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주변학생의 관계: 다층 ERGM을 활용한 또래구조 분석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3

        Since the student's pursuit of dominance is realized through other students in the class, it can affec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other students in the behavior of the perpetrator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that are going on in the classroom on a daily ba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is peer structure is located and interacts in the peer ecosystem by comparing the students who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with the other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eer ecosystem surrounding school violence was modeled as a network problem, and a two-level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friendship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other students through statistical estimation of network configurations.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first of all, the perpetrators take strategic actions to keep other students close and to keep away from other perpetrators. Because of their friendship with the aggressor, other students are limited in their friendship with the other students. There is a limit to forming friendships with other students. Victim students are the target of friendship with other aggressors or students, and are excluded by other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s and divisions of other students are not fixed b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friendships they have in their daily life. In addition,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riend relationship with other students who reinforce or compensate the bullying student's behavior through a case-by-case approach centered on the ego network of the aggressor, victim, and other students.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지배력 추구는 학급의 다른 학생을 통해 실현되므로 주변학생과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해학생의 행위에 대한 주변학생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으로 학급에서 진행되고 있는 관계에 대한 분석과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주변학생을 대비시켜 이 또래구조가 또래 생태계에서 어떻게 위치하고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학교폭력을 둘러싼 또래 생태계를 네트워크의 문제로 모델링하고 two-level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형태(network configuration)의 계수 추정을 통해 가해학생과 주변학생의 친구관계를 고찰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보면, 우선 가해학생은 주변학생을 가까이 두고 다른 가해학생을 멀리하는 전략적인 행동을 한다. 주변학생은 가해학생과의 친구관계로 인해 다른 주변학생과 친구관계가 제한된다. 가·피해 학생은 주변학생과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피해학생은 다른 가해학생 혹은 피해학생이 친구관계의 대상이며 주변학생에 의해서 배척된다. 이러한 결과는 주변학생의 역할과 구분은 심리적 특성에 의해 고정된 것이라기보다는 일상생활에서 맺고 있는 친구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ego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사안별 접근을 통해 가해학생의 행동을 강화하거나 보상하는 주변학생과 친구관계를 조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한부모가족 자녀의 인터넷과 TV 이용이 학업성취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4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net searching and TV viewing by children in single-parent households on peer relationship and achievement and found that doing so may narrow digital divide by increas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aggravates the achievement gap by enabling these children to devote too much time to the internet and TV. Previous studies have implied that adverse effects are due to the family structure of single-parent households and particularly the lack of supervision therein. Theoretically, findings confirmed that these children's low achievement in single parent families stem from poverty as well as family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policy, findings suggest that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include securing social capital.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1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여 TV 및 인터넷이 여가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점에서 한부모가족 구조가 이러한 매체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또한 매체활용이 학업성취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부모가족 구조의 결함으로 인한 그 자녀의 과도한 매체활용이 학습을 위한 시간과 대체관계에 놓여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부모가족이 가지는 특수성, 즉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한 통제의 곤란성에 연유한다고 볼 수 있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문제점은 빈곤뿐만 아니라 가족구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정책적으로 정보격차 완화를 목적으로 한부모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지원 정책이 교육격차를 증폭시키는 역설적인 상황을 초래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 정책은 동 가정의 부족한 사회적 자본을 충족시키는 방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등록금 부모 의존이 대학생의 직업 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경년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2

