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심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고찰

        강준호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The recent final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with regards to the long-debated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have confirmed, as political rights, that a person’s conviction or judgment about the rightness or wrongness of an action should be respected under the name of ‘freedom of conscience.’ In spite of these decisions, which may confer political approbation to i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seems to still be wide-open to a variety of criticisms of its morality. These criticisms are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two phenomena: (1)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including some philosophers, often use the terms ‘conscientious’ and ‘moral’ interchangeably in their everyday language; and further (2) they seem to believe that the political approbation of an action should be based on the moral approbation for it in any degree. In this paper, with regards to the first phenomenon, I shall examine several chief contrasting aspects which constitute the meanings of ‘conscientious’ and ‘moral’ in our ordinary conceptions of them. Despite these contrasting aspects, I shall assert through this examination that the meaningful usage of ‘conscientious’ cannot be totally indifferent to the meaning of ‘moral,’ and that the grounds to respect any person’s conscientious conviction or action consist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that conviction or action accorded with some certain moral criteria in any degree. For a certain judgment or action to be called ‘conscientious’, thus I shall suggest, it should fulfill the following conditions of (1) factual consideration, (2) imaginary reflection, and (3) coherent judgment. What I wish to establish through this examination, simply put, is that many qualifications are involved in the proper use of the expression ‘conscientious.’ 최근 논란이 되었던 양심적 병역거부와 관련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결은 헌법상의 ‘양심의 자유’라는 명목으로 개인은 어떤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자신의 신념이나 판단을 존중받을 정치적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결과 무관하게 양심적 병역거부는 그것이 도덕성에 대한 비판에 열려있다. 이러한 비판에는 다음 두 가지 현상, (1) 사람들은 흔히 ‘양심적’과 ‘도덕적’을 유의어처럼 혼용한다는 현상과 (2) 어떤 행동에 대한 정치적 승인은 그것에 대한 도덕적 승인에 기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결부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첫 번째 현상, ‘양심적’과 ‘도덕적’을 유의어처럼 혼용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우리의 일반적 관념에서 ‘양심적’의 의미와 ‘도덕적’의 의미를 구성하는 주요 대조적 양상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조적 양상들에도 불구하고, 나는 ‘양심적’이라는 표현의 유의미한 사용은 ‘도덕적’이라는 표현의 의미와 무관할 수 없으며, 누군가의 양심적 판단이나 행동이 존중받을 근거는 그 신념이나 행동의 본질적 부분이 어느 정도로든 도덕적 기준에 부합한다는 것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래서 어떤 판단이나 행동이 ‘양심적’이려면, 그 판단이나 행동은 ‘도덕적’ 판단이나 행동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 사실적 고려의 조건, (2) 상상적 반성의 조건, (3) 정합적 판단의 조건.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나는 ‘양심적’이라는 표현의 적합한 사용에는 많은 제한조건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 KCI등재

        존 스튜어트 밀의 여성주의와 공리주의

        강준호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4 철학연구 Vol.- No.69

        In The Subjection of Women and other writings and letters, J. S. Mill challenged age-old prejudices against women’s intellectual, mental, and political capacities, and argued that the advancement of women’s freedom and rights was essential to the improvement of human society and the realization of the greatest happiness. However, his statements in The Subjection of Women have been criticized for (1) their internal coherence and (2) their content limitations. In this paper, I will briefly review the main points of these criticisms and the points in the literature on which they are based, and critical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a radical interpretation of Mill’s feminism,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second criticism. I will note that the possibility of such an interpretation is deeply relied on Mill’s utilitarian way of thinking. Concluding the discussion, I will argue that since utilitarian way of thinking always operates simultaneously in the dual contexts of the ideal and the real, that is, in the context of articulating a principled cause and in the context of choosing a pragmatic strategy for realizing that cause, Mill’s feminism, which is grounded in this way of thinking, must likewise be understood in a dual context. Lastly, I will emphasize that, as a writing with a specific political purpose, The Subjection of Women embodies this dual operation of utilitarian way of thinking. 밀(J. S. Mill)은 H여성의 종속H을 비롯한 여러 저술과 서한 에서 여성의 지적/정신적/정치적 역량에 대한 유구한 편견에 맞서 여성 의 자유와 권리의 신장이 인간 사회의 향상과 최대 행복의 실현에 불 가결함을 역설했다. 그러나 H여성의 종속H에서의 그의 발언들에 대해서 는 (1) 그것들의 내적 정합성과 (2) 그것들의 내용적 한계에 대한 비판 들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 나는 이 비판들의 요점과 그 근거가 되는 문 헌상의 지점들을 살펴보고, 특히 두 번째 비판과 관련하여 밀의 여성주 의 대한 급진적 해석의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여기서 나 는 이러한 해석의 가능성이 밀의 공리주의적 사유와 깊이 연관되어 있 음에 주목할 것이다. 고찰을 종합하면서, 공리주의적 사유는 언제나 이 상과 현실이라는 이중적 맥락, 말하자면 원리적 대의를 천명하는 맥락 과 이 대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용적 전략을 선택하는 맥락에서 동시에 작동하기에, 이러한 사유에 바탕을 둔 그의 여성주의도 마찬가지로 이 중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소견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특수한 정치적 목적을 가진 저술로서 H여성의 종속H은 이러한 공리주 의적 사유의 이중적 작용을 구현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 KCI등재

