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관청 제명기(官廳 題名記) 창작의 시대적 맥락

        구슬아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6

        This paper is a new attempt to read the creation traditions and tendencie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list(Ti ming-Ji, 題名記)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of the time in the Joseon Dynasty. In contrast to the private association of the bureaucrats, Ti ming-Ji is the official record of former and present government officials. And it emphasizes collective identity as bureaucrats. In order to grasp the contextual context, I first surveyed the present state of creation of Ti ming-Ji during the entire period of Joseon and listed it in the order of the times. And that the genre source is in the Ti ming-Ji of the Song and Won(宋元) Dynasty. There are two main aspects of the change. First in Early Joseon, it is emphasized that the Joseon dynasty secured new talent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ona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Emperor of the Goryeo period and to succeed the transplantation of the Joseon political order. This means that the adjustment is precise and accurate. It is also a pride that Joseon's politics has already established a rational system. In particular, senior bureaucrats encouraged lower-level official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evaluation, and if they supported the king, they would be rewarded through promotion. This is characterized by a sense of systematic order that drives the self-control and growth of new officials.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it is emphasized that damaged records should be restored and rebuilt through the war. It also shows a tendency to record the repair process in detail. And as the central government's maintenance has been completed, the literary subject is changed by local government. In this process, it emphasizes the political commitment that the leaders should play a role in fully communicating the edification of wages in the provinces in rela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creation of Ti ming-Ji until the Joseon dynasty was made mainly by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dividuals who worked at the relevant government offic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Joseon Dynasty, the making of the Ti ming-Ji in the province tends to be made in earnest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formation and to secure the standard of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revising the practice of the old one. Lastly, in the late-Joseon, there is a tendency to inherit the creation traditions of early Chosun and the Middle Age. And both the object of creation and the object of reception were expanded from gentry to the middle class. Ti ming-Ji emphasizes the identity of ‘politician’, especially based on hierarchical order. In addition, it reveals that the political order must be fully operated by each individual position at a given loca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Ti ming-Ji is a characteristic genre that was inevitably prevale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political order by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시대에 중앙조정과 지방의 관청(官廳)에서 제작된 제명기(題名記)를 대상으로 그 창작 전통과 경향을 당시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읽어내려는 시론(試論)이다. 사대부 관료들의 사적(私的) 연대인 계회(契會)와 달리, 제명기는 관청의 전․현임 근무자들의 공적 기록이자 관료로서의 집단적 정체성이 강조되는 자료로서 주목을 요한다. 조선 개국 이후부터 후기까지 창작된 제명기의 통시적 변화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조선 전기에는 고려시대의 유제를 극복하고 『경국대전』으로 표상되는 조선적 정치질서의 성공적 이식을 위한 질서의식이 강조된다. 학업과 인품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정치 인재상을 서술함으로써 조선의 인선(人選)이 엄밀하고 정확함을 과시하는 한편, 이미 조선의 정치가 합리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자부심을 표출하였다. 특히 사대부 고위 관료들이 하급 관원들을 대상으로 한 작품에서는 후인(後人)들의 역사적 평가를 엄중히 인식하며 왕화를 보좌한다면 훗날 승진을 통해 그것을 보상받을 것이라고 독려함으로써 신진 관리들의 자기통제와 성장을 추동하는 계서적 질서의식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병란을 거치며 인멸된 기록을 복구하고 재구축해야 한다는 의식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한편 그 보수(補修)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록해두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중앙관청의 정비가 일단락됨에 따라 지방 통치로 시선이 전환되고 있다. 여기에는 중앙조정과의 관련 속에 수령들이 지방에서 조정의 교화를 온전히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정치적 사명감이 강조되어 있다. 조선 전기까지의 제명기 창작이 주로 해당 관청에 근무하게 된 개인들이 필요성을 자각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면, 조선 중기 이후 지방에서의 제명록 제작은 향리가 축적해온 구안(舊案)의 관행을 전면 수정하여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지방 통치의 준거를 확보하려는 의지에서 제도적․본격적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밖에 조선 후기의 제명기는 조선 전기와 중기 제명기의 창작전통을 그대로 계승하는 경향이 현저하되, 창작의 주체와 수신의 대상 모두 사대부에서 중인층으로 확대되었다. 제명기는 위계적 질서에 입각한 정명 사상을 바탕으로 ‘정치인’이라는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고, 각 개인이 정해진 위치에서 주어진 직분을 다함으로써 정치적 질서가 완전하게 운영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제명기는 제작 자체가 하나의 제도이자 문학적 결과물로서 조선이 새로운 정치적 질서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산생될 수밖에 없었던 장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규범성과 계층성 -관각문학을 통해 본 성종대 왕실문화의 정립 과정

