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실천모형에 관한 연구

        권경임 ( Kyung Yim Kw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3 No.-

        현재 사회적기업은 경제와 복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서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은 세계 여러 나라의 사회경제체제나 시민사회의 성숙도에 따라 출현배경이나 맥락을 달리하고 있고, 그 형태나 정책도 다양하고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발달해왔다. 한국은 사회적기업을 취약계층의 고용복지 뿐만 아니라 저출산 고령화사회의 대비책이나 지역간 불균형발전의 해법으로 활용방안이 검토되었다. 현재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인해 실업이 증가하고 사회계층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실천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사례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정의와 유형을 고찰하고, 실천현황과 사업방향을 검토하며,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모델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전망과 실천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실천모형에 관한 연구의 기대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to social enterprise in Buddhist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pratical model for Buddhist style that can be applied for Buddhist Social Enterprises. This project is based on the Thought of Buddhism is oriented social solidarity and interdependence in the world. An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social enterprises, case study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Buddhist communities are to be discussed. also it is found that raising the capability of the enterprise is more important than Buddhist communities and government of support. The origin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is based on the former governmental welfare programs like self supporting program and job creation program, but other countries` social enterprise is originated from the third sector such as social cooperative, voluntary groups, and non profit organiz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a fundamental law for creating and promoting social enterprise in 2007. In the discussion about social system improvement, sustainable management support, social enterpreneurship, social network and introduction of linked system with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ssociation are required to enhance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This study to develop a pratical model for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it requires consideration in all its aspects to practical situation, business contents and model, furthermore prospect and problem of Buddhist communities in the social enterprises. It is expected that study contributes to the practical model of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불교사회복지의 만다라 치유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시론적 연구

        권경임 ( Kwon Kyung - 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현대에 와서 만다라 그리기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미술치료로서 심리치료나 상담프로그램의 치료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만다라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면서 미술치료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불교에서 만다라는 깨달음을 위한 수행의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서구에서 만다라는 미술치료를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접근방법에 차이가 있다. 그 이유는 불교에서 만다라는 수행의 방편으로 깨달음을 성취하는데 목적이 있지만, 미술치료에서 만다라는 심리적 안정이나 스트레스 해소,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심리치료에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만다라가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심리치료에만 국한되어있는 현상을 극복하고, 불교사회복지에서 수행과 치유의 기능을 포함한 심리·사회적 통합치유 프로그램으로서의 만다라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연구 내용으로는 불교와 심리치료에서 만다라의 의미와 목적을 알아보고, 만다라 미술치료의 연구경향과 그 치유 효과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불교에서 수행의 방편으로서의 만다라와 미술치료에서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로서의 만다라에 관해 비교 고찰해 보았다. 또한 불교사회복지에서 심리·사회적 통합치유프로그램으로 만다라 치유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사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만다라 치유프로그램의 활용에 관해 논의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dentity of Buddhist social welfare by developing Buddhist spirituality by applying mandala drawing experience as a spiritual healing program of Buddhist social welfare. And the availability of a mandala program to improve both performance and healing. Buddhism approaches the mandala as a means to gain enlightenment, but in the West, the approach is different because the mandala is used as a psychological healing tool for art therapy. Buddhist mandala is intended to gain enlightenment as a result, but mandala aims at psychological healing in order to relax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ension and to increase concentration. Currently, mandala art therapy is a field of art therapy. It is used as a healing tool i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programs, and the research of mandala psychotherapy is increas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meaning and purpose of mandala in Buddhism and psychotherapy, and to discuss the research trends and effects of mandala art therapy. and I compared Mandala as a performance in Buddhism and Mandala as a tool for psychotherapy in art therapy.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development and use of mandala, which can bring both effects of performance and healing, as a spirituality experience program of Buddhist social welfare. For example, the Mandala Art Meditation Healing(MAMH) program and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MGAT) Program are used to help individuals and social interactions. Mandala - Art(MA) is an application that helps people realize their goals in reality with the Mandala style of ideas.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개양상 연구