        Using data from the Korean Employment Education Pan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s' payment of college students' tuitions on their behavior and readiness to transition to the labor market. This study applied propensity score weighting to correct for sample selection bia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exclusive dependence on parents' payment has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commitment to studying. A model revealed negative effects of parents' payment on academic advising with faculty. In addition, parents' full payment of college had negative effects on human capital accumulation, such as the attainment of a vocational certificate and the participation in internship.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s' payment for college tuition can become a free subsidy for college students, so that a moral hazard can occur for student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universal higher education in Korea is achieved by parental support and commitment, if college students do not internalize college tuitions, they will not will internalize the objectives of college education. This implies that for college students the transition to adulthood characterized by financial independence and behavioral responsibility could be postponed by externalization of college tuition through parents' payment.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구축한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대학생이 대학 등록금을 전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여 대학비용이 외재화(externalization)될 때 대학생의 태도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들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준비과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보편화로 심각한 수준의 청년 실업과 하향취업(underemployment)이 만연한 여건에서 대학생들은 더 이상 선택된 집단으로서 노동시장에서 기회가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 스스로의 가치에 대한 신호를 노동시장에 보내거나 아니면 직접 참여하여 찾아야 하는 맥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모가 전적으로 대학교육을 부담함으로써 대학교육 비용이 대학생에게 내재화되지 않는다면 대학생은 경제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지만 대학생활이 가지는 자유로 인해 대학생의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대학 등록금을 부모가 전적으로 부담하는 것은 대학생의 수업 태도에 부(-)의 영향을 주며 또한 지도교수와 학사상담과 같은 장래 직업준비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에 부(-)의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 한편 부모의 지원에 전적인 의존은 자격 보유와 인턴 참여와 같은 인적자본 형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보편화가 부모의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대학생들이 대학교육에 드는 비용을 내재화하지 않을 때 대학교육의 목표와 의미가 학생에게 체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제적 독립과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기로의 이행에 부(-)의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조기 보상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이중차감법을 활용한 사회성ㆍ정서 및 언어 발달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

        김경년,강민수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3

        The sali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vulnerable is widely recognized but its compensatory effect is suspicious in Korea. A series of studies, showing the effective change of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noncognitive ability, provide new direction different from earlier documents focusing on enhanced social status via academic achievement. Investment in the vulnerable children, only ever considered through a social equity perspective, is another way to simultaneously achieve social efficiency since the investment for the vulnerable potentially mitigates the social costs incurred by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run-do-run project which is invented for social, emotional,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children. This sets up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design which includes the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experiment. This study applies a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which compares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justing difference of control and treatment group to remove individual infant's traits. The result shows that do-run-do-run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s children's social and language ability. However, the increasement does not rise to median level. This may indicate that strengthening of the program input is necessary. This study theoretically provides an effect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on th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children and practically provides a model, data gathering, and procedure for causal analysis. Lastly, the fact that civilian's volunteering activity makes program effective signifies that it successfully compensate for public welfare in an era lacking in public welfare resources. 그 동안 취약계층 자녀를 위한 조기교육에 대한 투자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보상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렇지만 인지 능력보다는 정의적 능력에서 변화를 통한 조기 유아교육의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는 일련의 연구결과는 빈곤에 대한 보상교육이 학업성적 향상과 이를 바탕으로 한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 성취를 가정한 종전의 기본이념에 대한 전환점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사회형평성 차원에서만 고려되던 취약계층에 대한 조기교육 프로그램은 장래에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정책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단계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차별화된 지원을 통해 사회성ㆍ정서 및 언어 발달의 결손을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교육복지 유아 프로그램인 ‘두런두런’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두런두런 프로그램은 사회실험적 요소를 가미하여 인과적 추론이 비교적 가능한 비동질적 비교집단 설계를 따르고 있으며 345명의 처치집단과 295명의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처치집단에는 20번에 걸친 개별적인 프로그램 및 4번에 걸친 가족단위 프로그램이 약 9개월 동안 실행되었다. 또한 개별 유아의 고유한 특성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프로그램 시행 이전과 이후의 자료를 사용하여 처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통제하면서, 시점 간 결과변수 값을 차분하는 이중차감법을 통해 관측되지 않은 선택편의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결과는 유아의 사회성ㆍ정서 및 언어 발달에 효과적이며 두런두런 프로그램 실행과 효과 간에 유의미한 인과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은 조기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실천적인 측면에서 교육사회 정책의 효과성 검증에 필요한 모형, 자료 구축과 각종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유아 프로그램이 민간의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서 유의미한 효과를 냈다는 것은 공공정책을 통해 교육복지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공적 교육복지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교원 행정업무와 수업준비의 관계: 인과관계 판별 및 공ㆍ사립 유형에 의한 조절효과

