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고상현 ( Sang Hyung K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고려시대 수륙재에 대한 연구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필자는 시론적인 성격으로 고려시대의 수륙재에 대한 단편 기사를 통해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유포, 수륙재의 설행 형태와 목적,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 건립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수륙의례집의 간행과 관련한 직접적인 기사(記事)는 『고려사』 선종7년조에 최사겸이 송나라에서 구해 온 수륙의문과 이제현이 쓴 혼구의 비명(碑銘)에 『신편수륙의문』 2권을 스님이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조선시대에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현존하는 수륙의례집인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천지명양수륙잡문』 등에 고려 죽암공이 편찬하거나 또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발문이 전하는 의례집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고려시대에도 여러 의례집이 수차례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도 이어져서 간행되었음을 쌍봉사에서 간행된 『천지명양수륙재의 찬요』의 이제현의 발문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었다. 수륙재의 설행 목적으로는 첫째는 혜거 국사가 하산소로서 갈양사를 중창시 설행한 낙성고불식이며, 둘째는 진정국사가 백련사, 만연정사, 조계사에서 설행한 것으로 적멸의 근원인 불덕(佛德)을 깨닫도록 하였으며, 셋째는 치병(治病)을 위한 수륙재이며, 넷째는 액을 없애는 해액수륙재(解厄水陸齋)이다. 다섯째는 추선(追善)의 재의로, 공민왕이 죽은 승의공주를 위해 국행수륙재를 설행하는 등 현전하는 기록으로 가장 많은 횟수가 설행된 예이다. 여섯째로는 수륙재와 유사한 무차 대회로 개설된 공신들을 위한 공신재이다. 일곱째로 광종이 설행한 무차수륙회로 죄업(罪業)을 소멸(消滅)하고자 한 것이다. 수륙재와 관련한 도량이나 당우는 혜거국사의 하산소로서 갈양사에 수륙도량을 개설한(971) 것과 선종 6년(1089)에 보제사에서 수륙당을 건립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조선 건국 직후에 국행수륙도량으로 진관사에 수륙사를 조성한 것이나 조선후기에 간행된 『무위사사적(無爲寺事蹟)』, 『대둔사지(大芚寺誌)』등에 수륙사, 수륙전 등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여러 형태로 수륙재 관련 도량이나 당우(전각)가 계속 건립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datas, the Study of Koryeo Dynasty Suryukjae(Buddhist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 Shuiluzhai) can not be achieved fully. Hereupon, I aim to study about the publication and circulation of rituals of Suryukjae, the forms and purpose of doing Suryukjae and the building type of temple for Suryukjae through the paragraphics which were written in the days of Koryeo Dynasty. First of all,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are directly to the publication of Suryuk ritual ceremony. 1st is Suryuk ritual sentences. Choi Sa - Geum had brought this articles from the Song(宋) country at Sun - Jong 7 accroding to 『Koryeo - sa』(高麗史). The second is 『A new edition Suryuk ritual sentences』(新編水陸儀文) volume 2 which is written by monk Hon-gu. Lee Je - Hyun wrote an inscription for monk Hon - Gu. The third is 『Chunji myungyang suryuk jaeui chanyo』(天地溟陽水陸齋儀纂要) and 『Chunji myungyang suryuk jabmun』(天地溟陽水陸雜文) etc. Some articles were published in Joseun Dynasty and remains until now. And others were written by monk Jukam in Koryeo Dynasty and were remained only the part of epilogue. Although direct articles are not remained today, but judging from the records in the days of Koryeo, we can find that various rituals were published several times. It has continued until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is fact from Lee Jae Hyun`s epilogue of 『Chunji myungyang suryuk chaeui chanyo』 which is edited by Ssangbong temple. That book is in Yong Nam University`s library. Next, I try to find the purpose of doing Suryukjae. First, Suryukjae is for the meritorious retainer at the founding of Koryeo dynasty. Second, Suryukjae is for attaining enlightment for Buddha, that is Nirvana, We can find this from 『Hosanrok』(湖山錄)and 「Suryukjaeso」written by Jin-Jung national affairs(眞靜國師). Third, Suryukjae is for Cheondo(薦度, The Buddhist ritual or service to help). The largest number of records about Suryukjae is for Cheondo. Fourth, it is for the Healing. Fifth, it is for removing the bad luck by Haeaeksuryukjae(解厄水陸齋). Sixth, it is for expiation of the sin. Seventh, it has been used to pacify the people and unify them spiritually and politically through buddhism which was spread among the people at that time. Likewise Suryukjae has been done in a various purposes but among them Suryukjae for the Cheondo was recorded the largest number. The first structure associated with Suryukjae was built Suryuk house(水陸堂) in Bojesa at Sunjong sixth 1089 year, Suryuk house where builds in Bojesa. There are some records for Suryukjae in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They are 「Jinkwansa Suryuksa Josunggi」(The record which creates) on 『Collections of Yang - chon』(陽村集) which is written by Kwon Keun and 『Muwisasajeok』(無爲寺事蹟), 『Deadunsaji』(大芚寺誌) in the lat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e record of Suryuksa(水陸社) or Suryukjeon(水陸殿) from those books. As above,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various type of buliding temple for Suryukjae.

