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성인의 혈청 25(OH)D 수준과 우울증 및 우울증상 경험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0 분석 결과

        구슬,박경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2

        Purpose: Vitamin D has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brain functions in the human body, and cumulative evidence has shown that vitamin D deficiency might be linked with various mental health conditions.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depression in the US and European populations. However,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which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s were available. A total of 18,735 adults who had available demographic, dietary, and lifestyle information were included in our analysis. We defined “depression” with a diagnosis by a physician. “Depressed condition” was defined as having feelings of sadness or depression without diagnosis by a physician.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1.63% and 5.43% in Korean men and women, respectively; 12.5% of men and 26.1% of women were defined as the group having depressed condition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vitamin D status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or depressed conditions in Korean men and women. Conclusion: We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insufficiency and depression/depressed condi-tions in Korean adults. Future large prospective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is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2008~2010년 자료를이용하여, 한국 성인 총 18,735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우울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사에게 우울증을 진단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인 우울증에 대한 유병률은 남녀 각각 약 1.63%, 5.43%이었고, 의사에게진단을 받지는 않았으나 우울관련 증상을 경험한 경우인 우울증상경험률은 남녀 각각 약 12.5%, 26.1%로 여성이 남성에비해 우울증 및 우울증상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우울 상태에 따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녀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즉, 남녀 모두에서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그룹은 정상그룹에 비해 평균 연령이 더 높았으며, 직업을 가지고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그룹이 정상그룹에 비해 소득 및 교육수준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현재 흡연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혈청 25(OH)D 수준과 우울증 유병 위험간의 관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공변량을 보정한 후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동일한모델을 이용하여 우울증상경험을 결과인자로 두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남녀 모두 비타민 D와 우울증상경험간의 유의적인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우울상태에 따라 평균 혈청 25(OH) D 농도를 공변량을 보정한 후 다중선형회귀분석한 결과, 남녀모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위험률에 대하여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국외 선행연구 결과에서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간의 유의적인 관계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가능한 메커니즘이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검증된 우울증 측정 도구를 이용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및 임상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SCOPUS

        산악지형 드론 라이다 데이터 점군 분리를 위한 CSF 알고리즘 적용에 관한 연구

        구슬,임언택,정용한,석재욱,김성삼,Seul Koo,Eon Taek Lim,Yong Han Jung,Jae Wook Suk,Seong Sam Kim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Drone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is a state-of-the-art surveying technology that enables close investigation of the top of the mountain slope or the inaccessible slope, and is being used for field surveys in mountainous terrain. To build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Drone LiDAR, a preprocessing process is required to effectively separate ground and non-ground points from the acquired point clou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oint group data of the mountain topography was acquired using an aerial LiDAR mounted on a commercial drone, and the application and accuracy of the cloth simulation filtering algorithm, one of the ground separation technique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lgorithm, the separation accuracy of the ground and the non-ground was 84.3%, and the kappa coefficient was 0.71, and drone LiDAR data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landslide field surveys in mountainous terrain.

      • KCI등재

        류성룡(柳成龍)이 재현한 아버지의 일생 -『종천영모록(終天永慕錄)』 수록 「선고행년기(先考行年紀)」의 글쓰기 방법 연구-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4

