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운곡 시의 후대 전승과 수용 양상

        권현주(Hyun-ju Kwon)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2 No.-

        운곡은 여말선초에 은거의 삶을 살았던 인물로 유명하며, 시조는 네 작품이 남아 있다. 필자는 운곡의 시조가 시조라는 장르의 출발점에 있는 중요한 작품이라는 인식과 함께 후대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운곡이 기술한 고려에 대한 절의가 후대에는 어떤 모습으로 전승,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운곡이 창작한 네 작품의 시조 중 한 작품은(4002) 후대에 전승, 수용되지 않아 본고는 세 작품의 시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운곡의 시조 4723을 수용한 작품은 총 4작품으로 4723에서 운곡은 흥과 망이 운수에 있다고 하였으며, ‘망’의 때를 맞이한 고려의 상황을 이 작품에서 노래하였다. 이를 수용한 4722는 송강의 시조로 4723과 겉모습은 상당히 닮아 있지만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달랐다. 송강은 ‘망’보다 현재의 ‘흥’에 충실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주옹의 시조 2223의 초장과 종장은 운곡의 시어를 수용, 중장은 삼봉(三峰)의 작품을 수용하고 있었다. 두 작품 모두 고려를 소재로 하고 또 너무나도 유명하여 자연스럽게 발현된 것이라 하겠다. 시조 5445는 운곡의 시조를 수용하였으나 표현상의 변이가 더해 만월대의 슬픔을 묘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조 5295의 경우는 작자가 운곡과 같은 상황에 처하였기에 운곡의 시어를 수용하였다. 하지만, 운곡처럼 국가의 ‘망’을 노래하는 것이 아닌 국가의 ‘흥’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곡의 시조 946은 총 두 작품에서 종장만 수용되었다. 특히, 시조 946은 대나무(竹)를 소재로 하여 굳은 절의를 보여주었지만 이 작품을 수용한 시조 1229와 시조 445에서는 ‘국화’를 소재로 한 것이 특징이었다. 운곡의 시조 1866은 초장과 중장에 엄자릉의 고사를 기술하고 있으며, 단 한 작품에서 수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곡이 엄자릉의 고사를 수용한 것은 자신이 은자로 살아가는 것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시조 1867은 운곡의 시조를 수용하여 ‘은일’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처럼 운곡의 세 작품은 15세기부터 20세기의 시조 작품에 수용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운곡 시조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gok is famous as a person who lived a life of seclus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four works of Sijo remain. The author tried to analyze Ungok’s Sijo as an important work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genre and how it influenced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how the rituals for Goryeo honor by Ungok were transmitted and accepted in the future generations. One of the four poems created by Ungok (4002) was handed down and not accepted. There are a total of 4 works that accommodated Ungok’s progenitor 4723. Ungok said that rise and fall are in fortune, and the situation of Goryeo, facing the time of ‘fall’, is sung in this work. 4722, who accepted this, is Song Kang’s progenitor and is very similar to 4723 in appearance, but the point of the story is different. Song Kang was more faithful to the present ‘rise’ than ‘fall’. Chojang and Jongjang of Jooong’s founder 2223 accommodated the poems of Ungok, and the lieutenant general accommodated the works of Sambong(三峰). Both works are based on Goryeo and are so famous that they appear naturally. Sijo 5445 accepted the Sijo of Ungok, but added a variation in expression to describe the sorrow of Manwoldae. Lastly, in the case of Sijo 5295, the poets of Ungok were accepted because the author was in the same situation as Ungok. However,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not singing the national’s ‘fall’ like Ungok, but expressing the desire for the national ‘rise’. In Ungok’s 946 works, only the final chapter was accepted. In particular, Sijo 946 showed honor by using bamboo as a material, but Sijo 1229 and Sijo 445, which accepted this work, were characterized by using ‘chrysanthemum’ as the material. Ungok’s 1866 sijo describes the history of Umjareung in the first and middle chapt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ccepted in only one work. Ungok accepted the tale of Um Jareung, because he needed to understand that he was living as a hermit. Sijo 1867 was the most perfect expression of ‘Eun-il’ by accommodating the Sijo of Ungok. As such, the three works of Ungok were accepted as the Sijo works of the 15th to 20th centuries, and the status of the Sijo of Ungok could be confirmed.

