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풍류문화에 입각한 대학 예술교양교육 발전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락으로 만나는 세상’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준영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2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and orientation of liberal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have been ongoing. However, most of these discussions have been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eory since modern times. In this study, I tried to link our traditional culture "Pungnyu" with liberal art education in university, and analyzed the case of the ‘The World We Meet with Traditional Music’ class at Humanitas College of Kyung Hee University in that wa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asks of three semester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o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interpreting them in connection with the "Pungnyu Culture", suggest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find the essence of art and recreate it in their own way rather than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in liberal art education,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professors to lead this process is essential. Second, liberal art education in universuty should not be about nurturing high-end appreciators or cultured people, but it should reach the level of fostering world citizens, "Pungnyu Human", who can reason and solve all problem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rough art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and integrate with each other, such as a group of art subjects, such as a variety of art genres. Fourth, the previous relative evaluation method is inconsistent with what the arts are aiming for, requiring a shift to P/F evaluation or absolute evaluation. Fifth, the "Pungnyu Culture", which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the arts and looks back on itself, shows a desirable combination of life and art. In order to restore the "Pungnyu Culture",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compulsory required completion of the liberal art education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대학 예술교양교육의 필요성과 지향에 관한 논의는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논의들은 근대 이후 서구의 철학과 교육론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우리 전통의 ‘풍류문화’와 대학 예술교양교육을 연결해보려 했고, 그 방법으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우리가락으로 만나는 세상’ 수업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2020년 2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3개 학기 수업의 과제를 분석하고 이를 풍류문화와 연결해서 해석해 본 결과를 대학 예술교양교육 발전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대학 예술교양교육에서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보다는 학생 스스로 예술의 본질을 찾아내고 이를 본인의 언어로 재창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을 이끌어 나갈 교수자의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대학 예술교양교육은 고급 감상자나 교양인을 길러내는 수준이어서는 안되고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문제들을 예술의 방법으로 사유하고 풀어나갈 수 있는 세계시민, 즉 ‘풍류인간’의 양성에 도달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예술장르의 교류가 일어나는 풍류회와 같이 예술교과 간 묶음과목의 구성 등 교류와 통합이 필요하다. 넷째, 평가 방식에 있어 종전의 상대평가 방식은 예술이 지향하는 바와 모순되는 지점이 있으므로 P/F방식의 평가나 절대평가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다섯째, 풍류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본인을 돌아보는 ‘풍류문화’는 삶과 예술의 바람직한 결합을 보여준다. 풍류문화의 회복을 위해 대학 예술교양교과의 필수 이수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부족한 점과 거친 결론이 대학 예술교양교육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 내는 마중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삶과 예술의 실천적 융합을 위한 예술교양교육

        김예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2

        Liberal education is based on humanism, which posits that human beings as free think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 world around them in order to act and live independently. Based on this idea, liberal arts education aims to have learners explore their own inner value, understand others, and empathize and communicate through art in the community. It is essential for liberal arts education to help learners develop the attitude to think critically and embrace their lives in relation to art, rather than perceiving it as a transfer of knowledge. In terms of art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aims for the practical convergence of life and art, museums are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that specialize in providing local communities with a variety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are considered important resources. In particular, today's museums are being transformed into new museology based spaces that pursue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yond the existing elite attitude, which centers on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artwork. Furthermore, the new museology based art museums that welcome visitors as active subjects of experience share the same vision with liberal arts courses offered at universities where students are respected as active subjects;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between art museums and universitie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such a convergenc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how contemporary art classes in universities can provide practical art experiences in life by connecting with art museums. In this regard, the meaning of ‘relevance’ for practical art was explored, and the responses of students taking the <Contemporary Art Roundtable> class at Humanitas College, Kyung Hee University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changed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art. This revealed that connecting art museums with 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acticing art in life.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linking art and liberal arts education with art museums as a new way to integrate humanistic and liberal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교양교육은 자유롭게 사고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행동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 예술 교양교육은 예술을 통해 자신의 내면의 가치를 탐색하고 타인을 이해하며 공동체 안에서 예술을 통한 공감과 소통을 이루는 데 목표를 둔다. 예술 교양교육은 예술에 대한 지식 전수가 아니라 학습자가 예술을 자신의 삶과 연관하여 사유하고 적용하는 태도를 기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삶과 예술의 실천적 융합을 위한 예술 교양교육에서 문화예술 향유의 중점 기관이자 다양한 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전문 기관, 그리고 지역 사회를 위해 열려있는 기관인 미술관은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특히 현대의 미술관은 작품 소장과 전시가 중심이 되는 기존의 엘리트적 태도를 벗어나 비물절적 문화유산의 가치를 추구하는 신박물관학을 기반으로 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나아가 능동적 행위의 주체로 관람객을 맞이하는 미술관은 대학 예술 교양교육이 학습자를 주체적 존재로 존중하는 자세와 같은 방향성을 지니며 이는 곧 미술관과 대학 예술 교양교육의 융합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현대미술을 콘텐츠로 한 대학 교양수업과 미술관을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실천적 예술을 위한 ‘연관성’의 의미를 탐색하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의 <현대미술 라운드테이블>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예술에 대한 학습자들의 변화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미술관 현장과 연계된 대학 교양수업이 삶 속의 예술을 실천하는데 긍정적인 매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음 세대의 인문학적 교양교육을 위해 미술관과 연계된 예술 교양교육을 새로운 융합의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대학 통일교육의 인문교양교육화 : 인문융합형 평화·통일교육의 필요성 및 방향성

