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과배란유도에서 GnRH Antagonist (Cetrorelix) Single 및 Multiple Dose Protocol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고상현,김동호,배도환,이상훈,Ko, Sang-Hyeon,Kim, Dong-Ho,Bae, Do-Hwan,Lee, Sang-Hoon 대한생식의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9 No.4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GnRH antagonist (Cetrorelix) single dose and multiple dose protocols f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with GnRH agonist long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 From September 2001 to March 2002, 48 patients (55 cycles) were performed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for ART using by either GnRH antagonist and GnRH agonist. Single dose of 3 mg GnRH antagonist was administered in 15 patients (17 cycles, single dose group) at MCD #8 and multiple dose of 0.25 mg of GnRH antagonist was administered in 15 patients (18 cycles, multiple dose group) from MCD #7 to hCG injection day. GnRH agonist was administered in 18 patients (20 cycles, control group) by conventional GnRH agonist long protocol. We compared the implantation rate, number of embryos, and clinical pregnancy rate among three groups. Student-t test and Chi-square were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pules of used gonadotropins, number of mature oocytes, obtained embryos between single and multiple dose group, bu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mpules of used gonadotropins, number of mature oocytes, obtained embryo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Clinical pregnancy rate and implantation rate were not different in three groups. There were no premature LH surge and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in three groups. Multiple pregnancy were occurred 1 case in multiple dose group and 2 case in control group. Conclusions: GnRH antagonist is a safe, effective, and alternative method in the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mpared with GnRH agonist. Clinical outcomes and efficacy of both single and multiple dose protocol a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 SCOPUSKCI등재

        클로미펜에 저항성을 보이는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들에 대한 메트포민 치료의 효과

        고상현,이상훈,Ko, Sang-Hyeon,Lee, Sang-Hoon 대한생식의학회 2001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8 No.4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formin therapy on ovulation induction & pregnancy rate in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COS women. Method: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single-blinded, case-controlled methods. Total study group consisted of 21 women who showed clomiphene citrate-resistant parttern on previous ovulation induction cycles. Patients of metformin group received metformin 500 mg three times daily, for 7 weeks. Control group received none. Metformin group was consisted of 10 women and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11 women. Then clomiphene was administrated at daily 50 mg for 5 days to both groups. Clomiphene dosage was increased to daily 150 mg until ovulation was occurred. Before and After metformin treatment, blood samples for measurement of insulin, glucose, steroids were obtained. Results: In the metformin and control groups, 6 of 10 women (60%) and 2 of 11 women (18%) ovulated. And 4 of 10 women (40%) and 0 of 11 women (0%) conceived.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In PCOS women who are resistant to CC, metformin use increased the ovulation rate and pregnancy rate from CC treatment, significantly.