        권경아(Kwon Kyung-a)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모더니즘 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며 1920년대의 모더니즘 미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고찰하였다. 이장희, 정지용, 임화의 시들에 대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특징들을 찾아내고 이 특징들이 그들의 시적 인식, 근대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192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상으로 근대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들의 시가 1920 년대라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는 근대의 모순과 위기 상황을 어떻게 미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철학적 근대성 또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이러 한 근대성에 대해 저항하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근대성을 포괄하는 양면적 근대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1920 년대 시에 나타나는 근대성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의 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 작품들의 형식이나 기법을 연구하는 차원에서 단편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개별 시인의 시세계를 분석하거나 각각의 작품들 분석에 치중하고 있어 1920년 대 모더니즘 시의 종합적 고찰이나 연구라 하기 어렵다.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식이나 기법들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타나게 되었는지가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1920년대 시들의 다양한 기법과 형식 실험은 당대의 근대성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모더니즘 시는 전통적인 시형식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미학적 저항들은 새로운 시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지며 다양한 시적 실험으로 나타난다. 이장희의 감각의 객관성이나 정지용의 이미지즘, 그리고 임화의 형식 실험 등은 동시대의 미학을 혁신하는 미적 근대성의 인식에서 비롯된 미학적 저항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pattern of modernist aesthetics during the 1920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poems of modernism in the 1920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oems written by Lee Jang-hui, Chung Ji-yong, Im Hwa, which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the 1920s very well.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oems were examined through analysis on specific texts, and how they were related with the poets’ poetic recognition and modernity was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modernity is recognized against Korea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and how these poems aesthetically responded to the paradox and crisis of modernity which were found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1920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erception of modernity in the poems during the 1920s based on the concept of ‘modernity with double views’ which covers modernity in both positive (historical/philosophical modernity or capitalist modernity) and negative (resistance against this kind of modernity) aspects. A study on the poems in the 1920s has been mostly conducted in a formal or technical aspect.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say that this kind of study is a general study o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pattern of Korean modernism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how and under what background thes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have been expressed should be illuminated. It appears that a test on th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of poems in the 1920s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contemporary modernity. The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were diverse aesthetic resistances targeted to open up a new era by overcoming the extreme and tragic situations such as national liberation and war. These aesthetic resistances were an artistic approach to aesthetic modernity for the innovat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In addition, they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social resistance against reality in an aesthetic mode.

      • 소도체 품질 판정을 위한 RGB 영상처리 기술의 적용 가능성 연구

        권경도 ( Kyung-do Kwon ),모창연 ( Changyeun Mo ),임종국 ( Jongguk Lim ),김기영 ( Giyoung Kim ),강정숙 ( Jungsook Kang ),이영주 ( Youngju Lee ),조병관 ( Byoung-kwan Cho ),이왕희 ( Wanghee Lee ),양승환 ( Seunghwan Y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국내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인력(판정사)에 의해 소고기의 품질 등급을 결정하고 있다. 각 나라마다 등급 판정 절차는 상이하지만, 판정 인자는 등급판정부위(국내에서는 좌도체 흉추와 제1 요추 사이의 등심 쪽 절단면)의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등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판정 과정에서 숙련된 판정사일지라도 주관적인 판단이 포함된다. 이를 해결하고 더 객관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와 분석 방법들을 기반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 적용은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의 시각을 대체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Computer vision 장치와 영상처리를 이용한 소고기 품질 평가에 활용될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소고기는 실제 판정에 사용되는 등급판정부위를 등급별(1++, 1+, 1 2, 3 등급)로 준비하였다. 각 시료마다 RGB 영상을 획득하고, 품질 판정을 위해 이 영상들을 이용하였다. 영상처리를 위해 왜곡 및 색상 보정, 배경 제거, 관심영역 추출, 고기와 지방 부위 분할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등급 판정에 주요인자인 근내지방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기초 단계로의 활용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 이를 중점적으로 다뤄 최종 목표인 자동 품질 판정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 문법의 내용 선정과 기술에 대한 제안 -탐구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권경일 ( Kyung Il Kwo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have to be constituted on the education procedure that intend on the understanding grammar principles and the procedure of inquiry. These are realized by contenet of textbook, so textbook needs to have systematic ways of explaining grammar principles. This paper has researched the content and problems of school grammar focusing on the procedure inquiry of <Reading and GrammarⅠ>.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content of textbook and inquiry works must have mutual association (2) The contents of school grammar must be carefully selected. Main themes of theoretical grammar is not related directly on the school grammar. (3) The proper procedure must be presented for attaining goals of inquiry. (4) The explanation of grammar and tasks of inquiry must be constituted by co-relations. So Knowledge of grammar has organic intergration.