        조배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0 후마니타스 포럼 Vol.6 No.1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as a liberal education shares much of its core agenda, such as freedom, equality, peace, democracy, human rights, and a sustainable society, with that of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essential for democratic community members. This is because the task of overcoming division and worrying about the future unification society does not only mean th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nations, but also results in the question of how to create a community and become a citizen to live together. Furthermore, such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goes beyo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to the world civic education sector. 교양교육으로서의 평화·통일교육은 자유, 평등, 평화, 민주주의, 인권, 지속가능한 사회 등 그 핵심 아젠다를 민주공동체 구성원에게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시민성 교육의 그것과 상당 부분 공유한다. 분단을 극복하고 미래 통일사회에 대해 고민하는 과제는 단지 남북국가의 통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어떤 공동체를 창출하여 어떻게 더불어 살아갈 시민이 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러한 평화·통일교육은 민주시민교육을 넘어 세계시민교육 영역과도 연결된다. 한반도 통합의 문제는 단지 일국가적 차원이나 동아시아의 평화 같은 지역적 주제가 아니라, 세계사적인 사건이자 세계시민적 관점에서 요청되는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공시적 차원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통일한국의 창의적 인재를 성장하는 교육은 단지 민주시민교육이나 교양교육만의 과제가 아니다. 따라서 한반도의 통일이 세계평화와 지구 공동체의 공존과 공영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면서 향후 통일교육은 통일 이후 세계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능력 함양과 연동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필요성을 갖고 있다.

      • KCI등재후보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포용성과 일상성 확보를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전환

        김자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2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itiatives first gained momentum in 2005. In the earlier years,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centered around vulnerable (marginalized) communities. Later, this expanded to include the general populace. Partnerships with local government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more members of regional communities are able to benefit from arts and culture education. Despite such achievements,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still take a welfare approach in targeting vulnerable communities, and they do not reflect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ular region. As such, a transition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all Koreans"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sociocultural shifts" will be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itiatives, recent issu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order for all Koreans to benefit from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 apparatus must be designed so tha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accessible in everyday life. Moreover, a novel approach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required, one that transcends the arts and culture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 and examines and interacts with a diverse range of sociocultural agendas including generational conflict, climate change, and gender issues. 2005년 이후 본격 추진된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은 사회취약계층 및 군부대, 교정시설, 아동․노인․장애인 복지기관 중심의 지원에서 점차 청소년․청장년 등 일반국민으로 확대되었고, 지역의 추진체계(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구축을 통해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로 확장되면서 그 성과를 축적해왔다. 그러나 특정대상 중심의 복지적 관점의 정책 추진, 지역 특성이나 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넘어,‘모든 국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회문화적 변화에 조응하는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영역에서 추진해 온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 성과와 한계, 최근의 이슈, 미래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방향 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누구나 배제 없이 모든 국민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중앙주도의 취약계층 중심의 지원구조에서 지역 중심의 생활권 단위 지원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개개인의 예술적 체험에 머무는 것이 아닌, 세대갈등, 기후변화, 젠더이슈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제를 일상 생활 속 실천으로 연결해보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접근 노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뉴노멀(New Normal)의 철학과 교양교육의 미래

        조극훈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1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an enormous change in the wake of fullscale uncontact teaching made necessary by covid crisis. In these times when online-based uncontact teaching has become the new normal, there rises a need to reset the substance and method, the whole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In this study, we try to search for the philosophical basis of new directions of liberal education in the age of new normal. We offer the views of G. Agamben and M. Heidegger as the philosophical ground of new normal, especially the philosophy of "Dasein" which seeks to restore "the experience of white paper"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standardization. We propose as the new courses of liberal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general and specialized knowledge,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climate change, the stress in educa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transformation of liberal education into a new paradigm of lifelong learning. 코로나19로 인한 전면적인 비대면 강의로 대학교육이 엄청난 변화에 직면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비대면 강의가 뉴노멀로 등장하면서 교양교육 또한 내용과 방법 그리고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글에서는 철학적 배경을 통해서 뉴노멀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감벤(G. Agamben)과 하이데거(M. Heidegger)의 논의를 뉴노멀의 철학적 근거로 제시하였다. 특히 ‘백색 페이지의 경험’의 회복과 평균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현존재’의 철학에 주목하였다. 교양교육의 방안으로는 전문지식과 통합지식의융합, 환경문제와 기후변화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세계시민 교육의 강화, 교양교육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 고전 공리주의에서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강준호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0 후마니타스 포럼 Vol.6 No.2