      • KCI등재

        타인 권리의 증여

        고상현(Sanghyun Ko) 한국비교사법학회 2023 비교사법 Vol.30 No.2

        누군가가 다른 사람이 소유하는 물건을 어떤 이에게 무상으로 수여하는 것이 가능한가? 우리의 통설과 판례는 이를 긍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히고 있지 않다. 그러나 증여는 그 본질에서 자기 재산의 감소를 전제로 하는데, 타인에 속한 재산을 증여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또한 무상계약인 타인 권리의 증여에서 증여자는 매도인과 같은 책임을 진다고 할 수 있을지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을 얻기 위해서 먼저 외국 법제의 태도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독일 민법에서는 증여자의 재산 감소가 있으면 증여 목적물이 증여자의 소유일 필요가 없다고 해석되고, 또한 권리 하자에 대한 책임 규정을 통해서도 이를 인정한다. 프랑스민법에서는 장래 재산의 증여를 금지함으로써 타인 권리의 증여를 부인하고 있다. 일본 민법은 증여의 목적을 ‘자기의 재산’이 아닌 ‘어느 재산’으로 변경하여 이를 수용하게 되었다. 제정 당시 우리 민법의 입법자는 ‘자기의 재산’을 ‘재산’으로 법문을 수정함으로써 타인 권리의 증여가 유효함을 의식적으로 확인하였다. 타인 권리의 증여에서는 증여자가 타인에 속한 증여 목적물을 취득하여 수증자에게 이전할 의무를 부담한다. 그렇지만 증여자에게 악의의 묵비가 없는 한 원칙적으로 매도인과 같은 담보책임을 부담하지는 않는다. 다만 증여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타인으로부터 증여 목적물을 취득하여 수증자에게 이전할 수 없게 되었다면, 증여자는 수증자에 대하여 채무불이행 책임을 지게 된다. 이 논문은 타인 권리의 증여가 마치 증여자의 재산 출연이 없는 특별한 증여라고 오인될 수도 있지 않겠냐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타인 권리의 증여가 증여로서 유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증여자의 재산이 감소해야 한다. 증여자의 재산이 희생되지 않으면 증여가 아니기 때문이다. Ist die Schenkung des Rechts eines anderen gültig? Unsere Theorie und unsere Rechtssprechung bestätigen dies. Die konkreten Gründe werden jedoch nicht aufgezeigt. Es muss auch geprüft werden, ob der Schenker bei der Verschaffung von Rechten Dritter die gleiche Verpflichtung wie der Verkäufer trägt. Um Antworten auf diese Frage zu erhalten, wurde in dieser Studie untersucht, welche Einstellungen in den Rechtsvorschriften anderer Länder vertreten sind. Wir haben keinen Fall gefunden, in dem die Übermittlung von Rechten Dritter direkt und ausdrücklich im Gesetz erwähnt wird. Es wird davon ausgegangen, dass die Schenkung von Rechten Dritter einer besonderen Situation entspricht, die in der Art der Schenkung ungewöhnlich ist und die nicht einmal die Notwendigkeit und Rechtfertigung für deren Berücksichtigung in der Verordnung erreicht hat. In den meisten Rechtsvorschriften, einschließlich in Deutschland, gab es Vorschriften, die die Haftung von Schenker reduzierten. Unser Zivilgesetzbuch sieht vor, dass der Schenker nicht für Rechtsmängel haltbar gemacht wird, es sei denn, der Schenker hat eine böswillige Stillschweigen vereinbart. Bei der Schenkung muss es eine Entreicherung des Schenkers geben.

      • KCI우수등재

        ‘축제’ 개념의 근대 유입과 현대 한국적 개념의 단초

        고상현(Ko, Sang-Hyun)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3

        본고는 우리나라에서 ‘축제’라는 용어의 근대적 유입과 현대에 어떻게 정착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축제’의 한국적 용어를 모색하고, 한국적 축전의 정체성을 찾는 토대가 되고자 시도해 보았다. ‘축제’라는 용어는 근대 이전에는 현대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 개념은 1873년 일본 태정관포고 제344호에서 황실의 축일과 제일의 줄임말에서 비롯된 조어였다. 근대기에 도입되어 개인문집과 신문, 잡지, 공문서 등에 등장하였다. 외국 선교사들과 외교관이 조선어를 학습하기 위해 만든 이중어사전에서 그들 나라에서 사용한 축제 개념이 사용되었다. ‘축제’와 유사한 개념은 1880년에 처음 발행된 이중어 사전인 『한불자뎐』에서 사용되었다. 1901년 한국과 벨기에 조약에서 처음으로 오늘날과 유사한 ‘축제’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중어사전에 한글로 등장하는 것은 1931년 게일(J. S. Gale)이 증보한 『한영대자전』에서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사전에서 오늘날과 같은 개념이 수록된 것은 그보다 26년이 지난 1957년 한글학회가 발간한 『큰 사전』에서이다. 현대 축전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축전, 축제, 제전, 재(齋), (대)회, 대제(祭, 제향), 놀이, 잔치, 한마당 등 다양하였다. 그럼에도 정부의 정책 개념에 따라 축제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 우리나라 축전에 맞는 개념어를 찾아 한국축전의 정체성과 발전을 재고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estival was established and changed in Korea through the etymology of the term "chuk-je(festival)" and modern era. The term "festival" was not used as the same as the present before the modern era. It appeared in the period of the flowering period and in the collection of modern literary articles, newspapers, magazines, and archives. In addition, the concept of festival used in their country was used in a bilingual dictionary that foreign missionaries and diplomats made to learn Korean language. The term "chuk-je(festival)" was used by 『Dictionnaire Cor´een-Français(한불자뎐韓佛字典)』 in the 1880s in French before the 20th century, and by Yun Chi-ho in English. In the 20th century, the concept of "chuk-je(festival)" appeared. It has been used since 1901 in the Treaty of Korea and Belgium. Appearing in Korean in the dictionary is the Korean-English dictionary, which J. S. Gale added in 1931. Neverthel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 the Korean dictionary is contained in 『The great dictionary(큰 사전)』 published by the Hangul Society in 1957, 26 years later. The terms used in modern festivals are various such as Chuk-jun(festival, 축전), Chuk-je(festival, 축제), celebration(제전), Jae(齋, fete), Daeje(대제), conventions(대회), nori(plays, 놀이), banquet(feasts, 잔치), Hanmadang(한마당). the term festival was generalized according to the policy concept of the government. In this paper, the term ‘chuk-je(festival)’ is not suitable for the Korean festival, and I searched Korean terms and tri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identity and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estival.