        J. S. Mill의 민주주의론과 공리주의

        강준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J. S. Mill의 민주주의론과 공리주의의 관계를 고찰한다. Mill의 민주주의론의 근본 성격을 둘러싼 오늘날의 엇갈린 해석과 평가의 한 주요 원천은 그가 제시한 두 가지 핵심적 정치 원리, 즉 ‘참여’와 ‘능력’에 대한 그의 얼핏 상충하는 듯한 주장들에 있다. 한편 참여 원리의 비중을 강조하는 해석과 평가는 보통선거제와 정치참여의 교육적 효과에 관련된 주장들에 초점을 맞추어, Mill을 참여 민주주의자 내지는 평등주의자로 그린다. 다른 한편 능력 원리의 비중을 강조하는 해석과 평가는 노동계급에 의한 계급입법의 위험성에 대한 그의 깊은 우려와 복수투표제와 같은 능력주의적 제안에 주목하면서, 그를 엘리트주의자로 그린다. 나는 이러한 양극단의 해석과 평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해석과 평가가 격돌하는 쟁점인 복수투표제에 대한 엇갈린 견해들을 역시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로, 우선 Mill의 민주주의론에서 참여 원리와 능력 원리는 상보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더 중요하게, 두 원리의 작용은 궁극적으로 공공선 혹은 공익의 지향과 실현으로 수렴된다는 관찰을 통해, 그것들을 융합하는 이상적 원리는 바로 공리주의 원리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J. S. Mill’s democratic theory and utilitarianism. One of the chief sources of today’s discordant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abou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his democratic theory lies in his apparently conflicting assertions on the two central political principles, that is, ‘participation’ and ‘competence’. Some scholars who wish to emphasize the gravity of the former principle, on the one hand, attempt to depict Mill as a passionate supporter of participatory democracy or an egalitarian, typically paying attention to his mentions concerning the universal suffrage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political participation. Other scholars who want to stress the crucial role of the competence principle, on the other hand, try to define him as an elitist, focusing on his dread fear of the danger of the class legislation by the working classes and his meritocratic suggestions like the system of plural voting. In this paper, I will briefly examine these polarized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and also the varying opinions on that system of plural voting on which many scholars collide violently with one another. Through this examination, I will argue that the principles of participation and competence should be complementary in their actual operation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ideal principle connecting and merging them is the principle of utilitarianism,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 that their operations ultimately converge on the pursuit and realization of common good or public interest.

      • KCI등재후보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대한 인식 연구

        강준호,남윤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at recogni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approach to general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From 12 cities & provinces, the subjects were selected, who were 2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overall high recognized that about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by disabled student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cognized disabilities types which are possible to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were in order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visual impairment, health impairments, emotional & behavior disorder, communication disorders, mental retardation, autism, and developmental delay.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cognized mathematics areas which are possible to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were in order of numbers, figures, calculation, measurements. Fourth, the best approaching method to general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implemented general curriculum, it was adapted that concrete operating activities, instructional modification. Las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of approach to general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이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수학과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초등학교에 설치된 4,818개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 중 층화추출법으로 추출한 39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214부(53.7%)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첫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수학과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전체 평균점수가 5점 만점에 4.02점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과 일반교육과정 접근이 가능한 장애 영역은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습장애, 시각장애, 건강장애, 정서․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정신지체, 자폐성장애, 발달지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교육과정 접근이 가능한 수학과 영역은 수, 도형, 연산, 측정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교육과정 접근 방법으로는 교수적 수정, 구체적 조작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들의 수학과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간접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준호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9 No.-