        구슬아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Assuming th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oyal culture under King Seongjong's reign i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is study analyzed the admonish role of Gwan-gak literature and the way of writing skills. King Seongjong tried to increase his authority by newly establishing discipline within the royal family due to the special proces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In response, the officials put the brakes on King Seongjong's method of managing state affairs, which emphasizes hierarchicality, by embracing royal culture as an area of public opinion. The process of confrontation and coordination is well contained in Gwan-gak literature. First, in the early days of the regime, the royal members such as the queen strictly prohibited from participating in politics and showed their willingness to comply with norms by following exemplary examples. So, the officials expressed their expectations and admiration for the regime in their writings. However, King Seongjong tried to raise the hierarchy of his own lineage by promoting his biological father to king. The officials strongly protested on the basis of the ritual injustice. Accordingly, the writers of Gwan-gak literature disciplined King Seongjong by indirectly evoking the normative nature that the royal family should maintain as an example of a general family. Second, when Changgyeong Palace(昌慶宮) was completed, King Seongjong was suffering from internal feuds caused by eunuchs. He complained about the opposition of the officials with the hierarchical advantage of the king, and instead chose to solve this problem indirectly. Accordingly, Kim Jong-jik(金宗直), who received the royal order, wrote a direct and strict warning against eunuchs. However,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the king, the top of the hierarchical order, contained a message of vigilance that requires complete control of royal members. Third, the officials presented the norms of behavior that he should show in the private domain, targeting wages, which is the center point of normativity and hierarchy. The writers of 「Hwanchwijeonggi(環翠亭記)」 respected the realistic position of the king to a certain extent. And at the same time, they insinuated the king to hold his heart firm even in a private space where tensions were eased. The writers of Gwan-gak Literature were well aware of the sensitive nature of King Seongjong, which was show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oyal culture. Thus, it showed the voice of self-purification that delicately achieved their political purpose of advising the king as a moral norm. 이 연구는 성종대 왕실문화의 정립 과정이 왕권 강화 의도와 관련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이 과정에서 창작된 관각산문을 통해 관각문학의 勸戒的 역할과 諷諫의 글쓰기 방식을 분석한 것이다. 성종은 특별한 왕위 계승 과정으로 인해 나름의 방식으로 왕실 내부 기강을 정립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신료들은 왕실문화를 공론의 장으로 포섭하는 가운데 계층성을 강조하는 성종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해 규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제동을 걸었다. 이러한 대립과 조율의 과정이 관각산문의 안팎에 반영되어 있다. 먼저, 성종 즉위 초기에 왕실은 后妃의 정치 참여를 嚴禁하고 모범적 선례를 따를 것을 강조하는 后妃明鑑 찬술 등의 활동을 통해 규범성에 대한 자발적 준수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신료들은 왕실의 의지에 대한 예찬과 성종에 대한 기대감을 관각산문에 담아냈다. 그러나 친정 직전, 성종은 私親을 추숭하는 방식으로 혈통의 위계를 드높이려 하면서 그 의례적 부당성을 논하는 신료들과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관각문인들은 私家의 모범으로써 왕실이 견지해야 할 규범성을 우회적으로 환기하는 방식을 통해 성종을 규계하였다. 둘째, 창경궁 낙성을 전후한 시기 왕실은 宦官을 둘러싼 내홍을 겪고 있었다. 성종은 친왕 세력 확보 및 군왕의 인사권 등 계층적 우위를 앞세워 신료들의 제동에 불만을 토로하고, 이 문제를 에둘러 해결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성종의 명을 받은 金宗直은 사건의 당사자인 환관을 대상으로 직설적 경계의 의도를 담은 관각산문을 찬술하였다. 그러나 그 이면에 계층적 질서의 최상위자이자 왕실 내부의 구성원들을 완벽하게 제어해야 하는 존재로서 군왕이 관련 문제를 누구보다도 심절하게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관각문인들은 규범성과 계층성의 구심점인 군왕을 대상으로, 사적 영역에서 보여주어야 할 행동규범을 제시하였다. 「環翠亭記」의 작가들은 군왕의 현실적 입장을 일정 부분 존중하는 가운데 긴장이 완화되는 사적 영역에서도 마음을 다잡아야 함을 풍간의 방식으로 피력하였다. 아유나 찬미에 그치지 않고, 의사소통 방식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성종의 성격을 고려하되 自淨의 정치적 의도를 사수하기 위해 고심한 관각의 글쓰기 방식이 새롭게 주목된다.

