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텍스트 마이닝의 특성과 2011 한국 경제총조사 자료에의 응용

        구주나,김경아,Goo, Juna,Kim, Kyunga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7

        한국 전체 사업체 대한 최초의 전수조사인 2011 경제총조사 중 한식 음식점업 사업체 자료는 취급 메뉴에 대한 텍스트 자료와 영업 지역, 창립연월, 매출액 등 사업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구조화 자료로 구성되어 있는 빅데이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취급 메뉴 자료에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계 및 기술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텍스트 마이닝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의 결과를 사업체 특성 자료와 결합하여 한식 메뉴와 이를 취급하는 사업체 특성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2010년 기준 가장 많은 사업체가 취급하는 인기 메뉴는 삼겹살구이로 특히 강원도와 대전광역시에 인구 대비 취급 사업체가 많았다. 신생 사업체의 인기 메뉴는 육회와 돈가스였고, 닭백숙과 매운탕 등이 장수 사업체가 많이 취급하는 메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식 음식점 창업시 메뉴 선정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관련 정부 부처가 영세 사업체들의 메뉴 변경 유도를 통한 폐업 방지등의 정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11 Korean Economic Census is the first economic census in Korea, which contains text data on menus served by Korean-food restaurants as well as structured data on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including area, opening year and total sales. In this paper, we applied text mining to the text data and investigated statistical and technical issu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 mining. Pork belly roast was the most popular menu across provinces and/or restaurant types in year 2010, and the number of restaurants per 10000 people was especially high in Kangwon-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Beef tartare and fried pork cutlet are popular menus in start-up restaurants while whole chicken soup and maeuntang (spicy fish stew) are in long-lived restaura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menu development to restaurant owners, and for government policy-making process that lead small restaurants to choose proper menus for successful business.

      • 石油資源과 艦艇動力의 將來

        久住忠男,김용대 해군대학 1981 海洋戰略 Vol.- No.9

        1976년의 통계에 의할 것 같으면 전세계의 소비량 가운데 26%가 수송부문에서 소모되었고 그 수송부문중의 5%가 군사관계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1940년대의 석유자원과 함정연료와의 상호관계를 비교해 볼 때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전쟁전의 일본해군은 전비계획의 하나로서 함정용 연료를 비축하는 데 박차를 가했다. 이것은 1941년에 약 650만톤의 중유를 일본국내에 비축하였으나 1945년의 오끼나와(沖縄)공방전 때 특정함으로 출격하게 된 전함 야마토(大和)함에게 만탱크의 연료를 채우지 못하고 반수의 중유밖에 공급하지 못했던 비극은 당시의 연료와 전력 관계가 가장 심각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KCI등재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미곡유통통제기구 도입과 운용

        구주 한국근현대사학회 202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0 No.-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nacted ‘Regulation on Chosun Rice Distribution Adjustment’ for imposing licencing system in rice trading and founding export agency, and ‘Regulation on Chosun Rice Market Corporation’ for founding Chosun Rice Market Corporation in 1939. However, as the rice market was not operated because of drought, it temporarily took charge of exporting. In accordance with annual food policy, corporation expanded its role that managed export and oversaw a local distribution organization. With the enactment of ‘Regulation on Chosun Food Management’ in 1943, all existing organization was reorganized under the Chosun Food Public Corporation. Under the new law and corporation, Chosen’s rice distribution system was totally unified. It is main chage that rice milling industry was nationalized and Japan Imperial enact ‘Act on Chosun Food Management Special Account’ for financing rice distribution work. 본 논문은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미곡유통구조가 국가관리체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도입된 조선미곡시장주식회사와 조선식량영단의 설립·운용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일제는 미곡유통통제를 위해 1939년 미곡취급업을 허가제로 하고 수이출 전담기관을 조직하는 「조선미곡배급조정령」 과 미곡시장을 경영하는 미곡시장회사를 세우는 「조선미곡시장주식회사령」을제정하였다. 그런데 1939년 대한해의 여파로 미곡시장이 운영되지 못하면서, 미곡시장회사는 임시적으로 미곡 수이출을 담당하였다. 미곡시장회사는 매년발표되는 식량대책에 따라 수이출미의 관리를 넘어서 조선 내 배급기구의 중앙기관으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1943년 「조선식량관리령」의 제정으로 미곡시장회사는 조선식량영단으로 개조되었다. 그 결과 조선 내 배급기구는 모두 식량영단 산하에 편재되어, 식량유통 사무는 영단을 통해서만 이뤄지는 일원적 구조가 형성되었다. 식량영단은 식량자원 전체의 유통을 관장하면서 그간 통제의 영역에서 벗어나 있던 정미업을 국영화시켰다. 한편, 「조선식량관리령」 체제 아래에서는 영단이 직접 식량의매입·매도를 해야 했는데, 이를 위한 재원으로 「조선식량관리특별회계법」에 의한 특별회계가 도입되었다.

