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사회 재가불자의 사회참여

        이철헌(Lee Cheol heon)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9 불교문화연구 Vol.10 No.1

        한국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대승불교를 지향하면서도 고통 받는 민중들에게 다다가 손을 내미는 데에는 아직도 인색한 게 사실이다. 기독교계의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사회참여활동에 자극받아 불교계가 뒤늦게나마 사회참여의 중요성을 깨닫고 교단에서 사회참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니 다행한 일이다. 그러나 세속의 욕망을 끊고 출가하여 수행하는 출가자들이 복잡다난한 현실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오늘날 사회의 여러 문제점들은 전문화되고 다양화되었기 때문에 출가수행자보다는 재가불자들이 이해와 판단이 빠르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사회참여에 대한 재가불자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중소도시의 지역사회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대도시와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수도권역에 모든 인구와 각종 시설이 집중됨으로써 그 외 지역사회는 소외되고 있으며, 대도시와 그 외 지역간의 소득과 문화 격차는 심각한 현실이 되었다. 지역사회는 여러 인맥으로 얽혀 있고, 지역 유지들이 기득권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이기주의 성향이 매우 강하고, 경제력이 미약하고, 주민들의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으며, 노인층이 많고, 각종 정보수집이 어렵다. 그리고 지역불교사회는 주지의 독단적인 사찰운영, 신자들의 불교교리에 대한 무지와, 기복적인 신앙형태, 출가자와 재가신자들의 의식수준이 낮으며, 신도의 노령화로 사회참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에서 재가불자들이 사회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불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보리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사찰과 연대하여 출가자와 재가불자가 함께 사회참여를 해야 하며,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가능한 자원을 가지고 작게 천천히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의 사회단체와 협력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하고 교육과 경험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Korean Buddhism is stingy in giving its hands to the public even though it aims Mahāyāna Buddhism which practices the way of bodhisattva that redeems mankind pursuing enlightenment. Encouraged by the active and broad social engagement activities of Christianity, Buddhism real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engagement and expanded support and interest in it. However, it s hard for monks to worry about and solve worldly problems since they became monks to cut off worldly desire and relations. In addition, the number of monks is insufficient to engage in diverse social problems. Because many problems of modern society are specialized and various, Buddhists who understand the problems well and have good judgment are more adequate in social engagement than monks. Communitie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ve plenty of differences from major citie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etc. Communities are excluded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and facilities in capital area. The cultural gap between major cities and the other regions became severe realities. Communities have many personal connections and community leaders have vested rights. Communities have regional self-centeredness, little economic power, and plenty of senior citizens. Members of the communities lack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nd ability to gather information. Buddhism of local society have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social engagement owing to a dogmatic management of chief buddhist monk, ignorance of buddhist doctrines, inconsistent form of faith, low awareness of buddhists, and aging of buddhists. For buddhists to engage in society they should have accurate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mercy in advance. Buddhists should participate in society along with monks banded together with local temples. They should start slowly with enough resources to fit local needs. Lots of people should join and experts should be trained through education and experience.

      • 당대 장안 불교문화의 교섭과 전파 __장안 도시불교문화의 전파를 함께 논함

        빠이껀싱( 拜根兴)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2 불교문화연구 Vol.12 No.1

        당조( 唐朝 )는 중국 봉건사회에 있어서 가장 번영된 시기였다. 그 수도 장안( 長安 )은 세계적인 국제도시로 이름을 떨치며, 가까운 주변국 에서부터 먼 이국의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았다. 이것은 장안이 다양한 세계의 문화를 집산하면서 이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문화의 잉태와 발전을 선도하며 세계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인도에서 발생하여 비단길을 거쳐 들어온 장안의 불교문화는 당조의 개방적 수용과 적극적인 지원아래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며 불교의 중국화라는 새로운 역정을 걸으면서 주변국과 지역에 거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는, 20여 년 전황신아( 黄新亚 )선생이 전문저서를 출간하였고 1) , 뒤를 이어 불교사 전문가인 왕아영( 王亚荣 ) 연구원이 새로운 책을 집필한 바가 있다. 2) 근년에는 서안문리학원( 西安文理学院 )이 장안문화연구의 중심이 되면서 장안의 도시불교문화연구의 모든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이전의 학자들의 이러한 연구기반 위에, 당의 수도인 장안이 7세 기에서 8세기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중심도시로서 성가를 떨치며, 불교 종파, 불교이념, 불교문화의 교류 등의 방면에 있어서의 교섭과 발전상 황, 특징 및 불교중국화의 역정에 공헌한 과정을 논술하면서 현재 남아있는 사료( 史料 )를 통하여 장안의 도시불교문화가 동아시아 국가에 전파된 과정 및 그 영향에 대하여 검토 해보고자 한다.