      •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 활용방안

        권경임(Kwon, Kyung Yim)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로 인해 계층간 지역간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재가 심화되고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 키며 문화적 취약계층을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지의 문화화 내지 문화의 복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회복지가 물질적으로 균등한 배분에 기초한 복지사업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면, 앞으로의 복지문화는 진정한 자아실현을 목표로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을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어 여가 및 관광이 활성화되고 있고 근로자만이 아니라 복지대상자에게도 복지관광이 시행되어 그성과가 입증되고 있는데, 템플스테이를 복지관광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회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 이를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복지문화의 개념을 알아보고, 복지문화의 이론적 배경으로 정상화(Normalization), 인클루젼(Inclusion,당사자 참가),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삶의 질 (Quality of life), 복지의 문화화 및 문화의 복지화, 복지의 교육과 공동체 형성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템플스테이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템플스테이의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서 템플스테이 유형을 복지관광 프로그램과 정신문화복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복지문화의 지평을 확대하고 정신문화복지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This Paper is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rastic change of society has brought about material affluence along with the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region and class of people in Korea. In addition, that caused the dehumanization trend of society which put more value on material than humanity i.e human value. So we are urgently need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restores humanity and upgrad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degenerated social phenomena. Especially we have to take care of and protect the weak in order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and harmony among every class of the society. So far the welfare policy has put the emphasis on the equal distribution of material. However, the future welfare policy should b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realization of true self which upgrade the quality of each individual. In that respect, templestay can be applied as a good, mental welfare program which overcomes the alienated humanity and restores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finding the original, true self. After establishment of five-working day a week, the vitalization of leasure and sightseeing has been popular in Korea. So the favorable outcome of the welfare sightseeing has been proved not only for workers but for the welfare recipi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k a plan to apply templestay that considered to be a newly established cultural phenomenon as a welfare and culture program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defined the concept of welfare culture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normalization, inclusion, empowerment, quality of life, enculturation of welfare, welfare-centered culture,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recent study of templestay mostly centered on religious and sightseeing aspect. However, I reviewed templestay in terms of welfare culture. Further more, I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gram of templestay as two patterns of welfare culture. One is sightseeing welfare program and the other is spiritual welfare program.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templestay program will broaden the horizon of welfare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spiritual welfare culture by the application of templestay.

      • KCI등재

        상징어를 구성요소로 하는 한국어 관용구의 목록 설정 재고

        권경일 ( Kyung Il Kwon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 Vol.0 No.41

        Korean dictionary tends not to provide proper lexical entry of Korean idioms. This paper seeks to reconsider lexical entry of Korean idioms using symbolic words. Symbolic words can be varied by consonant vowel alternation, derivation or repetiti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ymbolic words can be applied to reconsider variation of Korean idioms composed with symbolic words. Symbolic words composing idioms show differency in variation with general using. Proper entry informations of idioms should be illustrated in the dictionary for learners for Koreans as foreign language. Informations of lexical entry of Korean idioms are essential to foreign learners so dictionary present proper entry of Idioms. Dictionary of Symbolic words would include the informations discussed in the above.

      • KCI등재후보

        국내 집단상담 연구의 최근경향과 과제

        권경인 ( Kyung In Kwon ),조수연 ( Su Yeon J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는 국내 집단상담 관련 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최근 연구경향을 탐색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집단상담`` 또는 ``집단치료``라는 주제어를 가지고,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또는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 된 연구 473편을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상담과 관련된 연구를 크게 성과연구와 과정연구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집단상담 성과연구에 속하는 연구는 433편으로, 하위 영역은 ① 집단상담 효과연구 ② 메타분석으로 분류하였다. 각 성과연구에 대해 세부적으로는 연구대상의 연령과 특성, 회기구조 및 시간, 단일 실험집단원의 수, 대표 종속변인, 연구설계, 추수평가 기간, 집단배정, 처치집단 리더, 측정방법 등 총 11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검토 하였다. 집단상담 과정연구는 27편으로 하위영역은 ① 치료적 요인 ② 소집단 과정과 성과 연계 ③ 내담자 특성으로부터 성과 예측 ④ 집단과정에 대한 사례의 질적분석 ⑤ 집단상담자 ⑥ 피드백 등이다. 성과연구와 과정연구에 속하지 않는 연구 13편은 기타로 분류하였고 하위영역으로 ① 개관연구 ② 이론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duct a 10-year (from 2001 to 2010) content analysis of empirical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in South Korea. To this end, the authors conducted an exhaustive search for empirical research articles using the subjects of ``group counseling`` and ``group therapy``. They identified 473 research articles including 433 outcome studies, which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outcome studies and studies using meta analysis. Twenty seven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process studies, which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rapeutic factors, small group process and connection to outcome, outcome prediction from client characteristic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process. Finally, 13 studies (review and theoretical studies) were not classified into either of the two. A brief analysis of major findings and gaps in the literature is provided, and the authors mak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