        柳成龍은 자신의 아버지 立巖 柳仲郢의 삶을 「先考行年紀」라는 독특한 작품 속에 재현하였다. 「선고행년기」는 류성룡이 형 류운룡과 함께 찬술한 것이다. 류운룡의 주도로 1573년경 「先府君行年紀」의 1차 찬술이 완료되었고, 약 30년 뒤 류성룡은 「선부군행년기」 속 정보의 검증을 통해 아버지의 삶을 총체적으로 재구하였다. 「선고행년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류운룡의 작품과 차이가 있다. 첫째, 綱目式 연보의 형식에 품계, 날짜, 성명 등의 새로운 정보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사실성을 강화하였다. 해당 연월에 지은 詩文의 제목이나 내용을 인용하여 作品年譜의 역할을 겸하게끔 하였다. 둘째, 특정 행적 전후의 정치적 정황을 상세히 설명하고 대화체를 삽입하거나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을 한 데 모아 유기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서사성을 강화하였다. 추상적 평가를 자제하고 묘사의 진실성을 강조하여 명종대의 정치적 혼란상을 날카롭게 고발하였다. 이러한 글쓰기 방법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류성룡의 존모의식과 정치적 암흑기를 견고하게 살아낸 가문의 중요 인물로서 류중영의 면모가 입증된다. Ryu Sung-Ryong(柳成龍) rebuilt his father Ryu Jung-young's(柳仲郢) life in a unique work called Chronology of Father's life(先考行年紀). Chronology of Father's life is a work created by Ryu Sung-Ryong in collaboration with his brother Ryu Woon-Ryong(柳雲龍). About 1573, the first creation of the Chronology was completed, and about thirty years later, the father's life was clarified through constant checking and verification of information. There are two major differences in the Chronology of Father's life from the works of Ryu Woon-Ryong. First, the facts were reinforced by recording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date. It cited the title and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s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month, and also played a role of the annals of the works. Second, the narrative was strengthened by describing the political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event in detail, inserting dialogue, or organizing events occurring at the same time organically. He refrained from the abstract evaluation and emphasized the truthfulness of the description, accusing the political confusion of King Myeongjong(明宗) sharply. Ryu Sung-Ryong's respect for his father is revealed through such writing methods. In addition, the status of Ryu Jung-young, who survived the political turmoil, has risen.

      • KCI등재

        수정된 도식기반전략교수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구슬,신진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정된 도식기반전략교수가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실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기초선 측정 후, 기존의 도식기반전략교수에 접근 가능한 문제 개발, 큰 소리로 문제 함께 읽기, 과제 분석 및 자기 점검, 최소 촉진 체계, 초인지 전략 교수, 지도 순서, 도식 미리 제공하기 등의 문해력 보완 전략을 추가적으로 통합한 수정된 도식기반전략교수를 활용하여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을 지도하였다. 중재 회기 종료 2주 후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 명의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력이 기초선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이는 유지 구간에서도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들이 교수 전략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들도 문장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러한 문장제 문제 해결을 지도하는 교수전략으로서 기존의 도식기반전략교수를 수정·보완한 수정된 도식기반전략교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dified schema-based instruction on Subtracti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nd performed at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s. After the baseline test, the researcher instructed the students to solve the subtraction word problem using a modified schema-based strategy that integrated the literacy supplement strategy into the schema-based instruction. Maintenance tests were performed two weeks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Results: The subtraction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baseline. This was confirmed to be maintained in the maintenance interval.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could solve the word problems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nstruc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modified schema-based instruction as instruction strategy of word problem solving.

