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宣祖代 洪純彦의 외교활동과 朝ㆍ明관계

        김경록 명청사학회 2014 명청사연구 Vol.0 No.41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rough the Analysis of Hong Sun-yeon(洪純彦)‘s activity and study main characteristic of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Ming in the king Seonjo(宣祖) period. Hong Sun-yeon was famous for his distinguished services during the king Seonjo period. He won a vassal of merit(功臣) for his great services to solve the debate on Joseon's ancestral relationship. Hong Sun-ye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lve the debate on Joseon's ancestral relationship and Asking for a dispatch of troops(請兵)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But his services restricted to tongsa(通事). Relations with Ming were carried out in the form of Sahaeng(使行) being sent to Ming and Ming envoys coming to Joseon. More than being diplomatic relation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Ming institutions, the delivery of letters was important. Nowadays, an ambassador plenipotentiary is invested with full power and carries o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another country and organizing it into documents makes treaties and pacts, but an envoy of the Joseon period did not have the power of an ambassador plenipotentiary. The administrative part of diplomacy was entirely entrusted to the tongsa. The tongsa can be categorized as an interpreting official(譯官). The duties of the tongsa were carried out across the whole spectrum of relations with Ming, participation in sahaeng, reception of Ming envoys and dispatch of individual envoys. But, envoy are responsible for final decision and are the final authority for handling diplomatic activity. The debate on Joseon's ancestral relationship in the Ming dynasty began in 1394 and did not finish until 1588 when the Ming dynasty had amended “The Code of Ming Dynasty(大明會典)”. It lasted for nearly two centuries at nineteen requests of twenty-six Joseon's envoys. The debate, to which the kings and ministers paid great attention, finally got a satisfactory solution. The debate on Joseon's ancestral relationship in the king Seonjo period has reflected that king Seonjo had made a significant progress. The king Seonjo have used debate on Joseon's ancestral relationship as a guise for legitimizing his rule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e appraisal of Hong Sun-yeon related to the current of the times, for example, “indebtedness to state reconstruction(再造之恩)”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s.

      • KCI등재

        만력 전반기 명의 정세와 임진전쟁 참전과정

        김경록 만주학회 2023 만주연구 Vol.- No.35

        This paper analyzes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Ming dynasty in the first half of the reign of Wanli with a focus on its participation in the Imjin War, an international conflict that transformed the East Asian order in the late 16th century. Despite extensive research on the Imjin Wa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given to the conflicts between the Joseon and Ming dynasti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ing’s situation before the Imjin War and the military situation of Liaodong, an adjacent area and supply base for the Ming's participation in the war. The paper notes that while Jang Ge-jeong’s(張居正) reform politics helped secure national finances and promote institutional changes, Emperor Wanli’s direct rule disrupted the ruling order and led to external invasions and internal rebellions. Moreover, Liaodong faced military challenges due to the disorderly military command system and frequent invasions by Mongols and Jurchens.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the mobilized military power in response to Jurchen intentions. However, due to the turmoil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y delayed participation in the Imjin War until December 1592. The paper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Ming’s situation before and during the Imjin War to exact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East Asian order in the 16thcentery. 임진전쟁은 16세기 최대 국제전쟁으로 조선, 명, 일본의 역사전환을 가져왔다. 중요 역사사건으로 임진전쟁의 분석은 당시 국제정세와 조선과명의 군사상황 및 외교관계를 세밀하게 살펴봐야 한다. 명은 만력 전반기장거정의 개혁정치와 만력제의 정치방기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대외적으로 몽골・여진과 군사충돌했다. 군사제도의 부패현상과 군사지휘관의 무능으로 군사역량은 열악했다. 만력 전반기 명은 요동에서 여진의 회유와 군사충돌 방지에 전념했다. 요동에서 세력을 확장한 이성량은 명군의 본질적인 개혁과 재정비는 논외로 하고, 자신의 권력 강화 및 치부에 전념했다. 이성량이 탄핵당하여현직에서 물러난 시점에 명은 만력삼대역의 하나인 영하의 변이 발생했다. 임진전쟁 발발 직전에 영하의 변으로 명은 가용병력을 그 진압에 투입하여 임진전쟁에 참전이 지연되었다.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만력제는 임진전쟁의 침략국 일본에 대한 정토를 천명했다. 그러나 가용한 병력의 제한으로 만력제의 참전결정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참전이 힘들었다. 요동병력의 선발대가 평양성전투에서 패배하자 만력제의 권위에 손상을 받았다. 이에 송응창을 경략으로 임명하고, 병력조발 및 지휘부를 구성하며 군량과 군기의 조달에 주력하여 영하반란의 진압병력을 주축으로 한 정토군을 1592년 12월말 참전했다. 명군참전은 병력조달, 군기마련, 군량조달과 운송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했다.