      •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방안

        최진구(Choi Jin go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The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the factor that changes human life and has ruled the world of human spirit. KUKBO 173 kinds of 307 ones and BOMUL 956 kinds of 1,469 ones, in total, 1,129 kinds of 1,776 national treasures, showing 63.6% of them, are related to Buddhism. Consequent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typical of Korea s cultural contents. It is a good thing recently, although it s late, that Buddhist experts and academics show interest in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go forward with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believers in Buddhism to have interest in it and to draw support from Buddhist circles. Therefore it would be the best way that Buddhist TV takes the ro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reatively produced cultural contents composed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Buddhist way of life,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them, aiming value of Buddhism by Buddhology .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fully worthy of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opularized and industrialized by making it as digital contents, so people can contact it easily. Buddhism has been putting down roots as symbolic and universal value concept of our own. Buddhist film can be said that it began from such emotional categories. As the starting of Buddhist film was la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have not put down roots yet. The major problem of Buddhist film is not production but analysis,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ze Buddhist film by Buddhist position than produce Buddhist films. Buddhist circles show interest recently in the industry of animation character. The character industry, regarded as a growth factor of future industry, attract attention of Buddhist circles as well as whole social fields. Hence experts, men of great originality and idea, should be bred up and should take roles for central growth factor lead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 that Buddhist TV should consider televise Buddhist films for the promotion of program rat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 contents.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flash animation and character, the most easily approachab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hildren and teenagers can. I suggest that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with the advantage of cable TV broadcaster. So far any religion-related film festival has not been hel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f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reparation with the advantage of picture missionary media, it will get excellent results. Once Buddhist TV(BTN) hold Buddhist Film Festival successfully, it will grow Buddhist films as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prestige as a Buddhist broadcaster as well as secure program contents. 현대사회에서의 문화는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총307종 가운데 173종, 보물1,469종 가운데 956종, 합계 1,776종 중 63.6%에 해당하는 1,129종이 불교와 관련된 문화재이다. 따라서 불교문화 콘텐츠가 한국의 대표 문화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불교학계와 뜻있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불교문화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디지털화 작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교인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여 불교계의 지원을 유도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불교TV가 맡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불교문화콘텐츠는‘불교철학의 입장에 서서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며, 불교 문화유산·불교적 생활양식,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는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디지털콘텐츠화하여 불교문화유산을 대중화하고 산업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불교는 우리 민족의 상징적, 보편적 가치 개념으로 자리 잡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불교영화 역시 그러한 정서적 범주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영화의 출발은 매우 늦었으며 아직까지 확실한 불교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불교영화의 과제는 생산이 아니라 해석에 그 과제가 있으며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를 생산하는 것보다, 영화를 얼마나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해내는가가 관건이다. 불교계에서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갖게 된 분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이다. 물론 불교계뿐만 아니라 미래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평가 받고 있는 캐릭터 산업은 사회 모든 분야의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넘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불교문화콘텐츠를 주도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불교TV에서도 시청률 제고와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위해 불교영화의 방영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인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케이블TV 방송사라는 장점을 살려‘불교영화제’개최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까지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종교영화를 주제로 한 영화제는 개최된바가 없다. 따라서 철저한 사전 조사와 준비를 거쳐 불교TV가 영상 포교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불교영화제’를 개최한다면 상당한 성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TV(BTN)가 불교영화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다면 불교문화콘텐츠로서의 불교영화를 성장시켜 프로그램 콘텐츠 확보는 물론 종교방송사로서의 위상 강화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 한국불교 전통의 특성과 현실적 과제 一考