        One of the most crucial topics in settling educational goals and designing educational courses is to discover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Of this topic, the two representative English utilitarian theorists, Jeremy Bentham and John Stuart Mill presented extremely opposite views. In his work Chrestomathia which were purported to suggest a curriculum for grammar schools, the former insisted the exclusion of almost all studies of humanities and placed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courses all over the curriculum. On the contrary, the latter claimed to rule out vocation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emphasized liberal education centered on humanities. In this paper, I will attempt to present that their different views on the educational topic rely on their different notions of human happiness and those different aspects of human beings to which they paid attention, and then to find out the implication of their views upon the today’s problem of how to integrate and balance vocational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학교 교육에서 교육목적 설정과 교육과정 설계에서 중요한 논제 중 하나는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논제와 관련하여 영국의 두 대표적인 공리주의 이론가 벤담과 밀은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견해를 제시한다. 전자는 중등학교를 위한 교육과정 제안에서 고전어를 비롯한 거의 모든 인문학 연구를 배제하고 산업혁명의 요구에 부응하는 과학기술교육을 전면에 배치한다. 이에 반하여 후자는 대학교육에서 직업교육을 철저히 배제할 것을 주장하고 인문학 중심의 교양교육을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교육 문제에 관한 그들의 이견이 인간 행복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과 그들이 주목한 인간의 서로 다른 단면들에서 나옴을 밝히고, 양자의 견해가 오늘날 직업교육과 교양교육 사이의 융합과 균형의 발견에 대하여 가지는 함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비대면 시대의 대학교육은 어디로 가야할까?

        지혜경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1

        Covid19 pandemic changed our daily life. We cannot see other people freely in person and avoid gathering with others. In this disaster, fortunately, higher education could keep teaching student with the blessing of technology such as Google class, Zoom and Cisco Webex. The online classes offer in two way: Recorded lecture and Synchronous class. After some universities acknowledged the merit of the recorded lecture, they began to merge lectures and offer well-made classes by one excellent lecturer. Is it a right direction for purpose of the university?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analyzes current online teaching during covid19 pandemic and look for the better direction of the college education. The purpose of college education is improving human intellectual and master knowledge in a certain field. Along with the change of industry, the paradigm of education and teaching contents have been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This kind of education focus on improving the learner’s ability such as communication skill,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interpersonal skill, personal responsibility, selfdirecting skill etc. Regardless online or offline class, small group discussion is good for developing those skills and fit to fulfill the purpose of higher education. 코로나 19로 우리의 일상은 모두 변하였고, 다행히도 대학교육은 기술의 혜택으로 비대면 강의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비대면 강의로의 갑작스러운 전환 속에서 일부 대학은 자본의 논리로 대형강의로 강의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이 방향이 맞는 것일까? 이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육의 본래 목적에 대해서 살펴보고, 코로나 시대로 인해 갑자기 겪게된 현재의 비대면 강의의 장단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교육, 나아가 코로나 이후 시대의 대학교육이 나아가야할 바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서양전통에서 대학은 진리탐구를 통해 인간의 지적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지식을 습득하여 사회에서 전문적 직업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왔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수자와 학습자의 수평적 관계를 강조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대학생들이 향상해야할 지적능력과 전문지식은 조금씩 달라져 왔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 대학교육은 패러다임의 전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내용만 수용한 상태로 변화를 추구해왔다. 그 과정 속에서 갑작스런 비대면 교육으로 그동안 지켜왔던 패러다임은 흔들리고, 변화가 시작되었다. 학생들을 서열화하던 평가에서 학생들의 성취도에 따른 자율적 평가가 가능해지고, 비대면 상태에서 학생들이 교수자의 권위에 주눅들지 않고 좀 더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되었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을 위해서 비대면 시대의 교육은 캠벨과 스미스가 제시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소그룹 토론 수업의 확대로 가야한다. 소그룹토론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소통의 기술,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비판적 사고, 타인에 대한 존중, 주체적 사고 등을 계발할 수 있다. 비대면교육은 지식산업사회 교육의 방향에 온라인의 방식이 가진 장점과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야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벤담의 공리주의와 빈민 교육

