 이모티콘으로 발전될 수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extension of meaning and function of jewellery through the new value of jewellery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wearable. Based on the idea, examining the jewellery as new communication tool through fusing art, design and science. As analyzing on conceptual jewellery art which various trying to identity of jewellery reversed traditional jewellery formation, deducting restructure and extension of recognition for general jewellery. It inspects possibility to the formation of new jewellery through analyzing jewellery approached to body itself, extended functions of body and sensorial experience as based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interaction with area of jewellery through the use of body in area of performance art, product and fashion design. It is possible to decorate as the body itself by the ornament tool of sensory experience, showing the extended possibility of functions as desktop, techno and medical jewellery as adding various functions of products. The new language of sensory jewellery through the extended function and meaning of body space could be developed the cultural emoti-con beyond the beautiful object.

      • KCI등재

        비물질적 표현으로서 장신구아트 - <제 2의 피부로서의 장신구> 작품을 중심으로 -

        김계옥 ( Kyeok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현대 예술과 디자인에서 전개되고 있는 탈 물질적, 탈 형식적인 경향은 급속히 진행되는 정보화 사회로 인해 비물질성의 개념은 한층 더 진보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장신구 역시 재료와 기술이 중심이 되는 기본적인 형식에서 확장되어 새로운 예술적 개념을 포괄하는 한 장르로써 인지되고 그 표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장신구가 예술로써 확장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비물질적 개념과 표현들을 소개하고 이것이 장신구아트로서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비물질성에 대한 개념과 철학적 배경의 고찰을 바탕으로 예술에서의 오브제의 비물질화 개념과 표현사례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장신구가 예술적 개념을 수용할 때 비물질화 개념의 내포 가능성을 살피고 그 구체적인 표현사례 고찰을 토대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장신구는 신체의 감성적 경험을 밀접하게 제공함으로써 감각의 연장체로서 인간의 정신을 드러내며 비물질성의 개념을 내포한다. 이 개념은 예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비물질화의 경향과 동일선상에서 해석될 수 있다. < Jewellery as second skin >는 장신구라는 촉매를 통해서 빛, 자국, 향기등의 비물질화되는 현상을 수용하면서 신체 그 자체로서 장신구의 개념을 갖는 무형의 탈물질적 장신구가 된다. 이는 신체와 시간의 움직임이 작용되어 소멸되는 물성을 경험하게 되면서 관념성, 소멸성, 상호작용성으로 의미화된다. 결론 연구자는 비물질적 현상을 수용하고 그로 인한 해석이 가능한 장신구아트의 표현연구를 통해 기존의 장신구가 가진 보편적인 정체성과 개념을 전복시키고 나아가 장신구가 예술로써 새로운 표현의 매체로 작용할 수 있음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Background Post-material and incorporeal form, the trend progressed in the modern art and design is further advanced by the de-materialism concept and with the rapidly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With this background, jewellery is also extended from a basic form where materials and technologies are the center and recognized as a genre embracing the new artistic concepts and the need of their expression is realized. As such,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de-material concept and expressions appearing when jewellery is extended to an art and displays that production of jewellery becomes a new genre or category. Method Based on the de-materialism concept and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we studied the de-materialization concept in the art objects and its expression cases. Based upon this, we studied the possibility if jewellery is able to contain a de-materialization concept, when they accept artistic concept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detail expressed examples, we also analyze works of researchers. Results Jewellery reveals human mentality and contain the de-materialism concept as an extension of sense by providing physical sensitive expressions. And this concept can be interpreted in a line with the de-materialization trend in the art objects. < Jewellery as the second skin > accepts the phenomenon where light, mark and scent become de-materialized through the catalyst of jewellery and becomes a formless, post-material jewellery that have the concept of the human body itself. Experiencing the material property that is disappearing due to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and time becomes signified as ideality, extinction and interaction. Conclusion Researchers overturn the universal identity and concept of jewellery by accepting the de-material phenomena and research on expressions of jewellery art that can be interpreted based on the phenomena. Furthermore, they are able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jewellery, as a form of art, could be a new potential media of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