        이영호(Lee Young h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이 글은 현재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한국불교 전통의 특성을 들어내 보고, 현실적 과제를 나름대로 성찰해 보려는 서론이다. 그 동안 한국불교의 독특한 성격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하였는데, 그런 가운데 기존의 논의를 수렴하고 비판한 심재룡의 「한국 불교는 회통적인가?」라는 논문은 주목할 만하다. 그에 따르면, 한국불교의 회통성을 처음 주장한 이는 육당 최남선이며, 이기영과 김영태 등 그 이후 대부분의 한국불교 학자들은 그의 견해를 따랐다고 보았다. 아울러 유동식의 혼합절충주의 내지 공리적 현실주의 등 부정적 견해를 소개하고, 자신도 통불교라는 용어는 합당치 않은 망발이라고 하며 독선적인 주장을 폈다. 필자는 그의 주장에 대하여 회의적이며, 한국불교 전통에 대한 현행 주류 종단과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계종의 종지와 종통 등 그 이념과 정체성을 표명한 종헌을 중심으로 과거의 전통을 오늘날 어떻게 수용하고 전개시켜 나가려는지 살펴보았다. 석존의 근본 교리를 바탕으로 하여 선종의 수행 특성을 중심으로 각종 교학과 수행을 통섭한 조계종의 전통과 취지는 통불교적임을 확인하고, 한국불교의 특성은 “회통적”이며 “통불교”라는 용어에 무리가 없고, 이는 매우 긍정적인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신라의 원효와 의상, 고려의 의천과 지눌 및 태고, 조선의 휴정과 초의 등 저명한 인물들을 관류하는 사상이며 전승되어야 할 긍정적 성격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자기가 하는 수행이나 일 혹은 주관적 견해 이외는 모두 부정하는 경향 등 편협한 독선주의자들의 행태를 들어, 오늘날 현실상황은 오히려 통불교 정신이 구현되는데 미진한 부분들이 적지 않음을 지적하고 그를 개선하는 일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요즈음 지구촌 공동체의 열린 공간에서는 학계와 사회 문화계를 막론하고 경계의 제한을 해소시켜나가는 경향이 고조되고 있으며, 통섭 혹은 통합이나 연합의 물결이 각계를 흐르고 있는 차제에, 한국불교의 회통ㆍ융합ㆍ조화ㆍ협조의 사상과 수행은 더욱 조장되고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방면의 다각적 검토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i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Buddhism focusing o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 representative major Buddhist order in Korea, and the related tasks of present situation in the Order. There have been some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e subject but not so popular. However, it seems noticeable that Sim Jaeryong s article on the subject as Is Korean Buddhism Total Interpenetrative? According to him, the first person who asserted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as the Total Interpenetrative was Yukdang Choe Namseon with his article, The Joseon Bulgyo (Korean Buddhism): the Position of Cultural History of East Asia in 1930 and this assertion was reckless or absurd. Sim evaluated that during the last decades the assertion of Yukdang, as a right view, has been followed by most scholars, for instance, Lee Giyeong and Kim Yeongtae, but on the other hand, the opposed view of Yukdang, as a Mixed Eclecticism or Utilitarian Realism, has made by Yu Dongsik. However, I have been skeptical on Sim s argument. To investigate the reality, I have checked out the Constitution of Jogye Order as a communal understanding and affirmation of mainstream Buddhists of Korea to their historical and practical tradition in terms of identity and purpose of the Order. I have confirmed that the Constitu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Interpenetrative or Syncretic Interpenetrative Harmonization as the principle and purpose for its followers. Then I have suggested some tasks to overcome the narrow-minded views for total interpenetrative integrity of the Order.