        자기 모순적이며 반직관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행위 혹은 직접 공리주의의 대안으로 제안된 간접 공리주의는 직관적 도덕 원칙들과 실질적 기본권들을 공리주의적 도덕론 속에서 설명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간접 공리주의의 유연성은 그것의 공리주의적 정체성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버나드 윌리엄스는 이러한 의혹을 제기한 대표적인 인물로서, “공리주의의 정신”을 대변하는 것은 직접 공리주의라고 천명하는 동시에, 본질적으로 “총합적 평가의 체계”라는 점에서 직접/간접 공리주의의 구분은 모호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윌리엄스의 지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간접 공리주의가 일반적으로 취하는 도덕적 사고의 두 단계에 ― ‘비판적’ 단계와 ‘실천적’ 단계에 ― 대한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공리의 원칙은 실천적 의사결정의 절차가 아니라 옳음의 기준 혹은 “배경적 원리”(background rationale)로서만 작동한다. 따라서 공리의 원칙의 역할을 이렇게 배경적 원리로 국한하는 간접 공리주의는 공리주의를 다분히 비교적(esoteric) 도덕론으로 전락시킨다. 이 점에서 필자는 롤즈의 “공지성 조건”(publicity condition) 개념을 끌어들여, 이런 비교적 도덕론은 결코 공리주의의 진정한 모습일 수 없으며, 사회의 공공 도덕의 기초로서 다른 도덕론들과 경합할 자격을 상실하게 되리라고 지적할 것이다. 이것은 결코 사소한 손실이 아니며, 간접 공리주의가 취한 전략은 공리주의 전체에게 유리한 선택이 아니다. Indirect utilitarianism, propos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act or direct utilitarianism which has long been criticized as being self-defeating and counterintuitive, is often taken to have enough flexibility to incorporate intuitive moral principles and substantive human rights into a utilitarian moral theory. This flexibility of indirect utilitarianism, however, has provoked much doubt regarding its identity as a kind of utilitarianism. A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raised this doubt, Bernard William declares that it is direct utilitarianism that speaks for "the spirit of utilitarianism," and points out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direct and indirect utilitarianism is not so clear in the sense that both are supposed to be "the systems of total assessment." In this paper, accommodating partly what Bernard Williams points out, I shall critically examine that hypothesis of the two stages ― 'critical' and 'practical' stages ― of moral thinking which indirect utilitarianism typically admits.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the principle of utility operates not as a practical decision-making procedure but only as a criterion of rightness or, as I shall call it, "background rationale." Confining the role of the principle of utility to this background rationale, indirect utilitarianism seems to degrade utilitarianism as an 'esoteric' morality. Here with John Rawl's concept of "publicity condition," I shall claim that a truly utilitarian theory cannot be an esoteric morality and, if it is, it will lose its qualification to be a competing public moral basis of society. This is not at all a trivial loss and thus, as I shall conclude, indirect utilitarian strategy is not in the best interest of utilitarianism per se.

      • 고전 공리주의에서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강준호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0 후마니타스 포럼 Vol.6 No.2

        One of the most crucial topics in settling educational goals and designing educational courses is to discover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Of this topic, the two representative English utilitarian theorists, Jeremy Bentham and John Stuart Mill presented extremely opposite views. In his work Chrestomathia which were purported to suggest a curriculum for grammar schools, the former insisted the exclusion of almost all studies of humanities and pla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courses all over the curriculum. On the contrary, the latter claimed to rule out vocation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emphasized liberal education centered on humanities. In this paper, I will attempt to present that their different views on the educational topic rely on their different notions of human happiness and those different aspects of human beings to which they paid attention, and then to find out the implication of their views upon the today’s problem of how to integrate and balance vocational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학교 교육에서 교육목적 설정과 교육과정 설계에서 중요한 논제 중 하나는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논제와 관련하여 영국의 두 대표적인 공리주의 이론가 벤담과 밀은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견해를 제시한다. 전자는 중등학교를 위한 교육과정 제안에서 고전어를 비롯한 거의 모든 인문학 연구를 배제하고 산업혁명의 요구에 부응하는 과학기술교육을 전면에 배치한다. 이에 반하여 후자는 대학교육에서 직업교육을 철저히 배제할 것을 주장하고 인문학 중심의 교양교육을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교육 문제에 관한 그들의 이견이 인간 행복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과 그들이 주목한 인간의 서로 다른 단면들에서 나옴을 밝히고, 양자의 견해가 오늘날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사이의 융합과 균형의 발견에 대하여 가지는 함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8 공리주의의 복리(well-being)개념