      • 독일 민법발전의 최근 동향

        고상현 ( Sang Hyun Ko ) 한독법률학회 2012 한독법학 Vol.17 No.-

        독일민법은 200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채권법의 현대화에 관한법률(Gesetz zur Modernisierung des Schuldrechts v. 16. 11. 2001, BGBl.I, S. 3138)을 통해서 대폭적인 변화를 체험하였다. 독일채권법의 전면 적인 쇄신은 독일민법의 새로운 전환을 알리는 개혁의 신호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채권법 개정 이후의 독일민법의 변화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정리해 보았다. 재산법 분야의 개정은 독일채권법 개정의 후속작업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변모되어온 소멸시효법과 시민의 자발적인 재산출연을 통해 재단법인설립을 활성화하려는 독일재단법 인법의 개혁이 이루어졌다. 또한 소비대차의 차주를 보호하기 위한개정입법 역시 부분적으로 진행되었다. 가족법 분야에서는 자녀의 계속적 권리증진에 관한 법률, 성년감호제도의 개정에 관한 법률, 부양법의 개정에 관한 법률을 통한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상속법 분야에서는 상속법과 시효법의 개정에 관한 법률로써 특히 그 동안 학계와 실무에 논란이 많았던 유류분법 분야의 현실적인 개혁과 함께 가족법 및 상속법의 시효를 재산법의 시효체계에 통일시켰다. 독일채권법 개정 이후 독일민법 개정의 입법자는 법제도 자체의 혁신적인 개선보다는 판례와 실무를 통해서 현실적으로 대두되었던 법규정상의 문제해결을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경우, 필요최소한도의 범위에서 법조문의 소폭으로 개정한 것에 불과했으나 법실무상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라고 평가된다. 현재 법무부 산하 민법개정위원회에서는 민법학계와 실무계의 핵심역량이 총집결하여 대대적인 민법의 개혁을 준비하고 있다. 독일채권법현대화법률의 입법을 전후한 논의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찬동하는 입장뿐만이 아니라, 비판적인 의견도 공존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분명한 것은 독일채권법의 개정 및 그 평가, 그리고 이후의 지속적인 개정노력에서 보이듯이 민법개정을 위한 모든 과정이 민법학의 논의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발전시켰다는 것이었다. Am 1.1.2002 tritt das Schuldrechtsmodernisierungsgesetz im BGB in Kraft. Es bringt zahlreiche Veranderungen sowie der heftige rechtspolitische Streit. Der Beitrag geht die Bewertung der Schuldrechtsreform aus und versucht, einen Uberblick uber die wichtigsten Anderungen des neuen BGB seit In-Kraft-Treten des Schuldrechtsmodernisierungsgesetzes zu geben. Zunachst wird das Gesetz zur Anpassung von Verjahrungsvorschriften an das Gesetz zur Modernisierung des Schuldrechts behandelt. Das Gesetz hebt zahlreiche Sonderverjahrungsfristen außerhalb des BGB auf und dehnt damit den Anwendungsbereich der Regelverjahrung gem. §§ 195, 199 BGB aus. Es folgt dann das am 1. 9. 2002 in Kraft getretene Gesetz zur Modernisierung des Stiftungsrechts. Das Gesetz regelt die Entstehung der Stiftung neu und bundeseinheitlich. Der Zweite Teil des Beitrags befasst das Gesetz zur Uberarbeitung des Lebenspartnerschaftsrechts, das am 1. 1. 2005 in Kraft trat, in wesentlichen Punkten geandert und weiter an das Eherecht ange-passt wurde. Berucksichtigt wird auch das am 1. 1. 2008 in Kraft getretene Unterhaltsrechtsanderungsgesetz, das im Wesentlichen die Starkung des Kindeswohls ziehlt. Schließlich stellt der Beitrag das Gesetz zur Anderung des Erb und Verjahrungsrechts vorgestellt vor. In seinem Kern stellt es die Anderung des Pflichtteilsrechts dar. Dort wird ein grundlegender Systemwechel hinsichtlich des Pflichtteilsrechts nicht vollzogen. Trotzdem sind die Veranderungen des neuen BGB fur die Rechtspraxis von großer Bedeutung.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축제의 현황과 발전 방안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각종 지역축제에서 불교적 축제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교축제에 대한 연구는 연등회나 팔관회 등 특정한 분야에 국한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불교의례와 문화행사중에서 축제로서의 의례와 문화행사에 주목하였다. 