      • 인터넷 포교의 현실 인식과 과제

        최진구(Choi, Jin Gu)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뉴 미디어는 새로운 기술들이 접목되면서 정보 유통의 수단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의 특성으로는 정보전달 방법의 변화와 수용자의 개인화를 가속화 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뉴 미디어의 등장은 多미디어 ․ 多채널의 정보화 환경을 조성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매체가 인터넷이다. 정보화 사회가 종교문화에 준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으로만 포교하는 인터넷 사찰과 교회의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종교단체에서는 인터넷이라고 하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큰 과제가 되고 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출세간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고 세속적인 흐름에 민감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 포교는 타종교에 비해 활성화된 편은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불교계의 인터넷포교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고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현재 조계종 종단을 비롯하여 24개 교구본사와 지역의 사찰을 중심으로 대부분 홈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인터넷 포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사이버 불교대학과 각종 수행 관련 사이트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인터넷 포교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이다. 그러나 뉴미디어시대의 종교문화는 인터넷을 중심 으로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종교 역시, 인터넷을 중심으로 조직되고 운영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 뉴미디어시대의 포교도구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매체이다. 그러나 불교계 인터넷 사이트의 양적인 증가도 중요하지만 운영과 내용 등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진정 불교인에게 도움이 되는 인터넷 포교의 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불교의 포교관행이나 방법도 대폭적인 변화가 절실한 시점 이다. 즉, 인터넷이라는 사이버 공간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 특히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포교는 그들의 취향에 맞는 포교 전략이 세워지고 실행되어야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포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 츠를 생산하고 저작권을 확보하는 작업이 전문인들을 통해 선행 되어야 한다. New media keeps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means of information circulation by adopting new technologies. The characteristics of such new media include the change in the method of information delivery and the acceleration of personalization of the consumers. Therefore,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formed the information-oriented environment of multiple media / multiple channel. The Internet is the means of potentializing such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biggest changes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rought to the religious culture are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temples and churches that propagate via the Internet only. Therefore, it has become big issues for existing religious organizations to adapt to the new surroundings-the Internet. Buddhism basically possesses the other-worldly quality and is not sensitive to the worldly flow, so its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is not as active asother religions. In such situations, the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recognize the reality of propagation of Buddhism via the Internet and find a way of development. Now 24 main districts and local temples including the Jogye Order are mostly operating websites and showing interest in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Also, the cyber Buddhist colleges and various asceticism-related websites are increasing dramatically in number and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is in the process of being vitalized.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new media age, however, is unfolding in various ways centering on the Internet beyond expectations. Religion is also being greatly influenced by the Internet since being organized and operating based on it. Therefore, the Internet is the most noticeable medium as the propagation tool in the new media age. Though the rise in the number of the Buddhist websites is necessary, it s time to set up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truly helpful to the Buddhists through analysis and researc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propagation practices and methods of Buddhism. That is, the propagation targeting the modern people accustomed to the cyberspace of the Internet, especially the teenagers, must be planned and executed with propagation strategy suitable for their tastes. Also, in order to vitalize the propagation via the Internet, the works of generating high-quality contents and securing

      •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 활용방안

        권경임(Kwon, Kyung Yim)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로 인해 계층간 지역간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재가 심화되고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 키며 문화적 취약계층을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지의 문화화 내지 문화의 복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회복지가 물질적으로 균등한 배분에 기초한 복지사업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면, 앞으로의 복지문화는 진정한 자아실현을 목표로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을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어 여가 및 관광이 활성화되고 있고 근로자만이 아니라 복지대상자에게도 복지관광이 시행되어 그성과가 입증되고 있는데, 템플스테이를 복지관광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회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 이를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복지문화의 개념을 알아보고, 복지문화의 이론적 배경으로 정상화(Normalization), 인클루젼(Inclusion,당사자 참가),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삶의 질 (Quality of life), 복지의 문화화 및 문화의 복지화, 복지의 교육과 공동체 형성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템플스테이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템플스테이의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서 템플스테이 유형을 복지관광 프로그램과 정신문화복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복지문화의 지평을 확대하고 정신문화복지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This Paper is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rastic change of society has brought about material affluence along with the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region and class of people in Korea. In addition, that caused the dehumanization trend of society which put more value on material than humanity i.e human value. So we are urgently need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restores humanity and upgrad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degenerated social phenomena. Especially we have to take care of and protect the weak in order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and harmony among every class of the society. So far the welfare policy has put the emphasis on the equal distribution of material. However, the future welfare policy should b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realization of true self which upgrade the quality of each individual. In that respect, templestay can be applied as a good, mental welfare program which overcomes the alienated humanity and restores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finding the original, true self. After establishment of five-working day a week, the vitalization of leasure and sightseeing has been popular in Korea. So the favorable outcome of the welfare sightseeing has been proved not only for workers but for the welfare recipi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k a plan to apply templestay that considered to be a newly established cultural phenomenon as a welfare and culture program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defined the concept of welfare culture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normalization, inclusion, empowerment, quality of life, enculturation of welfare, welfare-centered culture,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recent study of templestay mostly centered on religious and sightseeing aspect. However, I reviewed templestay in terms of welfare culture. Further more, I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gram of templestay as two patterns of welfare culture. One is sightseeing welfare program and the other is spiritual welfare program.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templestay program will broaden the horizon of welfare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spiritual welfare culture by the application of templestay.