      • KCI등재후보

        1960년대와 진술할 수 없는 진술주체, 그리고 ‘2의 형식’에 대하여 1960년대와 진술할 수 없는 진술주체, 그리고 ‘2의 형식’에 대하여-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1969)』을 중심으로-

        구슬아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科學 Vol.0 No.55

        본 연구는 이청준의 네 번째 장편소설인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 지니는 위상을 다시 조명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틀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헤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통해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라는 개별 작품이 속하는 1960년대 소설전반의 성격을 규정한다. 그간의 연구에서 1960년대 소설은 1950년대 전후문학과 1970년대 민중문학의 중간지대에 위치하는 과도기적 문학이거나 전혀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모더니즘 문학 중 하나로 분류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 중 후자의 입장을 채택하여 돌출하는 모더니티에 대한 ‘글쓰기 주체’의, 혹은 글쓰기 자체의 대응이 어떠한 소설의 형식을 통해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핀다.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을 관통하는 화법은 2중적 형식, 양가성, 두 가지 항의 중첩 및 그 사이의 모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지향하는 새로운 문제틀이란 곧 숫자 ‘2’에 결부된 문제로 환원된다. 이를 통해 마지막 장에서는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가장 핵심적인 질문인 글쓰기의 (불)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reilluminating the status of Lee Chung-jun’s fourthnovel An Unwritten Autobiography (1969) and figuring out the message ofthe work with much focus on a new frame of reference. The first chapter ofthis paper is devoted to examining -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research - the novels in the 1960s during which An UnwrittenAutobiography was written. The existing studies have categorized the novelsin the 1960s as either “transitional literature” - situated between theafter-war literature of the 1950s and the people’s literature in the 1970s -or a genre of “modernism literature” as a completely new literary mode. Taking up the latter pos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sponse of thewriting subject,” or “writing” itself, to the projected mode of modernity couldbe formalized through the pattern of novels. The speech of An UnwrittenAutobiography throughout is characterized by the dual form, ambivalence,reiteration of binary elements, and the distortion between the two. The newframe of reference of this study, therefore, boils down to the issue of number “two.” Based on these and other studies, the final chapter of this paper attempts to seek for the (im)possibility of writing - one of the key questions of An Unwritten Autobiography.