이들 불교축제를 유형과 내용에 따라 나누었다. 유형별로는 불교의례를 중심으로 한 불교의례축제(Buddhist Ritual Festivals)로, 불교문화를 활용한 축제를 불교문화축제(Buddhist Cultural Festivals)로 분류하였으며, 내용별로는 복합형과 테마형으로 분류하였다. 불교의례축제는 불교의례가 중심이 된 축제로, 팔관회, 우란분재, 수륙재, 개산대재, 영산재 및 괘불재, 생전예수재 등을 들 수 있다. 불교문화축제는 불교의례에서 파생되거나 불교적 모티브를 차용하여 축제적인 요소가 강화된 것이다. 복합형 축제는 연등회,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 등이 있다. 테마형 축제는 주제에 따라 사찰음식축제, 음악회형 축제, 생태자연축제, 낙화놀이 축제, 동제형 축제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불교축제의 발전 방안으로서는 종단차원에서 불교축제현황 파악과 홍보, 축제전문연구자나 기획자의 양성을 들었다. 사찰 내적으로는 축제의 지속성을 위해 개산대재와 같이 정기적인 의례와 결합하는 방안, 일반인 참여 확대를 위해 내재적 제약요인을 줄이는 테마축제를 기획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교의례나 불교문화적 요소가 담긴 축제는 고유성과 정체성을 견지해야 한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화를 통한 체계적 구성, 스토리메이킹을 통한 새로운 축제 영역의 개발과 창조적인 연출이 필요하다. 외적으로는 지역은 물론 지역축제와의 연계성을 높여야 한다. Existing research on Buddhist Festivals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festivals such as the Yeondeunghoe or the Palgwanho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ites and cultural events that are a feature of Buddhist festivals. In terms of classification, the festivals that mainly involve Buddhist rites are classified as Buddhist Ritual Festivals, and the festivals that are associated with Buddhist cultural events are classified as Buddhist Cultur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festivals, they are classified as either complex or thematic in form. In addition, festivals can also be classified as either diachronic or synchronic festivals, but this article does not deal with that type of classification. Buddhist Ritual Festivals include Palgwanhoe, U’ranbunjae, Suryukjae, Gaesandaejae, Yeongsanjae, Goibuljae, and Saengjeonyesujae. Buddhist Cultural Festivals began as Buddhist rites but the festival elements have been strengthened. Examples of such complex-form festivals include the “Lotus Lantern Festival” and the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thematic form, festivals are subdivided into temple food festivals, concert festivals, ecological festivals, fireworks festivals, and village ritual festivals. In order to improve Buddhist Festivals, this article sugges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festivals at the level of religious organizati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uddhist festival calendars, and the training of festival experts and planners. Within temples, festivals need to be combined with regular rites, such as the anniversaries of temple foundations, to ensure their continuity, and temples need to plan thematic festivals in which intrapersonal constraints are minimized to ensure the greater participation of ordinary people. However, uniqueness and identity are still important.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e systematic composition of festiv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festivals through the techniques of storytelling and story-making. Looking outward, connectivity with adjacent regions and other regional festivals should also be improved.