      • KCI등재

        경계선 지적 기능 초등학생의 인지 능력이 수학 교과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구슬,신진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Method: Using K-WISC-Ⅳ and NISE-B·ACT, cognitive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were measur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ir cognitive ability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effect of cognitive ability on math achievement. Results: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were both significantly lower than their peers, and full scale intelligence quotient(FSIQ) and major cognitive ind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overall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by content area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ffects mathematics achievemen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a teaching approach to the mathematics subject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will be necessar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초등학생의 인지 능력이 수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K-WISC-IV와 NISE-B·ACT를 이용하여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초등학생의 인지능력과 수학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인지 능력과 수학 학업 성취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anova,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인지 능력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경계선 지적 기능 초등학생의 인지 능력과 수학 학업 성취도 모두 또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전체 지능 지수(FSIQ)와 주요 인지 지표는 전체 수학 학업 성취도와 대부분의 영역별 수학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초등학생의 인지 능력이 수학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경계선 지적 기능을 가진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지 능력을 고려한 수학 교과목에 대한 교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서거정(徐居正) 산문(散文)에 대한 새로운 접근 -서문(序文)에 나타난 원(元)·명대(明代) 산문의 활용 양상-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3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the aspect of the specific and unique writer Seo Geo-Jung(徐居正) as the power of the Chosun dynasty. Unlike the other writers of early Chosun, he revealed his poverty by using the latest paragraph trends of the Won and Ming Dynasty prose. Through this new discovery, I analyzed the changes of literary trends in the early Chosun and his usage patterns. Seo Geo-Jeong has left traces of reading the literary texts of Won and Ming's personal writers in various places. Most of the 15th century writers show their love to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Tang and Song Dynasty. On the other hand, he read the latest Chinese literature and left a criticism on it, revealing the preference for a hermit's hermit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ceptance and variation patterns of Won and Ming prose, the scope of the preliminary quotation was first extended to other readers. He has taken words and sentences from the works of Won and Ming Dynasty prose. By virtually plagiarizing the works of others, we were able to identify negative cases that failed to develop his own literary achievements. On the other hand, he left a masterpiece by actively reinterpreting the themes and expressions of original prose. Although the literary formulas are few in the preface of the Seo Geo-Jeong, Bu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utilizing the various quotation of the an authentic precedent on the Won and Ming Dynasty prose. This should be newly illuminated as a new aspect of the early Chosun’s literacy trend. In particular, since all the writers of the fifteenth century were not able to read the latest books, his efforts can be seen as a means to solidify his literary reputation as a cultural power of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서거정의 시선 속 15세기 공신의 삶 -묘도문자의 특징적 면모를 중심으로-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59 No.-

        이 글은 서거정이 찬술한 묘도문자 25편 가운데 공신을 대상으로 한 작품을 분석하여 그의 정치의식을 유추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거정은 세조의 치세를 태평성대로 규정하고 있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지닌 인재들을 알아보는 세조의 知人之鑑과 거기에 부응하는 공신들의 정치적 활약상을 묘사하는 일화를 통해 君臣共治의 이상을 형상화하였다. 둘째, 서거정은 정치인들의 원칙적 삶과 ‘청렴’을 중시하는 면모를 드러냈다. 나아가 『필원잡기』에 관련 일화를 재수록함으로써 후대의 정치인들에게 공적ㆍ원칙적 자세를 견지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였다. 셋째, 서거정은 관각문인들에 대한 남다른 우호를 드러내며 문장의 정치적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였다. 정치적 업적 대신 이들이 편찬에 관여한 관찬 서명을 열거하여, 이들이 조선의 융성한 문운을 창도한 주인공임을 드러냈다. 이처럼 서거정은 공신을 대상으로 한 묘도문자를 통해 조선의 태평성대를 함께 견인한 동료들과 자신의 정치적 영광을 회고하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inferring his political views through the epitaph written by Seo Geo-Jung for vassal of merits. Among them, the epitaphs created for vassal of merits shows the following three views of politics. First, Seo Geo-Jung defines King Sejo's reign as peaceful reign. He praised King Sejo's eye for recognizing talented people. It also included anecdotes and arguments describing the political activities of vassal of merits who lived up to King Sejo. Second, Seo Geo-Jung repeatedly emphasized that the contributors lived a life of principleism. In particular, he valued ‘integrity.’ And He re-recorded this in his writings Pilone-japgi(筆苑雜記), and achieved the effect of educating future politicians about what they should have as a politician. Third, Seo Geo-Jung showed exceptional friendship among the vassal of merit, especially to the literary person. Instead of their political achievements, he listed the names of the books they compiled, emphasizing that they were the protagonists of Joseon's prosperous literature. Seo Geo-Jung recalls the political glory of himself and his colleagues who have lived in the same period.