      • 간양록으로 본 이순신과 원균에 대한 인식

        김경록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6

        역사인물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그 시대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시대별 차이를 보인다. 역사인물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현실적인 정치상황에 따라 첨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평가주체의 정치적 경향성에 따른 개인적 평가를 하지만, 평가주체와 달리 소속 집단의 집단적 평가로 나타나기도 한다.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에 포로로 잡혀 4년간 포로생활의 경험을 [看羊錄]으로 지은 강항은 전쟁 중 정치적 관련성에서 한 걸음 떨어져 이순신과 원균을 평가, 인식하였던 인물이었다. 「賊中封疏」, 「賊中聞見錄」, 「詣承政院啓辭」 등 객관적인 시각으로 냉철하게 사실을 기록하였던 강항은 전쟁과 전쟁경험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순신과 원균을 극명하게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강항은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하기 위하여 냉철하게 사실 보고 중심의 기록에 집중하여 정보의 출전을 밝혀 객관적 정보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은 조선의 백성들에게 전대미문의 고통을 남겼다. 강항은 조선의 관원으로 전쟁에 참전하였지만 일본군의 포로가 됨으로써 사대부로서의 충효관에 어긋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포로생활과 송환을 경험하면서 조선과 일본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인식하는 안목을 가지게 되었다. 강항은 포로생활에 대한 죄스러움과 일본사정의 보고라는 갈등 속에서 정확한 정보의 보고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간양록]을 저술하여 선조에게 보고하였다. 강항은 조선의 미흡한 전쟁대비, 문란한 군역제도와 양병제도, 공평하지 못한 논공행상 및 변장들의 가렴주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쟁을 서술하였다. 성곽제도, 양병제도, 지휘체계 등 전쟁관련 사항을 조선과 일본을 비교하여 전쟁을 분석하고, 신속하게 전쟁을 종식시킴으로서 백성들의 안정과 일본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수군강화 및 개선책을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전쟁을 종식시키는 3가지 방책을 제시하였다. 이순신과 원균에 대해 평가하기에 앞서 군사지휘관의 현명한 교체를 주장하고, 정유재란 초반 조선의 패배는 적절하지 못한 통제사 교체 및 통제사 원균의 패전에서 원인을 찾았다. 원균의 패전은 양병의 게으름, 준비부족, 전략의 부재로 평가하고 이후 명량해전으로 일본을 제압한 이순신에 대해서는 수군의 장성이라는 극찬을 하였다. 원균의 패전으로 일본군이 수륙합동작전을 전개하고 남원성을 공략함으로써 자신은 피난 및 일본군의 포로가 되는 신세가 되었음을 우회적으로 서술하였다. 일본군과 조선군을 상호 비교하여 서술하면서 군역제도, 양병제도, 변장의 임명, 자율권의 부여, 수군강화 및 수군훈련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자신의 개선책을 제시하였는데, 대부분이 이순신이 실천하였던 내용과 부합한다. 이는 강항이 구상한 전시 방책과 이순신이 구상한 전략이 동일한 맥락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며, 결국 강항의 이순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원균에 대한 혹독한 평가를 알 수 있다. 기존 이순신에 대한 당대의 평가는 다분히 조선 국내의 정치상황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점에서 강항의 이순신과 원균에 대한 평가 및 인식은 객관성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명나라, 일본 등 국내정치에서 한 발 떨어져 이순신과 원균에 대해 평가한 자료를 발굴하고 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강항(姜沆), 간양록(看羊錄), 이순신(李舜臣), 원균(元均), 평가