      • KCI등재

        승가교육의 질적 전환을 위한 제언

        고상현(Sang Hyun Ko),오형만(Hyung Man Oh)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6

        스마트시대로 진입하면서 수직적이고 이기적 관계는 수평적이고 이타적 관계로 변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에는 ICT의 발달에 따른 기기도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교육방법의 다변화를 촉진하였다. 전통적인 교육에서 ICT활용교육으로, 그리고 e-러닝, m-러닝, u-러닝을 거쳐 스마트러닝으로 발전하였다. 승가교육은 청정한 수행자로서 지혜를 전하는 지도자라는 승가상을 갖춘 승려의 양성과 승가 공동체의 일원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이것을 위한 현대의 승가교육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기는 해방이후부터 1994년까지로 근대기의 연속선상에 있었으며, 일제시기 유학파의 환속 등으로 승가내에서의 교학적인 분위기는 오히려 퇴보하였다. 94년 개혁으로 시작된 2기는 1995년부터 2009년까지로 승가교육의 체계를 기초교육-기본교육-전문(특수)교육-재교육(연수교육)으로 정착한 시기이다. 하지만 교육내용면에서는 큰 변화를 이루지 못하였다. 3기는 2010년부터 현재진행형으로, 승가교육의 전면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그 내용으로는 행자교육의 안착화, 기본교육의 표준교육과정으로 교과목 전면 개정, 연수교육으로 승려의 평생교육 제도 재정비를 들 수 있다. 교육방법에서도 청암사승가대학과 율학승가대학원에서의 스마트캠퍼스 개설, 교육원에서의 이러닝(엠러닝)의 개설 등 이전시기에는 전혀 볼 수 없었던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변화에도 승가교육의 현장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학습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출가자는 다양한 학력, 연령, 국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 개개인에게 맞는 스마트교육이 필요하다. 일반사회교육에서는 이미 교수자에서 학습자로 교육의 중심이 이동하면서 스마트한 방법이나 기기를 활용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맞춤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승가교육도 승가공동체를 중시하면서도 출가자 개인의 역량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랬을 때 승가공동체도 진일보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승가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식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며, 학인들의 교육을 최우선하는 사고가 필요하다. 또한 승가교육방법도 전통적인 논강을 되살리면서 학인들에게 맞는 맞춤형 학습과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승가교육에서 ICT 발달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 수용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승가교육자료공개센터(가칭)>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교육을 위한 승가교육의 틀을 바꿀 수 있는 방안 연구와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들이 더욱 경주되어야 한다. As our country moves into the Smart Era, vertical and selfish relationships are changing into horizontal and altruistic ones. To this change, electronic equipment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a certain degree. This change stimulated the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 methods: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 to the education utilizing ICT, and through electronic learning (e-learning), mobile learning (m-learning) and ubiquitous learning (u-learning) to Smart learning (s-learning). The Education for Buddhist monks consists in cultivating Buddhist monks who are equipped with self-image such as a leader who, as a pure and clean practitioner, transmits wisdom; and in fostering a member of Buddhist community. We could say that for this purpose there have been some endeavors throughout largely three perio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for them. The first period was between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1945) and the year of 1994. This period was fundamentally an extension of the modern period, and the academic atmosphere inside Korean Buddhist clergy rather regressed because of some factors including the exclaustration of those who had studied in Japan during Japanese colonialism. The second period starting from 94``s reform is between 1995 and 2009, when the system of the education is settled in the way of education for beginners ― basic education ― professional (special) education ― reeducation (training course). At this time, however, there were not big changes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contents. The third period began in 2010 and is now in progress, when there were radical changeovers in the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for haengja (novice monks), an overall change of the basic eduction into a standard educational course, the reorganization of Buddhist monks`` lifelong eduction system with training course, and so forth. As regards instruction methods, a new Smart education system, which could never be observed in the past, was introduced; for example, Smart campuses in Chungamsa Sangha university and Yulhak Sangha graduate school opened, and the Bureau of Monastic Training of the Jogye Order is offering e-learning (m-learning). In spite of these changes, the educational arena for Buddhist monks still feature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Renunciant monks have various academic background, age, and nationality. Therefore, a Smart education suitable for each of them is needed. For this, before anything else, there should be change in understanding for the invigoration of the education, and student monks should be the number one priority. Besides, as for the teaching methods, such traditional way to study as non-gang (論講, discussing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recovered; a more customized learning for each of the student monks and a more active, creational learning should be achieved; and utilizing Smart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CT should be accepted affirmatively. And finally, (tentatively named) Sangha (Buddhist Community) Open Educational Resources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ly, plan researches, with which the framework of sangha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Smart education can be changed, should be conducted; and the efforts to reflect this change in the policy should be made more and more.