      • KCI등재

        승가교육의 질적 전환을 위한 제언

        고상현(Sang Hyun Ko),오형만(Hyung Man Oh)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6

        스마트시대로 진입하면서 수직적이고 이기적 관계는 수평적이고 이타적 관계로 변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에는 ICT의 발달에 따른 기기도 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교육방법의 다변화를 촉진하였다. 전통적인 교육에서 ICT활용교육으로, 그리고 e-러닝, m-러닝, u-러닝을 거쳐 스마트러닝으로 발전하였다. 승가교육은 청정한 수행자로서 지혜를 전하는 지도자라는 승가상을 갖춘 승려의 양성과 승가 공동체의 일원을 양성하는 데 있다. 이것을 위한 현대의 승가교육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기는 해방이후부터 1994년까지로 근대기의 연속선상에 있었으며, 일제시기 유학파의 환속 등으로 승가내에서의 교학적인 분위기는 오히려 퇴보하였다. 94년 개혁으로 시작된 2기는 1995년부터 2009년까지로 승가교육의 체계를 기초교육-기본교육-전문(특수)교육-재교육(연수교육)으로 정착한 시기이다. 하지만 교육내용면에서는 큰 변화를 이루지 못하였다. 3기는 2010년부터 현재진행형으로, 승가교육의 전면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그 내용으로는 행자교육의 안착화, 기본교육의 표준교육과정으로 교과목 전면 개정, 연수교육으로 승려의 평생교육 제도 재정비를 들 수 있다. 교육방법에서도 청암사승가대학과 율학승가대학원에서의 스마트캠퍼스 개설, 교육원에서의 이러닝(엠러닝)의 개설 등 이전시기에는 전혀 볼 수 없었던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변화에도 승가교육의 현장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학습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출가자는 다양한 학력, 연령, 국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 개개인에게 맞는 스마트교육이 필요하다. 일반사회교육에서는 이미 교수자에서 학습자로 교육의 중심이 이동하면서 스마트한 방법이나 기기를 활용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맞춤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승가교육도 승가공동체를 중시하면서도 출가자 개인의 역량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랬을 때 승가공동체도 진일보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승가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식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며, 학인들의 교육을 최우선하는 사고가 필요하다. 또한 승가교육방법도 전통적인 논강을 되살리면서 학인들에게 맞는 맞춤형 학습과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승가교육에서 ICT 발달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 수용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승가교육자료공개센터(가칭)>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교육을 위한 승가교육의 틀을 바꿀 수 있는 방안 연구와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들이 더욱 경주되어야 한다. As our country moves into the Smart Era, vertical and selfish relationships are changing into horizontal and altruistic ones. To this change, electronic equipment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a certain degree. This change stimulated the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 methods: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 to the education utilizing ICT, and through electronic learning (e-learning), mobile learning (m-learning) and ubiquitous learning (u-learning) to Smart learning (s-learning). The Education for Buddhist monks consists in cultivating Buddhist monks who are equipped with self-image such as a leader who, as a pure and clean practitioner, transmits wisdom; and in fostering a member of Buddhist community. We could say that for this purpose there have been some endeavors throughout largely three perio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for them. The first period was between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1945) and the year of 1994. This period was fundamentally an extension of the modern period, and the academic atmosphere inside Korean Buddhist clergy rather regressed because of some factors including the exclaustration of those who had studied in Japan during Japanese colonialism. The second period starting from 94``s reform is between 1995 and 2009, when the system of the education is settled in the way of education for beginners ― basic education ― professional (special) education ― reeducation (training course). At this time, however, there were not big changes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contents. The third period began in 2010 and is now in progress, when there were radical changeovers in the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for haengja (novice monks), an overall change of the basic eduction into a standard educational course, the reorganization of Buddhist monks`` lifelong eduction system with training course, and so forth. As regards instruction methods, a new Smart education system, which could never be observed in the past, was introduced; for example, Smart campuses in Chungamsa Sangha university and Yulhak Sangha graduate school opened, and the Bureau of Monastic Training of the Jogye Order is offering e-learning (m-learning). In spite of these changes, the educational arena for Buddhist monks still feature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Renunciant monks have various academic background, age, and nationality. Therefore, a Smart education suitable for each of them is needed. For this, before anything else, there should be change in understanding for the invigoration of the education, and student monks should be the number one priority. Besides, as for the teaching methods, such traditional way to study as non-gang (論講, discussing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recovered; a more customized learning for each of the student monks and a more active, creational learning should be achieved; and utilizing Smart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CT should be accepted affirmatively. And finally, (tentatively named) Sangha (Buddhist Community) Open Educational Resources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ly, plan researches, with which the framework of sangha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Smart education can be changed, should be conducted; and the efforts to reflect this change in the policy should be made more and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