        김경년,박정신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eachers’administrative workload on their endeavor in classroom instruction prepa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education. It is demonstrated that without controlling for proper confounders, any studies regarding the subject may reach a wrong conclusion, which is often an opposite direction from true value. That is, it’s been mistakenly believed that even though time is a resource limited by its scarcity, investment of time in administrative workload increases the time for classroom instruction preparation. To eradicate this spurious relationship, we shows that we can set a research design similar to an experimental one using an instrumental variable such as homeroom teacher. This study proves that teachers’assertion that their time spent for administrative workload hinders their essential works such as classroom preparation is quite reliable. In fact, teachers’administrative workload becomes an opportunity cost for classroom instruction. Furthermore, our findings depend on whether the school is public or private, and they are only significant for the cases in public schools. Teachers in public schools are more likely to consider administrative workload equivalent to classroom instruction. The critical reason is that teachers in public schools prioritize bureaucratic needs, while sensitive to bureaucratic responsibility, compared to those for students and parent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importance in that it introduces new focus on studying issue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ology. Practically it suggests that more efforts to cut administrative workload should be placed on public school than private school. 본 연구는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교사의 행정업무 경감 효과를 찾아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업무 시간과 수업준비와 같은 교수-학습 개선 시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혼란변수(confounder)를 통제하지 않으면 참값(true value)과는 반대 방향의 결론에 이를 수 있음을 보였다. 즉 시간도 하나의 자원이니 만큼 희소성의 원리가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행정업무에 대한 시간투자로 오히려 수업준비 시간을 늘린다는 결론에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허위관계를 제거하기 위해서 학급담임 여부와 같은 적절한 도구변수를 통해서 실험설계에 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학교현장에서 행정업무로 인해 수업 준비와 같은 본연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교사들의 주장이 경험적으로 사실임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행정업무 수행 시간은 본연의 직무인 수업준비 시간의 기회비용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공ㆍ사립 등 학교설립 유형별로 행정업무에 대한 접근이 차이가 있고 교수-학습에 대한 영향이 공립에만 한정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공립학교 교사에게 행정업무와 수업준비의 시간은 대체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행정업무에 대한 시간 투자와 수업준비에 대한 시간투자가 동등한 가치로 여겨진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비추어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립학교는 관료적 필요에 충실하며 학생에 대한 책임보다는 관료적 책임에 민감한 성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공ㆍ사립의 학교효과가 교육사회학의 주요한 연구주제인 만큼 신제도주의 조직사회학의 관점에서 교사의 행태를 연구하는 또 다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교사의 행정업무 경감을 실행하는 관점에서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및 행정업무 경감이 우선적으로 집중되어야 할 학교설립 형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자녀 사회화에서 부(父)의 역할: 일․가족 갈등, 가족구조 형태, 자녀의 문제행동의 관계를 통한 고찰

        김경년,이정표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0 No.3

        조부모의 재력, 모(母)의 정보력, 부(父)의 무관심이 아이의 능력을 만든다는 주장이 있다. 정말 부(父)는 직장에만 매진하면서 자녀에게 무관심한 것이 자녀에게 이로운가?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 구성원 일부의 관계보다는 구성원 전체 및 구성원 간의 상호의존성을 전제로 가족구조적 측면에서 부(父)의 일․가족 갈등이 가족구조 형태 및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통해 부(父)가 자녀의 사회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에서 표본 아동들이 초등학교에 2학년에 재학 중인 2016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가족구조의 사회자본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는 부(父), 모(母), 자녀의 역동적인 측면을 포착하기 위해 Simmel의 삼자 관계(triad) 이론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등학생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가족구성원 간 유대의 강도를 기준으로 여덟 가지 유형의 가족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父)의 일-가정 양립의 갈등은 가족구성간의 유대의 정도가 약한 여섯 가지 유형의 가족구조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父)의 일-가정 갈등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적으로 혹은 유대가 약한 가족구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父)는 점점 더 가족구조 내에서 자녀의 발달에 적극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으며 본 연구는 그러한 점에서 부의 일-가족 갈등을 고찰할 필요성에 대해서 제기하고 있다.