      • KCI등재후보

        에밀리 디킨슨 시의 현대성

        권현주(Kwon Hyun-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디킨슨의 시가 현대에도 여전히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는 이유는 당대의 자본주의라는 시대의 동인이 지금도 지속되고 있고, 자본주의와 더불어 더욱 공고화된 상품화와 가부장적 구조가 현재에도 온존하기 때문이었다. 그녀의 시에 나타나는 이미지스트로서의 시적 형식실험도 산업화가 몰고 온 인간정신의 노예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시적 정신의 궁극적인 승리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디킨슨이 하위주체로서의 위치에서 자기 시대변화 동인의 핵심을 포착하려했으면서도, 인간의 보편적 상황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접근하려했던 점도 중요했다. 산업화의 과정을 직시하면서 나타난 사회변화과정을 직시하되 분별력 있는 미래의 독자를 위해 당대의 진실과 보편적 진리에 대한 관심을 견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시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적 실체를 포착하고자 하였으며 시인의 임무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의 암호를 빌려와 인간의 노력을 더하여 장미유와 같은 영적인 시를 쓰는 것이었다. 디킨슨은 시인에 의해 이미지화되는 모든 것들이 자연의 모방이니 소유권이 모방자에게 있을 수 없다는 논리로 인간정신의 상품화를 비판했다. 출판구조나 결혼에 내재되어 있는 당대 산업화의 논리를 꿰뚫어 보면서 디킨슨은 약자로서의 자신의 위치로 인해 그 사회의 속성이 드러나게 하였다. 디킨슨은 현실의 부정성을 드러내면서 자기 시대의 구조화하려는 힘에 대항했다. 이는 저항을 통해 좀 더 성숙한 독립으로 나아가려는 실천적 과제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초기자본주의 시대의 연장인 후기자본주의 시대와의 공통적인 과제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자본주의의 병폐와 가부장적 비합리성이 남아있는한 디킨슨의 시는 현대성을 지니는 것이었고 현대의 독자들과 구조적 과제를 공유하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상품화될 수 없는 인간 영혼을 옹호하기위한 디킨슨의 노력은 미와 진리의 결정체인 시로 살아남아 새로운 맥락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재해석될 것이다. The American Civil War broke out while capitalism was in the process of taking root. Econom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ern states and the northern states were the main reason. The victory of the north guaranteed that the effective capitalistic values became dominant on the basis of factory working. From that time on, commercialization and patriarchy have been strengthened till present time. Emily Dickinson's time and our time have shared capitalistic social system and patriarchy. That is why Emily Dickinson's poems have been read in our time. Two eras share similar social problems resulting in common structural tasks. As long as capitalistic social problems remain, her poems continue to be read. Of course, this is not the only cause her poems are read widely. She represented her woman place of her time as the other only to reveal the shadows of commercialization and patriarchy. She put emphasis on spiritual value to resist commercialization and to reach her world of beauty and truth. She thought of a poet's task as distilling amazing senses from ordinary meanings to get rose attar. She regarded the poets as the martyrs because they wrought their pang in syllable. And they had to grasp the real motives of their time and play prophetic roles with imaginative vision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ging-in-Place를 지원하는 고령친화 디지털홈 계획방향 요구에 대한 실험적 연구

        권현주(Kwon Hyun-Joo),이수진(Lee Soo-Jin),이연숙(Lee Yeun-Sook)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7