      • KCI등재

        麗末鮮初 洪武帝의 高麗․朝鮮 認識과 外交關係

        김경록 명청사학회 2011 명청사연구 Vol.0 No.35

        历史人物的认识是通过他个人的行为即具体政策的实施来表现出来的。通过具体政策的实施,不同主体之间的利益既会呈现出相合的地方,也会呈现出互不相合的地方。在后一情况发生时,显而易见政策的执行者是要考虑制定新的政策的。明洪武帝为了收拾元末社会的混乱局面并建立起稳定的统治体系,一方面努力把人民与土地相结合起来,以此来试图稳定老百姓的生活。另一方面他还为了把元势力驱逐到大漠,且把残留在国内各地的元朝残余势力一网打尽而继续开展了军事行动。明洪武帝还为了通过礼制来教化人民并建立以皇帝为中心的一元化的统治体系而着力整备了各项制度。明洪武帝青睐君主专政体制,并把该想法适用于朝贡制度,试图建立以明朝为中心的朝贡体系。洪武帝在实施对元战争和寻求内部稳定的同时,还适时改变了对高丽和朝鲜的认识并据此实行了不同的政策。在洪武帝对朝贡体系的认识当中最为重要的考虑部分是,是否存在像北元一样的,有可能成为朝贡体系另一核心势力的问题。所以在北元势力还处于比较稳定的时期,洪武帝对高丽实行了恩威兼施的政策,以此来防止高丽脱出以明朝为中心的朝贡体系。而在北元势力逐渐衰退之后,洪武帝通过强调皇帝国的权威的手法实施了更加积极的对高丽、朝鲜政策。这主要是因为当时已经不存在可供高丽、朝鲜选择的复数的朝贡体系之核心。高丽恭愍王时期,明朝对高丽的亲明政策做出了较高的评价。但它同时看到高丽在解决具体问题的时候表现出多元化的政策趋向时,试图把高丽紧紧束缚在以明朝为中心的体系当中,而不是让高丽脱出该体系。在恭愍王被弑,明朝使臣被杀害之后的高丽禑王时期,明朝加强了对高丽的施压程度,而且在北元势力最终被驱逐出辽东地区以后,对高丽实行了更为高强度的压制政策。这一政策引发了高丽王朝的强烈不满,它所实行的辽东远征即是对该政策的具体反应。随后明朝对朝鲜王朝的建立采取了不干涉态度,这是它对朝鲜政策做出了调整的一种表现。

      • KCI등재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김경록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4