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고상현 ( Sang Hyung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고려시대 수륙재에 대한 연구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필자는 시론적인 성격으로 고려시대의 수륙재에 대한 단편 기사를 통해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유포, 수륙재의 설행 형태와 목적,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 건립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관련한 직접적인 기사(記事)는 『고려사』 선종7년조에 최사겸이 송나라에서 구해 온 수륙의문과 이제현이 쓴 혼구의 비명(碑銘)에 『신편수륙의문』 2권을 스님이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현존하는 수륙의례집인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천지명양수륙잡문』 등에 고려 죽암공이 편찬하거나 또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발문이 전하는 의례집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고려시대에도 여러 의례집이 수차례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도 이어져서 간행되었음을 쌍봉사에서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재의 찬요』의 이제현의 발문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었다. 수륙재의 설행 목적으로는 첫째는 혜거 국사가 하산소로서 갈양사를 중창시 설행한 낙성고불식이며, 둘째는 진정국사가 백련사, 만연정사, 조계사에서 설행한 것으로 적멸의 근원인 불덕(佛德)을 깨닫도록 하였으며, 셋째는 치병(治病)을 위한 수륙재이며, 넷째는 액을 없애는 해액수륙재(解厄水陸齋)이다. 다섯째는 추선(追善)의 재의로, 공민왕이 죽은 승의공주를 위해 국행수륙재를 설행하는 등 현전하는 기록으로 가장 많은 횟수가 설행된 예이다. 여섯째로는 수륙재와 유사한 무차 대회로 개설된 공신들을 위한 공신재이다. 일곱째로 광종이 설행한 무차수륙회로 죄업(罪業)을 소멸(消滅)하고자 한 것이다.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이나 당우는 혜거국사의 하산소로서 갈양사에 수륙도량을 개설한(971) 것과 선종 6년(1089)에 보제사에서 수륙당을 건립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조선 건국 직후에 국행수륙도량으로 진관사에 수륙사를 조성한 것이나 조선후기에 간행된 『무위사사적(無爲寺事蹟)』, 『대둔사지(大芚寺誌)』등에 수륙사, 수륙전 등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여러 형태로 수륙재 관련 도량이나 당우(전각)가 계속 건립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datas, the Study of Koryeo Dynasty Suryukjae(Buddhist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 Shuiluzhai) can not be achieved fully. Hereupon, I aim to study about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rituals of Suryukjae, the forms and purpose of doing Suryukjae and the building type of temple for Suryukjae through the paragraphics which were written in the days of Koryeo Dynasty.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are directly to the publication of Suryuk ritual ceremony. 1st is Suryuk ritual sentences. Choi Sa - Geum had brought this articles from the Song(宋) country at Sun - Jong 7 accroding to 『Koryeo - sa』(高麗史). The second is 『A new edition Suryuk ritual sentences』(新編水陸儀文) volume 2 which is written by monk Hon-gu. Lee Je - Hyun wrote an inscription for monk Hon - Gu. The third is 『Chunji myungyang suryuk jaeui chanyo』(天地溟陽水陸齋儀纂要) and 『Chunji myungyang suryuk jabmun』(天地溟陽水陸雜文) etc. Some articles were published in Joseun Dynasty and remains until now. And others were written by monk Jukam in Koryeo Dynasty and were remained only the part of epilogue. Although direct articles are not remained today, but judging from the records in the days of Koryeo, we can find that various rituals were published several times. It has continued until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is fact from Lee Jae Hyun`s epilogue of 『Chunji myungyang suryuk chaeui chanyo』 which is edited by Ssangbong temple. That book is in Yong Nam University`s library. Next, I try to find the purpose of doing Suryukjae. First, Suryukjae is for the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Koryeo dynasty. Second, Suryukjae is for attaining enlightment for Buddha, that is Nirvana, We can find this from 『Hosanrok』(湖山錄)and 「Suryukjaeso」written by Jin-Jung national affairs(眞靜國師). Third, Suryukjae is for Cheondo(薦度, The Buddhist ritual or service to help). The largest number of records about Suryukjae is for Cheondo. Fourth, it is for the Healing. Fifth, it is for removing the bad luck by Haeaeksuryukjae(解厄水陸齋). Sixth, it is for expiation of the sin. Seventh, it has been used to pacify the people and unify them spiritually and politically through buddhism which was spread among the people at that time. Likewise Suryukjae has been done in a various purposes but among them Suryukjae for the Cheondo was recorded the largest number. The first structure associated with Suryukjae was built Suryuk house(水陸堂) in Bojesa at Sunjong sixth 1089 year, Suryuk house where builds in Bojesa. There are some records for Suryukjae in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They are 「Jinkwansa Suryuksa Josunggi」(The record which creates) on 『Collections of Yang - chon』(陽村集) which is written by Kwon Keun and 『Muwisasajeok』(無爲寺事蹟), 『Deadunsaji』(大芚寺誌) in the lat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e record of Suryuksa(水陸社) or Suryukjeon(水陸殿) from those books. As above,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various type of buliding temple for Suryukjae.