        With life expectancy rising and birthrates plumbing record lows, Korea is about to undergo a stunning demographic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latest government projections, 38 percent will be elderly by 2050. A growing problem is supporting elderly people who want to continue living independently as opposed to moving to an institutional care setting. Housing is being asked to perform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provision of health and social care to frail older people and the careful placement of technological support may help them to remain within their own homes rather than relocate to sheltered or residential ca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elderly needs on the desig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aging-friendly digital home through small group workshop as a step of programming stage of design. After considering their housing needs, the ways of digital home service which make them maintain daily lives independently in their own homes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healthcare, leisure, social network supporting digital features are the keys for their aging-friendly digital home.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청년층의 에너지효율주택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권현주(Kwon, Hyun Joo),장미선(Jang, Mi-S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5

        This study examined young adults’ decision making process of choosing energy-efficient home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Ajzen, 1991). This study incorporated knowledge of energy-efficient home into the classic TPB model. The target population was homeowners aged 21 to 39 years old living in the US (N = 160).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 in 2016.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Path analysis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energy-efficient home, intended to choose energy-efficient home, and reported moderate-to-high actual behavior to choose energy-efficient home; however, scores f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relatively low and knowledge showed the lowest score. A path model revealed that knowledg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hey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intention to choose energy-efficient home. As hypothesized in the TPB,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to choose energy-efficient home was confirm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intention. This study partially supports the TPB. One of the notable findings is the role of subjective knowledg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promote energy-efficient home.

      • KCI등재

        유배가사 <북정가(北征歌)>에 나타난 이중린의 심회(心懷) 연구 - 『운포유고(雲圃遺稿)』 소재 한시를 참고하여

        권현주(Kwon, Hyun-ju)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9

        본고는 운포 이중린의 19세기 유배가사 <북정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북정가>는 2013년에 학계에 알려졌으며 작자는 ‘이중언’으로 추측되었다. 이는 운포가 <북정가>에서 자신을 이중언으로 기술하였기 때문인데, 운포의 경우 『운포유고』 소재 단가(時調) 5편에서는 자신을 ‘이중경(李中鏡)’으로 기록하기도 하였었다. <북정가> 역시 이중린이란 본명 대신 이중언이란 가명(假名)으로 자신의 유배를 기록하려 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정가>는 운포가 유배를 선고받은 시점부터 작품이 시작되며, 약 2개월의 구금과 3개월 정도의 노정을 거쳐 유배지인 명천에 도착한 것까지 기술하고 있는 장편의 유배가사이다. 본고는 <북정가>와 『운포유고』 소재 한시를 통해 유배에 대한 운포의 심회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운포는 자신의 구금과 유배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특정인을 의심하고 또 단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명천으로 발행하기 전, 운포는 친우들 앞에서는 자신의 유배를 긍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지만, 실제 발행일 다가오자 감정적으로 동요하기도 하였다. 노정 중에는 봉별로 인한 정회를 표출하였으며, 질병, 지역, 친분이 있는 자와의 봉별을 통해 운포의 심회를 드러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정 중의 만남과 이별로 운포의 가장 처참한 심정을 보여주기도 하였고, 그의 내면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유배지인 명천에 도착한 운포는 자신이 사대부 신분이라는 것을 끝까지 강조하였는데, 죄인이 된 상황에서 마지막까지 내세울 수 있었던 것이 사대부라는 명예뿐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targets the study of <Bukjeongga>, a 19th-century exile gasa by Unpo Lee Jung-rin. <Bukjeongga> was known in academia in 2013, and the author was presumed to be ‘Lee jungeon’. This is because Unpo described himself as a Lee jung-eon in <Bukjeongga>, and in the case of Unpo, he was also recorded as ‘Lee Joong-kyung’ in the 5th installment of Unpo Yugo. It is interpreted that <Bukjeongga> also tried to record his exile under the alias of Lee Jung-eon instead of the real name Lee Jung-rin. <Bukjeongga> is a feature-length exile gasa that describes the arrival of Unpo in Myeongcheon, the exile site, after about two months of detention and a three-month journey.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Unpo‘s review of exile through the poems of <Bukjeongga> and 『Unpo Yugo』. First, Unpo was suspicious of a specific pers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his detention and exile. Before traveling to Myeongcheon, Unpo tried to show that he affirmed his exile in front of his close friends, but as the actual date approached, he was emotionally agitated. On the way to the dest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eting and separation caused by the separation were expressed, and that the deep heart of Unpo was revealed through the meeting and separation with diseases, regions, and acquaintances. Meeting and parting on the way to the destination showed Unpo’s most disastrous feelings and revealed his inner self. Unpo, who arrived in Myeongcheon, the exile site, emphasized to the end that he was a Sadaebu, and it can be said that the only thing that could be put forward until the end as a sinner was the Sadaebu.