        임진전쟁에서 조선군의 연전연패는 일본군이 한양, 평양까지 점령하는 사태로 전개되었다. 평양에서 의주의 선조를 압박하던 일본군은 후방지역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일어난 의병에 의해 전술적 변화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본 글은 이러한 기존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 및 임진전쟁에서 차지하는 군사사적 특징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영천성전투, 영천전투 등의 용어와 달리 영천성을 수복한 전투라는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임진전쟁 초기 전황속에서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을 조선군, 일본군, 의병 등으로 살펴보고 군사사적 성과를 정리한다. 추가하여 임진전쟁의 관점에서 영천성수복전투가 향후 어떻게 인식되고 평가 및 활용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임진전쟁의 발발이후 영천지역에 진주한 일본군은 일부 병력을 남기고 북쪽으로 진격했다. 영천지역의 의병은 주변 지역의 의병과 연합하여 창의정용군을 결성하고 일본군과 지속적으로 전투를 치루었다. 의병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상호 연합하는 경우가 매우 적었다. 혹여 연합하더라도 지휘체계의 분란으로 효율적인 전투가 불가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천수복전투에 임한 창의정용군은 지역적 분란을 극복하고 국가위기 상황을 이겨내기 위해 단결하여 전투를 준비했다. 영천에서 의병이 일어나자 주변 지역에서 이에 호응하여 다양한 지역의 의병이 참여했으며, 상호 이익관계를 따지지 않고 일본군을 축출해야 한다는 시대상황에 동의했다. 또한, 군사적 능력이 뛰어난 의병장이 창의정용군을 지휘하여 전근대 가장 어려운 전투였던 공성전을 성공적으로 치루었다. 영천성수복전투는 정규군이 아닌 의병이 연합하여 최정예의 일본군을 대상으로 싸워 이긴 전투이며, 군사장비가 거의 없는 의병이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을 이긴 전투이며, 압도적인 병력의 우위와 경험이 있어야 가능한 공성전을 열악한 의병이 이긴 전투였다. 영천성수복전투를 승리함으로써 일본군은 경상도의 주요 전략적 군사경로를 상실하고 경주지역으로 후퇴했다. 영천성수복전투는 이후 조선이 명나라의 구원군을 요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했다. 즉, 영천성수복전투는 단순히 전쟁사적, 전투사적 의미뿐만 아니라 군사외교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전투였다. 결론적으로 영천지역의 창의정용군은 전쟁 초기에 가장 뛰어난 의병부대였으며, 영천성수복전투는 열악한 의병부대가 정예 일본군을 대상으로 공성전이란 가장 어려운 전투를 치루어 전쟁의 전체 전황을 크게 바꾸는 전환점이 되었던 전투였으며, 군사외교적으로 큰 의미가 있어 명나라의 참전을 이끌어냈으며, 국제전쟁으로서 임진전쟁이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전투였다. 향후 임진전쟁 연구에 있어 영천성수복전투를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여 전쟁사적 의미를 규명해야 하며, 임진전쟁 당시에 영천성수복전투를 어떻게 인식하였는가를 정리해야 영천성수복전투의 진정한 군사사적 의미가 밝혀질 것이다. During the Imjin War, the Joseon army's losing streak was caused by Japanese troops occupying both Hanyang(漢陽) and Pyongyang(平壤). The Japanese forces, which had pushed Pyugyang to press king Sŏnjo(宣祖) fled to Uiju(義州), were forced to make tactical changes due to community-centere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義兵) in the rear. Based on thes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永川城收復戰鬪) and the military historical features of the Imjin War.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r as Joseon, Japanese, and volunteer soldiers from the standpoint of the battle that re-seizured Yeongcheonseong(永川城戰鬪), unlike terms such as Yeongcheon Battle(永川戰鬪) and to summarize the military history of the battle. In addition, we will look at how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was recognized, evaluated and utilized in the future from the Imjin War perspective. After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the Japanese troops in the Yeongcheon region advanced north, leaving some part of troops behin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Yeongcheon region joined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surrounding regions to form Changuijeongyong-army(倡義精勇軍) and continued fighting with the Japanese army.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ere rar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Even i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ere united, they could not fight efficiently due to the disruption of the command system. Nevertheless, Changuijeongyong- army, which joined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united and prepared for battle to overcome regional turmoil and overcome the crisis. In response to the outbreak of the military service in Yeongcheon, in response to the rising from the surrounding area, various military veterans participated and agreed to the era of ousting Japanese troops without regard for mutual interests. In addition, an army leader(義兵將) with excellent military capabilities successfully commanded Changuijeongyong- army, which successfully ran a siege warfare , the most difficult battle of pre-modern times.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is a battle fought against the best Japanese troops by allie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not regular troops, and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ith little military equipment . It was a battle that defeated a Japanese army, and a battle that defeated the Siege warfare, which was possible only with the overwhelming strength and experience of a poor soldier,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hen the Japanese defeated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they lost the main strategic military route in Gyeongsang-do(慶尙道) and retreated to Gyeongju(慶州).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was later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Joseon demanded the Ming Dynasty. In other words,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was a very important battle not only in terms of war and combat history, but also in terms of military diplomacy. In conclusion, the Changuijeongyong- army in Yeongcheon was the best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and the Reseizure Battle of Yeongcheon-castle won the most difficult battle of Siege warfare against the elite Japanese army armed with a fowling piece by the poor Changuijeongyong-army with limited military equipments. The battle was a turning point that greatly changed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war. This battle was of great military and diplomatic significance, leading to the involvement of Ming Dynasty’s armed forces in Imjin War, and it was the best feature of the Imjin war as an international war.