        강준호 철학연구회 2006 哲學硏究 Vol.0 No.72

        욕망설에 대한 센의 반대는 비록 한 개인의 복리를 숙고함에 있어서 욕망들은 상당한 중요성을 가지지만, 그 중요성은 기본적으로 증거적인 역할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 개인의 가치평가의 증거로서 그의 욕망들은 그의 “복리에 대한 증거로 충분히 환언될 수 없을 수도 있다.”攀 Amartya Sen 1985, p.190.攀攀 이러한 의미에서 욕망설은 복리의 표상으로서 적당하지 않다. 센은 인간선(人間善)을 ‘행위작용’ (agency)의 측면과 ‘복리’의 측면으로 구별한다. 전자는 한 개인을 책임 있는 도덕적 행위자로 규정하는 측면이다. 이 측면은 복리의 추구와는 다른 가치들, 특히 자율과 자유의 가치들로 구성된다. 그래서 센의 견해에 따르면, 복리의 측면조차도 제대로 포괄할 수 없는 욕망설이 행위작용의 측면에 속하는 가치들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은 전혀 가망이 없는 일이다. 이 구분은 롤즈의 인격들(persons)에 대한 평등한 존중과 그들의 이해관심(interests)에 대한 평등한 존중 사이의 구분과 맞물려있다.공리 개념과 행위작용 측면의 본질적 가치들 사이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는 것이 공리주의자들의 임무다. 헤어가 주장하는 것처럼, 어떤 사람에 대하여 염려하는 것은 그의 이해관심을 증진하는 것이라고 대답할 수도 있다. 만약 이것이 인격 개념을 순전히 그것의 이해관심의 측면으로 환원하는 것이라면 다소 불만족스럽게 들릴 수 있다. 그러나 헤어의 대답을 단순히 잘못이라고 결론내리기 전에, 우리는 우리의 타산적인 삶과 거기에서 자율과 자유의 위치에 대하여 생각해보아야 한다. 위에서 논한 것처럼 자율 및 자유와 공리의 연결고리를 발견하려는 기본 전략은, (1) 충분한 영역과 유연성을 지닌 광폭의 욕망설을 수용하고; (2) 욕망과 이성 혹은 이해 사이의 예리한 구분을 거부함으로써 욕망을 가치의 한 근거로 생각하고; (3) 자유와 자율을 우리의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욕망들의 구조들, 즉 우리의 삶의 계획들에 관여하는 것으로서 보여주는 것이다.攀James Griffin 1986, pp.38-39에서 그리핀은 이러한 설명이 여전히 공리주의적인가에 대하여 답하고 있다. 여기서 그는 욕망설은 고전적 공리주의의 자연스러운 전개라고 주장한다. 攀攀 이 전략의 한 결과는, 복리 개념을 확장하여 적어도 타산적 가치의 영역에서는 센이 주장하는 행위작용 측면과 복리 측면의 구분을 불분명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물론, 이는 어떻게 이 광폭의 욕망설이 도덕적 혹은 정치적 이론에 적합한, 복리에 관한 공리주의적 설명일 수 있는지에 대한 어려운 물음을 남긴다.