      • KCI등재

        유와 김이익 유배시조의 구조와 전개

        권현주 ( Kwon Hyun-ju ),김하나 ( Kim Ha-na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고는 유와 김이익이 창작한 유배시조의 구조와 전개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유와는 세 번의 유배형을 선고받았으며, 1788년 첫 번째 유배지였던 함경남도 이성에서 『관성잡록』 소재 10수의 시조와 세 번째 유배지인 금갑도에서 『금강영언록』(1802)이라는 제목으로 60수의 시조를 남긴 바 있다. 『관성잡록』은 초기 연구 이후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금강영언록』 역시 해제가 이루어졌지만 연구자마다 작품 분류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는 유와의 유배시조 전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유와 시조의 구조와 내용 전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관성잡록』은 기승전결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금강영언록』은 크게 5개의 주제로 구성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유와 유배시조의 구조와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유와 유배시조를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연군이 강화된다는 것과 자기애가 변화되어 기술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경계의 대상이 확장되어 나타난다는 것과 해배에 대한 염원이 노골적으로 나타남을 밝혀 유와 유배시조의 내용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의를 통해 유와 유배시조의 특징이 조금은 밝혀졌으리라 생각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Yuwa Kim Yi-ik’s exil sijo. He went into exile three times. 1788, In Iseong, Hamgyong Nam-do, the first exile, he left 10 work of 『Kwanseongjaprock』. In the third exile, 1800, Geumgapdo, also left 60 works called 『Keusmgangyeongeonrok』 (1802). 『Kwanseongjaprock』 was after the initial study, detailed analysis was not performed. Although the 『Keumgangyeongeonrok』's study was release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of works by subject for each research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the works by targeting the entire Sijo of Yuwa Kim Yi-ik. First of all, the 『Kwanseongjaprock』 has a structure of four steps in composition(ki-seung-jeon-kyeol), and 『Keumgangyeongeonrok』 has a confirmed that it consists of five themes. Through this, I trie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Yuwa Kim Yi-ik’s exile Sijo. Not only that, the contents of the sijo wer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to examine how they unfolde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Yeon-gun is being strengthened and the narcissism shown in the work is chang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bject of the wariness was expanded and expressed the Hae-bae explicitly. Through thi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of Yuwa Kim Yi-ik’s exil sijo was investigated. It is though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Yuwa Kim Yi-ik’s exil sijo will be revealed through this discussion.

      • KCI등재

        주요 접근가능한 주택디자인이 노년층의 이동장애와 주거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권현주(Kwon, Hyun-Joo),황은주(Hwang, Eun-J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housing accessibi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disabi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eniors. Also, it identified people who are at greatest risk of mobility disability and living in homes without housing accessibility. We analyzed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data with a sample of 20,089 households aged 55 and over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Results show that although residential satisfaction decreased as mobility became more disabled, the key housing accessibility features were significant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mobility disa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niors who were Black, low-income, housing-costs burden and renters in older housing in an urban area were more likely to have mobility limitations but fewer housing accessibility features.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ing accessi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much greater for seniors with greater mobility disability. For vulnerable seniors living in an old single-family home, housing policymakers or local communities should consider home modification programs and services after evaluating housing acce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