      • KCI등재

        도나 해러웨이와 동시대 예술의 사이보그들 - 아이러니 개념을 중심으로

        구주 현대미술학회 202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5 No.2

        This study examines A Cyborg Manifesto written by Donna Haraway with contemporary artworks. In particular, the key points of A Cyborg Manifesto are viewed as the irony of cyborg identity and the irony of cyborg politics, and the specific aspects of cyborg identity and cyborg politics are examined, focusing on the two ironies. Through this, it would be revealed that the expanded concept of the cyborg from fictional one to social and metaphoric one can build our ontology and politics. Furthermore Olivia Hyunsin Kim’s <Say My Name, Say My Name> and Zach Blas’ <Facial Weaponization Suite> are examined as artistic examples of cyborg identity and cyborg politics. Finally, the need for artworks that contemplate scientific technology critically is suggested. 본 연구는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을 동시대 예술 작품들과 함께 분석한다. 특히 「사이보그 선언」의 핵심을 사이보그 정체성의 아이러니 및 사이보그 정치의 아이러니로 보고, 두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사이보그 정체성 및 사이보그 정치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핀다. 이를 통해 허구적인 것에서 사회적이고 유비적인 것으로 확장되는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개념이 우리의 존재론과 정치를 정초할 수 있음을 보인다. 나아가 올리비아 현신 킴의 <Say My Name, Say My Name>과 자크 블라스의 <얼굴 무기화 세트>를 사례로 들어 사이보그 정체성 및 사이보그 정치의 예술적 양상을 검토하고, 과학 기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예술 작품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직업군인의 운동지속의도가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특전사 부사관을 중심으로

        구주,박효선 미래군사학회 2020 한국군사학논총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exercise adherence by occupational soldiers on resilience and military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method i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influence and correl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73 occupational soldiers working at the commando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non-probability sampling was applied for analysis of their experience in sports,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Statistical verification power is both positive and positive.05, 1-β=.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recovery analysis, which were set based on 95 and ES.3 or higher. reliability is cronbach ⍺ .928 and the degree of momentum .904, resilient elasticity .796, military job satisfaction. it turned out to be 937.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at all questions except the questions 10 and 16 of resilience were reasonable. Studies have shown that,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all items and factors is great. Second, occupational soldiers' intention to sustain their exercise is a factor that predicts resilience β=.367 and exercise expectation β=.195(p<.001) with a capacity of 29 per cent. Third, occupational soldier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exercise is to predict military job satisfaction β=.249, expected to exercise β=.249 (p<.001) with a 36.8% capacity for explanation. Fourth, The resilience of occupational soldiers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ilitary job satisfaction and self-regulation β=.260, interpersonal β=.466, positive β=.183 (p<.001) showed 65.4% of the explanation. In conclusion, the intention of a professional soldier to continue the exercise is an influence factor to improve recovery elasticity and military job satisfaction, and recovery elasticity is judged to be an influence factor to improve military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orking environment to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through continuous exercise and improve resilience and military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 work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sold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