      • KCI등재

        시즈위크의 상식도덕 개념에 대한 고찰

        강준호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4 No.-

        이 글은 시즈위크(Henry Sidgwick)의 『윤리학의 방법』(The Methods of Ethics)에서 상식도덕(common sense morality) 개념이 점하는 위치와 그의 공리주의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다. 흔히 그의 상식도덕 개념은 이 저서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윤리학적 방법론들 가운데서 “독단적 직관주의”(dogmatic intuitionism)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며, 궁극적으로 공리주의의 선택을 통하여 극복되어야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왔다. 이러한 해석은 다시 『윤리학의 방법』에서 시즈위크의 근본적인 의도는 공리주의의 우월성을 확립하는 것이라는 견해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그의 진정한 의도에 대한 오해이며, 나아가서 『윤리학의 방법』의 전체적인 기획에 대한 무익한 편견을 낳는다. 또한 시즈위크의 상식도덕 개념을 “독단적 직관주의”와 동일시하려는 지배적인 경향은, 그 개념이 이 저서에서 점하는 중심적인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 글에서 나는 시즈위크의 상식도덕 개념은 하나의 독립된 방법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도덕적 추론의 대상이 되는 내용 전체를 가리키며, 『윤리학의 방법』을 관통하는 주제이며, 공리주의의 원칙과 방법은 그 내용에 질서와 화합을 가져올 수 있는 하나의 합리적인 이상으로서 제안되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In this essay, I examine the place which the concept of common sense morality occupies in Henry Sidgwick's Methods of Ethics, and its relation to his utilitarianism. Typically his concept of common sense morality is identified with "dogmatic intuitionism" among those ethical methodologie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this work, and also is taken to be something that should be overcome by adopting the utilitarian method and principles. This interpretation is in turn based on the view that Sidgwick's fundamental aim is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of utilitarianism over any other methods of ethics. However, I shall argue that this view is a misapprehension of his true aim in his Methods of Ethics, and further that it begets futile prejudice against his overall scheme in this work. The dominant tendency to the identification of his concept of common-sense morality with dogmatic intuitionism prevents us from properly understanding the centrality of this concept in The Methods of Ethics. In this essay, I shall claim that this concept does not just indicate an independent method of ethics but the whole content or substance of our moral reasoning, that it is the subject-matter that penetrates The Methods of Ethics, and that the utilitarian method and principles are suggested as a rational ideal which can bring order and harmony into that content.

      • KCI등재

        벤담의 경제이론과 평등 개념에 대한 고찰

        강준호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3 No.2

        There have been opposing views about the economic theory of Jeremy Bentham, who handed down a considerable amount of writings in the field of economics. More than a few scholars, on the one hand, characterized his economic theory as ‘laissez-faire,’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he clearly shared some essential theses with such classical economists as A. Smith, D. Richardo, T. R. Malthus. In the relatively recent research, o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have asserted that his economic theory may be considered quite contrary to laissez-faire, that is, a little closer to a theory of statism. With regards to the coexistence of these opposing views, some other scholar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at, while his economic theory in early years may be legitimately categorized as a theory of laissez-faire, it gradually partook of the nature of statism in the latter part of his career. In this paper, as an attempt to hopefully provide some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jostling aspects of Bentham’s economic theory, I shall first investigate the textual evidences of each of those characterizations of it.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shall then attempt to work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theory of economics and utilitarianism, that is, how those characterizations of his economic theory can be explained by the utilitarian principle, i.e.,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The illumination of this relationship offers the basis for a fairer estimation of his concept of equality appeared in his various economic writings. Upon this basis, I shall claim that, although he approved neither ‘absolute’ equality nor equality as an intrinsic value or ideal, his own concept of ‘practicable’ equality comprised many goals which even today seem attractive. 경제학 분야에 대해서도 상당량의 저술을 남긴 벤담의 경제이론에 대하여 상반된 견해들이 공존한다. 한편으로 고전 경제학자들의 핵심 명제를 공유한다는 관찰에 기초하여, 적잖은 학자들은 그의 경제이론을 ‘자유방임주의’로 규정했다. 다른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최근의 연구에서 일부 학자들은 그의 경제이론이 자유방임주의와 정반대, 말하자면 국가통제주의라는 성격을 강하게 띤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상반된 견해들의 공존과 관련하여, 다시 일부 학자들은 그의 경제이론이 초기에는 전자에서 후기(1800년대)에는 후자로 이행했다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벤담의 경제이론의 혼잡한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으려는 시도로, 우선 그것에 대한 자유방임주의라는 성격 규정과 국가통제주의라는 성격 규정 각각의 문헌적 근거를 탐색한다. 이 탐색을 통하여, 그의 경제이론과 공리주의 사이의 관계, 다시 말해서 그의 경제이론에 대한 양자의 성격 규정이 최대 행복 원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를 밝혀볼 것이다. 이러한 관계의 조명은 그가 자신의 경제학적 저술에서 제시한 ‘평등’ 개념을 더 공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해의 토대로부터, 비록 그는 ‘절대적’(absolute) 평등이나 내재적 가치 혹은 이념으로서의 평등은 인정하지 않지만, 그 자신의 ‘실행 가능한’(practicable) 평등 개념은 오늘날에도 상당히 설득력 있는 목표들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