      • KCI등재

        조선 전기 관료 문인의 능력주의 담론 연구 - 15세기를 중심으로 -

        구슬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8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in the meritocratic discourse of bureaucratic Literati in the 15th century in relation to Gwa-geo(科擧). Hungu(勳舊) Literati emphasized that the literary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to the bureaucratcy, and argued that it can be acquired through efforts such as extensive reading and learning under excellent teachers. They also believed that this could be clearly verified through the Gwa-geo characterized by procedural fairness[公道]. However, since literary ability was still largely dependent on innate factors such as the region and the tradition of the family. In response to this, Sarim(士林) Literati sought ways to supplement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of local talent. They highly valued talents who achieved qualitative upgrades through self-regulation, such as intensive effort and diligent learning. In addition, they tried to lead local talent through the recommendation system[薦擧], and saw that it could be a major driving force to lead Joseon to a Neo-Confucian civilization by inspiring numerous people. However, due to the defensive attitude of Hungu and the lukewarm attitude of King Seongjong, equality of opportunity was not yet completed in the 15th century. 본고는 조선전기, 특히 15세기를 중심으로 인재 선발을 둘러싼 관료 문인간 능력주의 담론의 경향과 차이를 살핀 것이다. 먼저 훈구 문인들은 인재의 문장 능력을 강조하며 방대한 독서⋅훌륭한 스승 아래에서의 수학 등의 노력을 통해 그것을 습득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公道]을 특징으로 하는 과거제로써 이를 명확히 검증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문장 능력의 함양은 지역⋅가문 등 선천적 요인에 좌우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사림 문인들은 京鄕 간 인재의 선천적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강도 높은 노력과 성실한 학습 등의 자기규제를 통해 질적 전환을 이뤄내는 것이 인재의 진정한 능력이라고 역설하였다. 또한 명망 있는 先進들의 단계적 검증을 거치는 천거제를 통해 지역 인재의 남다른 능력을 증명할 수 있으며, 그것이 다른 인민들을 고무시킴으로써 조선을 성리학적 문명국가로 이끄는 주요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훈구 문인들의 수세적 자세와 成宗의 미온적 태도로 인해 사림 문인들의 이상은 15세기에 미처 완수되지 못하였다.

      • KCI등재후보

        1960년대와 진술할 수 없는 진술주체, 그리고 ‘2의 형식’에 대하여 1960년대와 진술할 수 없는 진술주체, 그리고 ‘2의 형식’에 대하여-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1969)』을 중심으로-

        구슬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科學 Vol.0 No.55

        본 연구는 이청준의 네 번째 장편소설인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 지니는 위상을 다시 조명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틀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헤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통해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라는 개별 작품이 속하는 1960년대 소설전반의 성격을 규정한다. 그간의 연구에서 1960년대 소설은 1950년대 전후문학과 1970년대 민중문학의 중간지대에 위치하는 과도기적 문학이거나 전혀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모더니즘 문학 중 하나로 분류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 중 후자의 입장을 채택하여 돌출하는 모더니티에 대한 ‘글쓰기 주체’의, 혹은 글쓰기 자체의 대응이 어떠한 소설의 형식을 통해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핀다.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을 관통하는 화법은 2중적 형식, 양가성, 두 가지 항의 중첩 및 그 사이의 모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지향하는 새로운 문제틀이란 곧 숫자 ‘2’에 결부된 문제로 환원된다. 이를 통해 마지막 장에서는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가장 핵심적인 질문인 글쓰기의 (불)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reilluminating the status of Lee Chung-jun’s fourthnovel An Unwritten Autobiography (1969) and figuring out the message ofthe work with much focus on a new frame of reference. The first chapter ofthis paper is devoted to examining -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research - the novels in the 1960s during which An UnwrittenAutobiography was written. The existing studies have categorized the novelsin the 1960s as either “transitional literature” - situated between theafter-war literature of the 1950s and the people’s literature in the 1970s -or a genre of “modernism literature” as a completely new literary mode. Taking up the latter pos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sponse of thewriting subject,” or “writing” itself, to the projected mode of modernity couldbe formalized through the pattern of novels. The speech of An UnwrittenAutobiography throughout is characterized by the dual form, ambivalence,reiteration of binary elements, and the distortion between the two. The newframe of reference of this study, therefore, boils down to the issue of number “two.” Based on these and other studies, the final chapter of this paper attempts to seek for the (im)possibility of writing - one of the key questions of An Unwritten Autobi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