      • KCI등재후보

        태아의 상속능력과 그 보호방안

        高相賢(Ko, Sang-Hyun)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1

        Im r?mischen Recht wurde das Kind im Mutterleib als schon geboren behandelt, um es am Nachlass des Erblassers teilhaben zu lassen. Dieser Grundgedanke bezweckt den Schutz der Leibesfrucht und bildete den sprichw?rtlichen Grundsatz ‘Conceptus pro iam nato habetur, quoties de commodis eius agitur". Der Grundsatz des r?mischen Rechts findet sich in fast allen neuzeitlichen Kodifikationen wieder. Aber die Gesetzgeber verwirklichen ihn rechtstechnisch unterschiedlich. ?ber die Rechtsf?higkeit des nasciturus erhalten sie generelle Vorschriften oder Einzelbestimmungen. Allgemeine Vorschriften dar?ber enthalten ALR I 1 § 10, § 22 des ?sterreichischen ABGB, Art. 31 des schweizerischen ZBG. Dahingegen verzichten der franz?sische Code Civil, das deutsche BGB, das japanische ZGB auf eine generelle Vorschrift und begn?gt sich mit konkreten Einzelbestimmungen. Im koreanischen Recht wird die Leibesfrucht wie die Regelungen in letzteren F?llen fast gleich behandelt. Ebenfalls geht das KBGB davon aus, dass Erbe grunds?tzlich nur werden kann, wer zur Zeit des Erbfalls lebt(so genannte Koexistenzprinzip). Allerdings regelt das BGB, dass die zum Zeitpunkt des Erbfalls geborene Leibesfrucht erbf?hig ist. Es bringt mit der folgenden Fassung zum Ausdruck: ’Das Kind, das noch nicht geboren ist, aber bereits gezeugt war, gilt f?r die Erbfolge als geboren." (§ 1000 Abs. 3 KBGB). Sie fingiert f?r die Leibesfrucht eine Vorverlegung der Geburt. Diese Vorwirkung der Rechtsf?higkeit setzt voraus, dass die Leibesfrucht im Zeitpunkt des Erbfalls erzeugt war und sp?ter zur Welt kommt. Umstritten ist, ob eine lebende Geburt des Kindes eine aufl?sende oder aufschiebende Bedingung ist. Nach der Rechtsprechung beruft die Leibesfrucht sich mit der R?ckwirkung auf den Zeitpunkt des Erbfalles, die Rechtsprechung nimmt also eine aufschiebende Bedingung mit r?ckwirkender Kraft ein. Darum kann eine Mutter ihre Leibesfrucht nicht vertreten. Meines Erachtens ist eine Neuregelung ?ber ein Pfleger f?r die Leibesfrucht erforderlich, da die k?nftige Rechte des Erzeugten in der Tat nicht wahrgenommen werden kann. Die Rechtsstellung des ungeborenen Kindes ist leider in der Schwebezeit zwischen Erbfall und Geburt ungesichert. In neuerer Zeit stellt sich durch die Entwicklung moderner Fortpflanzungsmedizin die Frage, ob das sp?ter lebend geborene Kind bei der k?nstlichen Befruchtung als erbf?hig anzusehen ist. Welche Bedeutung hat der nasciturus eigentli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