      • KCI등재

        김종직의『이준록(彛尊錄)』에 대한 문학적 고찰

        구슬아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5

        This paper offers a literary analysis of Kim Jong-jik’s IICHUNROK(彛尊錄). IICHUNROK is a literary records of the life of his father Kim Suk-ja(金叔滋). It’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Genealogy, annual report, the list of colleagues, speech and actions, and the way of religious ceremony. Kim Suk-ja has been a decisive influence on Kim Jong-jik's position as a teacher who emphasizes the practice and learning of SOHAK(小學).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ructure and subject matter of this book. Although IICHUNROK has been regarded as a rationale for the author's biographical facts, but it contains Kim Jong-jik's literary inten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analyze as a literary works with a single literary theme. A review of the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this book, Kim Jong-jik was trying to recover his father’s honor by organizing his father's academic, ethical and political achievements. In addition, he stated that he tried to secure the educational effect on readers by using the writing attitude and composition method of the book SOHAK. Subsequently, the subject matters of this work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in subject of the book SOHAK- general introduction(總論), education(立敎), ethics(明倫) and deportment(敬身). In accordance with this grand scheme, the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the important episodes were precisely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can be inferred that Kim Jong-jik presented IICHUNROK intention to make a new kind of SOHAK the addition of Chosun’s practice. In general introduction, Kim Jong-jik defines his father's life as a normative character that protects ethics and practicing the moral principle of filial piety and fraternity(孝弟). This is not limited to Kim Sook-ja's life, but also to Kim Jong-jik's lifelong claim that readers should practice moral principles and self-disciplines. In educational section, Kim Jong-jik introduced the method and training sequence of the neo-Confucianism suggested by his father. It also emphasizes the aspect of educators who have focused on cultivating local talents. The ethical section presents episodes related to rituals and marriages. Kim Sook-ja emphasized that the household of the gentry should practice the teachings of SOHAK and GARYE(家禮). Lastly, in deportment sections, Kim Jong-jik presented his father’s position as a true gentleman who keep his principles. IICHUNROK reflects various ways of Kim Jong-jik's literary patterning. Through this work, Kim Jong-jik organized his father's life and he was able to bring educational effect to readers. These methods of writing were handed down by later writers in various ways such as household history, family standard and lecture books. This is an example that reveals the practical and recor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early Chosun. 본고는 김종직이 부친 김숙자의 세계(世系)와 연보, 사우명단, 생전의 언행, 제의(祭儀) 등의 다섯 범주로 부친의 삶을 반추한 기록인 『이준록(彛尊錄)』을 문학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글이다. 김숙자는 김종직이 『소학』의 학습과 삶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스승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이준록』의 구성 방식과 주제의식을 통해 그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준록』은 그간 김숙자의 전기적(傳記的) 사실을 담은 사료로 여겨져 왔지만, 여기에는 김종직의 문학적 가공의지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문학적 주제가 관류하는 문학 작품으로 간주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이준록』의 찬술 배경과 전체적 구성을 개괄함으로써, 김종직이 김숙자의 학문적․윤리적․정치적 업적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김숙자의 명예를 회복하는 한편 『소학』적 저술태도와 구성 방식을 활용하여 후손과 독자들에 대한 교육적 효과까지 확보하고자 하였음을 밝혔다. 이어서 『이준록』의 주제의식을 ‘총론(總論)’,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敬身)’이라는 『소학』의 대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각 일화를 정밀하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김종직이 『이준록』을 조선의 실천 사례가 추가된 조선식 『소학(小學)』의 성격을 갖는 저술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졌던 것이 아닌가 추정하였다. 가장 먼저 김종직은 김숙자의 삶에 대해 효제(孝弟)라는 도덕적 원칙을 실천하며 오륜을 수호하는 규범적 군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김숙자의 삶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대부 독자들이 성리학의 도덕적 원칙을 실천하여 수신(修身)해야 한다는 김종직 평생의 주장과도 관련되어 있다. ‘입교’에서는 김숙자가 실천한 성리학적 학습의 방법과 교육 순서를 소개하는 한편, 지방의 인재들을 양성하는 데 치중하였던 교육자적 면모를 강조하는 일화를 제시하였다. ‘명륜’에서는 제례와 혼례에 관련된 일화를 중심으로 사대부들이 『소학』과 『주자가례』를 실천할 것을 강조하는 김숙자의 의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신’에서는 원칙과 지조를 견지한 군자로서의 면모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이준록』은 김종직의 문학적 형상화 수법이 다채롭게 반영되어 부친 김숙자의 삶을 매개로 독자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후대 문인들에 의해 가사(家史), 가범(家範), 제례서 등의 다양한 양태로 그것이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문학의 실용적․기록적 특징을 잘 드러내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詩文을 통한 昌慶宮의 장소 정체성 강화 방안 연구 -한문학의 문화․관광콘텐츠 활용 가능성-