      • 퇴옹 성철의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시론적 접근

        문무왕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6 불교문화연구 Vol.16 No.1

        본고에서는 불교계에서 문화적 표상으로서의 성철의 영향력에 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성철의 영향력에 관한 부분에 대한 학술적 측면에서의 접근은 아직 별로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당대의 이물이라는 점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지만 성철스님의 사상에 대한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1993년 퇴옹의 열반을 전후로 사회에 몰아닥친 영향력은 김수환 추기경의 선종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두 원로의 사망을 기점으로 양 쪽 모두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 시켰으며, 일반인들의 관심을 집중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에 있어서 원로의 영향력과 그 영향력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적 상징성의 확대라고 볼 수 있다. 퇴옹의 현대 한국사회 영향력은 지대하다고 밖에 할 수 없다. 이러한 퇴옹의 역할은 단순한 사회적 현상이 아닌 불교계에서 지닌 그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투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은 단순한 퇴옹의 업적이 아닌 사회적 현상이자 문화적 상징성으로서의 퇴옹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영향력 측면에서 보자면 퇴옹이 행한 봉암사 결사 운동, 백일법문 등의 중요한 일들이 대중들에게 중요한 영향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중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부분은 퇴옹과 관련된 사상적 측면보다는 대중매체를 통해 사회적 파장이 나타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한 사상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니라 사회적 영향에 관한 문제를 살피기 위해 언론을 중심으로 한 대중 인식부분에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회일반의 퇴옹에 관한 인식에 대한 접근을 위하여 불교사상에 대한 접근이 아닌 대중 매체들 속에 투영된 퇴옹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퇴옹의 사회적 역할 및 위상에 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퇴옹의 이미지도 이러한 현대사회의 이미지 구축과 맞물리면서 대중화되어지고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한 측면이 있다. 언론매체의 보도 태도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1980년대에서 90년대 까지 퇴옹은 언론매체의 중요한 보도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이슈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사상적 기반이 없이 1980년대에서부터 현재 까지 공고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최근에 들어와 퇴옹의 영향력이 다시금 증가하는 부분은 깊이 연구할 필요를 느낀다. 최근의 이러한 경향은 사회전반의 원로의 부재에서 기인한다는 사실도 다시금 주목 할 필요가 있다. 사회에 정신적 지표가 상실되어가는 시점에서 퇴옹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영향력이 오히려 증대하는 경향을 볼 때 퇴옹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를 알 수 있다. The monk Seongcheol(Toeong) was the most influential mast er on Korean Buddhism. So far most researches about him hav e been focused on his thoughts and his role in Buddhism. How ever this research is about how he became such an influential person on all over the society. The impact of his nirvana on people in 1993 was as profound as Cardinal Kim Sou-hwan’s passing in 2009. The influence ca used by losing decent religious masters was all over the societ y beyond the religion of the individual. As a result, losing great masters paved the way for the religion’s expansion. Toeong was not only the master of modern Korean Buddhis m but also the symbol of Buddhist culture at that time. What he had done such as “The community of Bongamsa” in 1947 and “the 100days Dharma Sermon” were major religious e vents. Even though they were not important for the public espe cially who were not Buddhists, his thoughts and teaching could be enough to give people spiritual pillar beyond the religious ga p. To understand his popularity, it is necessary to know how p eople accepted his ideas through the media. This approach also lead us to understand his position and role in the society. As the media in 1980’s and 1990’s had kept reporting on him, Toeong could have chances to influence the public. If he didn’t have firm and stable religious idea, he would not be able to be so popular for more than three decades. Recently there is a spike in Toeong’s thoughts again. It mus t has been caused by the absence of respectable seniors at this moment. It is meaningful that he is still missed at the moment of losi ng spiritual leaders these days even after almost 20 years from his nirvana.

      • 7世紀 後半의 長安과 慶州, 佛敎思想 交流의 樣相

        석길암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3 불교문화연구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장안불교와 경주불교 상호간의 긴밀성을 확연히 보여주는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外延의 문제가 아니라 內包의 문제, 곧 사상사적 관점에서 7세기 후반의 중국불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長安佛敎와 新羅佛敎 간의 사상적 교류에 대한 사례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리 언급해두지만, 이 사례들은 특별히 새로운 사료들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하나의 흐름 내에서 長安佛敎와 新羅佛敎를 동시에 捕捉함으로써, 그 7세기 후반의 長安佛敎와 新羅佛敎의 交流樣相에 대한 좀더 일관된 視點 을 얻고자 하였다. 장안불교와 경주불교의 관계가 시작된 것은 600년 원광의 귀국 으로부터이다. 그러나 장안불교와 경주불교의 사상적 긴밀성과 상호보완성이 강화된 것은, 玄奘이 인도로부터 귀국하여 신역경론을 번역하면서부터이다. 경주불교계는 현장의 신역 경론 특히 新唯識 學의 발흥에 대단한 관심을 기울였던 것으로 보이며, 신라 출신 유학승인 圓測 역시 그러했다. 원측은 현장의 영향을 받으면서 西 明唯識이라는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新羅唯識에도 큰영향을 미쳤다. 한편 7세기 중후반 장안과 종남산 일대를 기반으로 삼았던 삼계교의 영향 역시 중대의 대중불교를 대표하던 인물 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대안과 원효는 그 대표적인 인물이며, 특히 삼계교의 전적으로 추정되는 금강삼매경 에 대한 주석이 원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양자의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사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는 다. 반대로 원효의 저술들은 7세기 말 장안에 전해지면서 화엄종 제3조인 법장의 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장안불교와 경주불교 간에는 신라 출신 승려들의 장안 에서의 활동이라는 직접적인 관계와 신역 경론 및 저술의 상호 전파라는 간접적인 관계에 의해서 활발한 사상적 교류가 이루어 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禪文化의 이해