      • KCI등재

        성인의 문해력 상실과 획득에 미치는 연령과 문해 사용의 영향 탐색

        김경년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literacy and the change of literacy according to increasing age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use of literacy on the level of literac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literacy level decreases with age. The cause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brain structural changes and further the unuse of literacy using the SOC model proposed by Baltes. The complementary effect of literacy utilization was significant in adults of all age groups in the lower 50% of the literacy level, It was not strong enough to offset the decline in literacy with aging. This suggests that training to improve the level of literacy may be effective in the case of focusing on the lower 50% of the literacy level.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literacy with aging was only in the lower ninth and for the upper rest, the level of literacy was not related to the age. Most adults experience reduction in the level of literacy skills decreases with aging.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xpand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but also to consider lowered learning ability due to adult literacy reduction. 제4차 산업혁명 시대로 생산양식이 변화하면서 성인들은 계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문해력의 신장이 요구된다. 그러나 성인들은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지능과 학습능력이 감소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외견상으로 시대적 요구와 개인적 역량 사이에 모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 증가에 따른 문해력 수준과 문해 활용의 변화를 탐색하고 문해의 활용이 문해력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조사결과는 연령 증가에 따라 문해력 수준이 감소함을 보여준다. 감소 원인을 뇌 구조적인 변화 외에 문해 활용의 차원에서 Baltes가 제시한 SOC 모델의 선택, 최적화, 보완을 활용하여 접근하였다. 문해 사용은 자동적 처리와 통제적 처리에 따라 연령별 사용빈도에 차이가 있었다. 문해 활용에 의한 보완효과는 문해력 수준이 낮은 하위 50%에 있는 모든 연령층의 성인에게 유의미하게 일어났으나 보완효과는 연령 증가에 의한 문해력 감소를 상쇄시킬 정도로 강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문해력 수준을 향상시키는 교육훈련은 문해력이 낮은 하위 50%에 집중되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령의 증가로 발생하는 문해력 수준의 감소는 0.9분위 이하에만 해당되었으며 최상위 분위에게 문해력 수준은 연령과는 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 성인에게 연령증가로 문해력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은 단순히 평생학습 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성인의 문해력 감소로 인한 낮아진 학습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성인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의 혁신과 문해 사용의 촉진을 사회 전반에 파급하여 학습효과를 증진하려는 노력이 정책과 직업세계에서 요구된다.

      • KCI등재

        A Case of Aorta-Right Atrial Tunnel Presented with an Asymptomatic Murmur

        김경년,조경임,김재준,강지훈,구자준,이자영,김승만 대한심장학회 2013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3 No.9

        Aorta-right atrial tunnel is a rare and distinct congenital anomaly. It is a vascular channel that originates from one of the sinuses of Valsalva with a tortuous course anterior or posterior to the ascending aorta, and terminates either in the superior vena cava or in the right atrium (RA). We report a 42-year-old female briefly with aorta-right atrial tunnel in which the left coronary artery arose from the tunnel and terminated into the RA.

      • KCI등재

        Trajectories of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organizationally separate but developmentally linked

        김경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s in high school, the choice of college majors, and postcollege career decision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pplying growth curve modeling. Findings revealed that as students gained college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a career-related decision increased each year, but slowly. High school type and experience with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during high schoo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idence of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in college. Results confirmed the salience of career guidance in high school. Choice of college major and occupationally oriented maj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cidence of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in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decided on a career track in high school and entered the major-undeclared system in college increased their probability of a career-related decision. This study showed the causal effects of career indecision in high school and undeclared majors in college on career decisions in colleg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and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implied that selection of a major should coincide with the career plan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