      • KCI등재

        17세기 중반 동북아 국제정세와 조선의 나선정벌

        김경록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5 No.-

        러시아의 동양진출은 17세기 흑룡강 유역을 중심으로 청나라와 러시아, 조선과 청나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통일전쟁에 국가의 역량을 집중하였던 청나라는 모든 병력을 남방의 전선에 투입하였다. 청나라는 가장 안전한 배후지역 으로 인식하였던 동북방에 새로운 러시아세력의 진출에 대해 처음 사소한 지역의 무력충돌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청나라의 중앙정부는 패전소식을 인지했지만, 현 실적으로 남방의 병력을 옮겨 투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동북방의 가용한 병력을 투입하여 대응했다. 또한, 청나라는 첫 전투에서 패전한 이유를 화력의 부재라고 분석하고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조총부대를 보유한 조선에 파병을 강요했다. 청나라의 파병부대 요구를 받은 조선은 당시 국왕이었던 효종의 즉위과정에서 발생한 왜정자문사건을 무마하고, 조선과 청나라의 국제관계를 원활하게 진행시 키기 위해 청나라의 파병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효종은 파병 가능한 병력을 고려하고, 파병부대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최정예 부대를 차출하여 파병했 다. 조선의 정치, 외교, 군사적 목적에 부합하여 파병부대는 큰 승리를 거두고 안 전하게 귀국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러시아군의 국경침입에 대응하여 청나라는 지방군대를 강화하 면서 한편으로 조선에 2차 전투부대의 파병을 요구했다. 청나라는 남쪽 전선에서 저항세력에 대한 정벌전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기 때문에 강력한 부대를 동북 방으로 옮겨 투입할 수 없었다. 조선은 청나라로부터 파병요구를 받고 1차 파병부 대의 승리경험을 바탕으로 2차 파병부대를 구성하고 출병시켰다. 조선의 2차 파 병부대는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웠으며, 청나라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조선의 나선정벌은 17세기 중반 동북아 국제정세에 크게 영향을 받아 실시되었 으며, 향후 국제질서에 영향을 주었다. 청나라는 부족한 병력으로 중국에 진입하 여 반항세력을 제압하였으며, 투항한 군대에 대한 통제 및 반란세력의 진압을 위 해 주요 병력을 중요 지점에 배치했다. 청나라는 러시아군의 침입을 계기로 동북 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군사통치제도를 정비했으며, 남쪽의 해군세력을 동 북방에 배치하기도 했다. 조선은 나선정벌을 통해 미묘한 갈등관계였던 청나라와 의 관계를 원활한 관계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이후 조선은 어느 정도 청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체적인 군사력 강화를 시도할 수 있게 되었다. Russia's advance into the East,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ing and Russia, Joseon and Qing, centering around Heilongjiang River(黑龍江) basin in the 17th century. The Qing Dynasty, which had concentrated its national capabilities on the Chinese reunification war, put all its troops on the Southern Front. The Qing Dynasty was the first small armed conflict in the region to be recognized as the safest backdrop for the advance of new Russian forces in the northeast. However,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Qing Dynasty recognized the news of the defeat, but because of the fact that it could not transfer the troops from the south, it put the local troops into the northeast. In addition, the Qing Dynasty analyzed the reason for the defeat in the first battle as the absence of the firepower, and forced it to dispatch to the Joseon, which had the rifle unit in the closest position. Upon receiving the request of the Qing troops, Joseon actively accepted the request for dispatch of the Qing to smoothly promot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the Qing, and to dispel the dispute on the whistleblowing that occurred during the king(孝宗)'s ascension. The King of Joseon took into account the troop dispatchable troops and dispatched the most elite troops to secure the maximum security of the dispatched troops. In line with the political, diplomatic and military objectives of Joseon, the dispatched troops returned victoriously and safely. Since then, in response to Russian invasion of the border, the Qing dynasty strengthened the local army, while demanding the Joseon of the second combat unit. The Qing continued to pursue a war of captivity against the insurgents in the southern front, so it was not possible to transfer powerful troops to the northeast. Joseon received a dispatch request from the Qing, and based on the victory experience of the 1st dispatch unit, the 2nd dispatch unit was formed and dispatched. The 2nd dispatched troops of Joseon fought bravely in battle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victory of the Qing. The Manchu-Joseon Expeditions to the Amur of Joseo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Northeast Asia in the mid 17th century, and it affected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future. The Qing entered China with scarce troops and overthrew the rebel forces, and placed major troops at key points in order to control the troops that were deployed and suppress the insurgency. With the invasion of the Russian army, the Qing improved its military rule with a high degree of interest in the northeast and deployed naval forces in the south to the northeast. Chosun was able to transform the relationship with the Qing Dynasty, which was a subtle conflict, through a Manchu-Joseon Expeditions to the Amur into a smooth relationship. Since then, Joseon has been able to escape the interference of Qing and try to strengthen its own military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