        정무환(Jung Moo hwan)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선문화(禪文化) 혹은 선(禪)의 문화라는 말이 일반화 되고 있다. 그러나 선불교에서 주장하고 있는 선에 대한 정확한 정신과 사상을 이해하지 않고서 선문화라는 말을 사용 한다는 것은 많은 폐단과 오해를 초래 할 수가 있다. 본 논문은 선불교의 정신과 사상적인 토대에서 이루어진 선문화, 혹은 선의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상적인 토대를 확고히 할 필요성에서 제시한 글이다. 본 논에서 언급한 것처럼, 선문화 혹은 禪의 文化란 禪의 수행과 정신, 혹은 선사상을 통해서 이루어진 인간의 창조적인 문화이다. 선의 정신 혹은 선사상의 토대위에 이루어진 인간생활의 모든 知的, 예술적 문화 전부를 일컫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자각의 주체인 근원적인 본래심에서 불법의 지혜와 인격으로 전개한 인간의 모든 생활과 생활공간(道場), 건축, 道具, 미술, 禪墨, 墨跡, 頂相, 예술, 문학 등 생활양식 일체를 총칭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선의 문화는 반야의 지혜로 이루어진 출세간적인 가치관의 창조적인 정신문화이기 때문에 중생심으로 작용한 세간적인 일반 사람들의 문화나 문학과는 차원을 달리 한다. 불교에서는 자아의식과 번뇌 망심(心), 자의적인 생각(意), 주객, 자타, 선악, 등 이원적이고 상대적인 차별의식(識)인 중생심으로 희 노 애 락의 감정(情)과 탐진치의 삼독심과, 오욕망 등의 중생심으로 세속적인 가치관에 토대를 두고 있는 세간의 문학과 문화와는 철저히 구분해야 한다. 불교와 선불교는 출세간의 종교인데 반하여 세계의 모든 종교는 선과 악을 구분하고, 악을 멀리하고 선을 추구하는 취사선택의 상대적인 가치관에서 윤리도덕과 절대자의 구원론을 강조하고 있는 세간적인 가치관의 종교이기 때문이다. Ch an culture(禪文化) or the culture of Ch an is so well-known that it comes to be a generalized term. However, if we do not exactly know the Ch an mind and thought that Ch an Buddhism insists, it brings about various abuses and misunderstandings in using this term.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ing the inevitability of ideological basis for correctl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Ch an culture that has been influenced on the backgrounds of Ch an Buddhism. As discussed in the main subject, Ch an culture is a creative one that a human being forms in his life through Ch an practice or Ch an thought. It can be called a term that designates not only all the intellectual and artistic parts of human activities on the backgrounds of Ch an thought, but also all the ways of life, including living abodes, architecture, fine arts, Ch an calligraphy(禪墨), ink trace developed by Ch an monks(墨跡), portrait of Ch an master(頂相), arts, literature, etc., which have been evolved by the knowledge and personality of Buddha-dhamma with orignal mind as the subject of self-realization. In addition, Ch an culture is more highly estimated than the mundane cultures and literatures created by the mind of sentient-beings because it is a originative mental culture which has supramundane values by paññâ-knowledge. Therefore, 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worldly cultures. Because they have been formed by the mind of sentient-beings with dual and relative discriminations, ie. pure consciousness and deluded mind, subject and object, oneself and others, good and evil, etc., and they are also the creations of such emotions as happiness, anger, sorrow and pleasure, or as three poisons ie. greed, hatred and delusion. Furthermore, this type of differentiation underlies the fact that Buddhism and Ch an Buddhism are supramundane religions without discrimination of good and evil, while the other worldly religions emphasize soteriology from the Absolute, and feature the relative ethical values to pursuit the good, avoiding the evil from the perspective of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