        강준호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2

        In the 1790s Jeremy Bentham wrote a significant amount of work on reforming the poor laws and new types of prisons based on the Panopticon design. In the latter, that is, in his writings on the Poor Law, he tries to suggest not only a way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oor, but also a way to solve the root of it. For him, the root of the poverty problem lies in the ignorance and consequent laziness of the poor, and thus the obvious solution is an education that will eliminate their ignorance. He gave their education a central role in solving the problem of poverty. However, his reform plan is not for the poor themselves, but in terms of trying to manipulate the minds of the poor through forced labor and education of the poor and the poor, who used the original panopticon design for the prison. It has been evaluated as an anti-liberal or anti-human rights proposal. However, in this paper, I will reveal that his reform proposals contain humanitarian intentions to relieve all the marginalized poor, and that the fundamental purpose of education for the poor was to promote the well-being of the poor according to his utilitarianism. 1790년대 제러미 벤담은 파놉티콘 설계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감옥과 구빈법 개혁에 관한 상당량의 저술을 남겼다. 후자, 즉 구빈법 관련 저술에서 그는 단지 빈민의 고통을 완화하는 방안만이 아니라 그것의 근원을 해소할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그에게 빈곤 문제의 근원은 빈민의 무지와 이에 따른 게으름에 있고, 따라서 자명한 해결책은 그들의 무지를 제거할 교육이다. 그는 빈곤 문제의 해결책에서 그들의 교육에 중심적 역할을 부여했다. 그러나 그의 개혁안은 원래 감옥을 위한 파놉티콘 설계를 원용한 구빈원과 빈민의 강제수용, 그리고 수용자들의 강제노동과 교육을 통한 심리조종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빈민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에 대한 통제를 수월하게 하려는 반자유주의적 혹은 반인권적 제안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나는 그의 개혁안이 소외된 모든 빈민을 구제하려는 인도주의적 의도를 담고 있으며, 빈민 교육의 근본 목적은 그의 공리주의에 따라서 빈민 자신의 행복 증진에 있었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 세계시민 교육에 있어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립 필요성

        이영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0 후마니타스 포럼 Vol.6 No.1

        Kyung Hee University Humanitas College "World and Citizen" lecture aims at global citizen education. In order to the World and Citizen's course to develop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with the intention of cultivating future talents wh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global citizens, the contents of the World Citizens, which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GCP, need to be maintain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This comparative perspective will develop students' problem-recognition skills. This article suggests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wo dimens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balance between special and universal from the Western central paradigm. Second, since World War II, the view that reflects the modern history of the Cold War needs to be reinforced.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 through comparison of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so that liberal arts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 who can respond to rapidly changing global issues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세계와 시민」강좌는 세계시민 육성을 목표로 하는 대학 교양교육의 대표적 사례이다. 「세계와 시민」 강좌가 지구시민으로서 책임을 다하는 미래 인재 양성이라는 개설 취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GCP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는 『세계시민』내용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립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이 비교 관점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인식 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두 가지 차원에서 개선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서구 중심적 패러다임으로부터 특수와 보편의 균형잡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냉전의 현대사를 반영하는 관점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급변하는 글로벌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세계시민 육성을 위한 교양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특수성과 보편성의 비교를 통해 현황과 과제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

      • 평화와 인권의 눈으로 본 제주 4·3 - 다크 투어리즘의 교육적 활용을 중심으로

        백가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0 후마니타스 포럼 Vol.6 No.1

        Dark tourism refers to visiting historic sites where tragic events have occurred and learning lessons from them. Jeju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which happened around 70 years ago in Jeju island, South Korea is an incident where the largest number of civilians were killed apart from the Korean War. Before the Special Act on Discovering the Truth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and Restoring the Victims' Honor was enacted in 2000, remembering Jeju April 3rd was a threat to life for Jeju people. State violence should not be forgotten because decades have passed since its occurrence. It is important to take a cultural approach to effectively raise awareness on this tragic history to not repeat the same mistake. Dark tourism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is.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concept of dark tourism and analyze Jeju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and human rights for educational use. 다크 투어리즘은 과거의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난 장소를 방문하고 이를 통해 교훈을 얻는 여행을 말한다. 70여 년 전 제주에서 일어난 제주 4.3은 한국 현대사에서 한국전쟁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민간인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2000년,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오랜 시간 제주 사람들에게는 4·3을 기억하는 일이 곧 삶에 대한 위협이었다. 70여 년이라는 긴 세월이 지났다는 것만으로 국가범죄가 무마되고 잊혀져서는 안 되며 재발 방지를 위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기억하고 의미를 찾아갈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하는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 일환으로 제주에서는 ‘다크투어’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이 글에서는 다크투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교육적 활용의 측면에서 평화와 인권의 시각으로 제주 4·3을 바라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