        구슬아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dernization of Chinese literature through poetry related to the palace, which is a result of combin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ith high-end culture. Among the four palaces[Gyeongbokgung(景福宮), Changdeokgung(昌德宮), Changg yeonggung(昌慶宮), Deoksugung(德壽宮)] of Chosun, the Changgyeonggung has the least number of visitors. So I analyzed the poetry of Changgyeonggung Palace. Changgyeonggung has a place identity called 'Space for filial piety(孝)' and 'A palace where various stories live'.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new cultural identity of Changgyeonggung.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Changgyeonggung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alaces is that first, it is a palace of frank size. Second, it is a space where the prince studies the prince's discipline before he succeeds the throne. Third, The landmark in Changgyeonggung can be restored first by linking it with other natural scenery themes, for example, Hwanchijeong(環翠亭). The cultural identity of Changgyeonggung is complemented with the touristic and cultural contents of Changgyeonggung such as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f the commentator, developing a detailed tour course, preparing an experience course in which the father and the child participate together, as exhibits linked with cultural properties and possibility of restor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AR). 본고는 한문학이 최상위 문화와 결합된 결과물인 궁궐(宮闕) 관련 시문(詩文)을 통해 한문학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특히 조선의 4대궁궐 가운데 관람객 수가 가장 적은 창경궁(昌慶宮)을 대상으로 한 시문을 분석하여 ‘효(孝)의 궁궐’이자 ‘내전(內殿)의 다양한 이야기가 살아 숨쉬는 궁궐’이라는 창경궁의 장소 정체성을 강화․보완할 구체적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공간, 인간의 경험, 경험에 따른 인식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장소 정체성을 총체적으로 탐색하기 위해서는 역사 기록과 시문의 상보적 검토가 필요하다. 창경궁의 장소 정체성과 관련한 문화․관광콘텐츠와 시문을 개관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 가지 구체적 스토리텔링과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효의 궁궐’ 이면에 검약(儉約)과 관련한 스토리텔링을 강화하고, 이를 문화해설사의 전문화된 해설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둘째, ‘내전 이야기’의 확대 개발을 위해 다른 궁궐과 달리 창경궁에는 세자의 강학과 관련한 전각이 많다는 특징을 강조하고, 이를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하는 체험코스 마련과 같은 관람객 ‘타게팅’ 전략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셋째, 환취정을 예시로 창경궁 내 랜드마크를 우선복원하고 이를 다른 자연 경관 테마와 연계함으로써 창경궁의 관광콘텐츠를 보완할 수 있다.

      • KCI등재

        草創과 潤色, 조선전기 관각문학의 글쓰기 방식 연구

        구슬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규장각 Vol.53 No.-

        본고는 金宗直이 예문관 재직 시에 남긴 두 편의 작품을 통해 조선전기 관각문학의 단계적 글쓰기 방식을 실증하려는 시도이다. 관각문학은 태평성대에 대한 粉飾과 典故의 多用, 修飾에 치중한 문풍을 보인다고 여겨져 그간 문학적 분석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전기 한문 산문은 관각문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文章華國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조선전기 최고의 문사들이 그 창작에 참여하였으므로 단순히 실용적 문학으로 치부하고 외면해서는 안 되는 시점이다. 김종직은 성종 정권 초기 예문관에 재직하던 시기에, 일본 국왕의 국서를 들고 조선에 사신을 왔다 간 일본승려에게 준 送序, 정희대비의 명에 따라 后妃들에게 감계가 될 저서 『后妃明鑑』의 서문을 창작한 바 있다. 그런데 여기에 대폭 수정을 가한 작품이 각각 徐居正과 崔恒의 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사례를 통해 젊거나 직급이 낮은 예문관원이 草稿를 작성하면, 문학적 명성이 있는 노성한 고위 관원이 이를 潤色함으로써 한 편의 완정한 관각문학이 만들어지는 단계적 창작 과정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초고와 윤색을 거친 수정고 사이에는 작가적 개성에 따라 각각 다른 특징이 발견된다. 비교의 결과 첫째, 관각문학은 오히려 불필요한 對句를 삭제하고, 4字句를 위주로 한 간결하고 짧은 문장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나치게 어려운 전고나 僻字의 사용을 자제하는 한편, 창작을 명한 주체나 수신자의 오해를 살 법한 내용, 즉 時諱에 저촉될 만한 내용을 철저히 검열하여 삭제하거나 다른 표현으로 대체함으로써 문장화국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창작방식을 통해 일실된 조선전기 주요 관각문학의 대강을 유추할 수 있는 구체적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남전시고(藍田詩稿)』에 담긴 한 하위주체의 삶과 시세계 일고-20세기초 대구의 기녀 시인 이소도(李小桃)에 대하여

        구슬아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4 한국학논집 Vol.- No.94

        This paper is the firs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authorial consciousness of a Subaltern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through the poems that Lee So-do, a gisaeng poet active in Daegu in the early 20th century, added to her mother's collection of works. Lee So-do became independent as an artist by using her outstanding poetic talent, efforts in reading, response to the changing harsh reality, and innocence that came from the conditions of existence as a Subaltern.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outlines Lee So-do's life and examines the ways in which she expanded her perception of reality through human networks. As a result, Lee So-do went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a disciple while interacting with traditional male noble intellectuals such as Cho Byeong-yu(趙秉瑜), and after the 1920s, she joined the current affairs group centered on financial sponsors such as Seo Byeong-gyu(徐丙奎), and was highly regarded as a member of a literary coterie rather than a 'Gisaeng' was confirmed. Unlike her mother, who denied her identity as a gisaeng, she did not deny her identity as a gisaeng or a woman. However, she recognized that the real world surrounding her was a negative situation, and in order to overcome it, she immersed herself in the present and expressed her innocent nature as a natural person free from constraints such as status, gender, and current situation. Through these strengths, she expressed a confident and noble self-consciousness that interacted equally with other coworkers. In addition, she has achieved high achievement as a poet that contain parallelism, description, and poetic resonance, but she expresses poetry and emotions at her own pace without feeling pressure to adhere to the style of modern poetry. Lee So-do as a writer is far from the passive and subordinate figure of a subaltern who has lost her base of activity trying to rise in status by solidifying solidarity with the upper classes or seeking artistic achievement based on it. The changed perspectives of the members of the network surrounding her may have also played a role in making this happen. This also suggests that a reading method that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and other networks from the collection of works of subalter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s necessary.

      • KCI등재

        규장각 소장 經部 자료 목록․해제 정리사업의 경과(1) - 2018년도 사업결과를 중심으로

        구슬아,우나영,김은슬,서진원,조성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4 No.-

        ‘규장각 소장 자료 목록․해제 정리사업’은 규장각 소장 經部 자료의 전수조사와 개별 상세서지조사카드 작성을 통해 『규장각도서한국본종합목록』(수정판, 1994) 및 『규장각도서중국본종합목록』(1982)의 정보 오류, 중복․合帙․누락 사항 등을 전면 수정하고 가칭 『규장각 소장 經部 자료 종합목록』을 발간하는 데 1차 목표를 둔다. 동시에 수정을 긴급히 요하는 기해제도서에 대한 수정과 우선해제대상서에 대한 해제 작성을 통해 규장각 소장 경부 자료의 가치를 제고하고 이용과 관리 양측면에 정확성․전문성을 기하는 데 2차 목표를 둔다. 이 논문에서는 목록 오류 수정의 기준 등 주요 사업 방법을 소개하고 2018년도 사업대상인 詩類․春秋類․禮類․樂類․孝經類․四書類 도서 약 1,200여 건에 대한 상세서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오류 수정의 주요 성과를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서명․편저자․판사항․발행사항․동판본 및 사부분류 등 주요 항목에서 未詳의 정보를 새롭게 밝혀내거나 정보 오류를 수정하였다. 나아가 규장각 소장 경부 자료의 가치를 발굴하기 위한 심화조사를 새롭게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규장각 자료에 국가나 官署 주도의 경서 향유 양상을 드러내는 정보가 많다는 점을 부각하였다. 자료에 기재된 口訣, 諺解 등의 항목을 ‘비고’란에 기술하고 관련 내용을 목록화 하는 한편, 經筵에서 교재로 활용되었음을 증명하는 標識는 심화 조사하여 내용 서지를 대폭 보완하였다. 둘째, 형태서지 및 내용서지에 대한 기술이 미비한 중국본 경부 자료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기술규칙을 수립하고 추후 목록집에 중복 수록을 방지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古刊本, 희귀본 擧業書 등이 규장각에 다수 소장되어 있음을 새롭게 밝히고, 한국본 경부 자료의 底本이 된 중국본 경부 자료의 구체적 활용 양상을 실증하였다. 이와 같은 심화조사 및 목록화를 통해 이용자들을 위한 정확한 서지 정보 제공, 규장각 소장 자료의 효율적 보존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