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포의 크기, 빈도수 및 상승속도

        김현태 ( Hyun Tae Kim ),송평섭 ( Pyung Seob Song ),최길수 ( Gill Soo Choi ),김상우 ( Sang Woo Kim ),조용준 ( Yong Jun Cho ),용 ( Yong Kang )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7

        직경이 0.152 m이고 높이가 2.5m인 삼상 역 유동층에서 전기저항 탐침법을 이용하여 기포특성인 기포수직길이와 상승속도 그리고 빈도수에 대해 고찰하였다. 기체와 액체 유속 그리고 유동입자의 종류가 기포크기, 기포상승속도 및 빈도수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다. 물과 여과된 압축공기를 각각 액체와 기체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유동 고체상으로는 밀도가 각각 877.3 kg/㎥, 966.6 kg/㎥인 직경이 0.004 m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입자와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하였다.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포의 크기와 빈도수는 기체유속과 액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기포의 상승속도는 기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액체유속의 증가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포의 크기와 상승속도는 같은 유동조건에서 고체밀도가 작은 폴리프로필렌 입자의 경우가 폴리에틸렌을 입자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동입자의 밀도가 큰 경우에 기포의 빈도수는 큰 값을 나타내었다. 삼상 역 유동층에서 기포의 수직길이, 상승속도 그리고 빈도수는 본 연구의 실험 범위에서 무차원군의 상관식으로 각각 나타낼 수 있었다. Bubble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rising velocity and frequenc have been investigated in a three-phase inverse fluidized bed (0.152 m ID and 2.5 m in height) by employing electric resistivity probe method. Effects of gas and liquid velocities as well as types of particles on the size, the rising velocity and the frequency of bubbles have been determined. Water and filtered compressed air have been used as the liquid and the gas pahses, respectively. 4 mm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particles, with densities of 877.3 kg/㎥ and 966.6 kg/㎥, respectively, have been used as the fluidized particl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ize and the frequency of bubb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s and liquid velocities, while the bubble rising velo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s velocity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liquid velocity in the three-phase inverse fluidized bed. The bubble size and rising velocity exhibited higher values in the bed of polypropylene particles than in the bed of polyethylene. But, the frequency of bubbles showed a higher value in the bed of polyethlene than in the bed of polypropylene. Using dimensionless groups, the size, the rising velocity and the frequency of bubbles were correlated well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 SCOPUSKCI등재

        임상연구 : 불임 환자에게 시행되는 난자 채취 시 Fentanyl과 Alfentanil을 이용한 정맥 마취의 비교

        용인 ( Yong In Kang ),방은치 ( Eun Chi Bang ),이현숙 ( Hyun Sook Lee ),조경숙 ( Kyung Sook Cho ),김수연 ( Su Yeon Kim ),설정호 ( Jung Ho Sul ),김준영 ( Jun Young Kim ),윤태기 ( Tae Gi Yoon ),석현하 ( Hyun Ha Seok ) 대한마취과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5 No.5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 of intravenous anesthesia with fentanyl or alfentanil on the hemodynamic profile, sedation, recovery and side effect in the patients undergoing oocyte retrieval. Methods: The patients were designed to receive alfentanil (group A, n=70) or fentanyl (group F, n=70) intravenous anesthesia. The patients were given midazolam 0.6 mg/kg and alfentanil 15 μg/kg in group A or fentanyl 1.5 μg/kg in group F. Propofol 0.7 mg/kg was given if patient was awaken during procedure. Hemodynamic changes, propofol used dosage and initial propofol injecting time, Ramsay Sedation Scales, cough reflex on opioid injection, recovery time, duration of apnea and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at the recovery room were recorded. Results: Group A had rapid onset, deep sedation, less amount of propofol used, more frequent apnea than group F.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nausea, vomiting and recovery tim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intravenous anesthesia with fentanyl or alfentanil are suitable for oocyte retreival but apnea happened more frequent in alfentanil group, so the use of alfentanil needs to monitor ventilation and hemodynamic changes carefully. (Korean J Anesthesiol 2008;55:543~8)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수중에서 조경식물의 TN, TP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천현진(Chun, Hyun-Jin),김태완(Kim, Tae-Wan),용(Kang Yong),김성균(Kim, Sung-Kyun)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3 No.4

        In an effort to promote rural development, Rural Amenities Project has been pursued, and numerous water bodie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rocess. In a water based environment, water degradation limits fluent usage. Water pollution derived by eutrophication is caused by nitrogen(N) and Phosphorus(P). This study is an experiment to search for T-N and T-P reduction effect caused by landscape aquatic plants for water purification, and propose database for ecosystem vegetation.

      • SCOPUSKCI등재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 병발된 방사선학적으로 발견되지 않은 동시성 원발성 폐암을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술로 치료한

        권미혜 ( Mi Hye Kwon ),미일 ( Mi Il Kang ),정지현 ( Ji Hyun Jeong ),원희관 ( Hee Kwan Won ),박현웅 ( Hyun Woong Park ),박정호 ( Jung Ho Park ),김성태 ( Sung Tae Kim ),권선중 ( Sun Jung Kwon ),최유진 ( Eu Gene Choi ),나문준 ( Moo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2

        1990년대 초부터 형광 기관지 내시경이 임상 진료에 사용되면서 방사선검사에서 나타나지 않는 상피내 폐암이나 미세하게 진행된 조기 폐암의 진단 빈도가 늘어났으며, 이러한 상피내 폐암의 과반수 이상에서 진행성 폐암으로 진행하므로, 근치적 목적의 치료가 더욱 조기에 도입될 수 있어 폐암 치료에서의 중요한 진단 도구가 되었다. 치료적 내시경술의 발달로 기존의 진행된 폐암에서 기도 폐쇄 감소 혹은 출혈 부위의 지혈 등의 완화적 목적뿐 아니라, 조기 폐암이지만 심폐 기능 등 전신 상태의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근치적 치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술의 절제 범위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술(argon plasma coagulation, APC)은 레이저와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 등에 비하여 조기 폐암 병변의 치료에서 근치적 치료 및 진행성 폐암에서의 완화요법으로서 효과면에서 동등하고, 특히 침투 범위가 얕으므로 표재성의 병변에서 탁월하며, 경제적 접근성이 용이하다. 저자들은 우측 상엽의 절제 가능한 폐암에 우측 하엽에 상피내 암이 동반된 동시성 원발성 폐암 환자를 우측상엽절제와 APC로써 치료한 증례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Tuberc Respir Dis 2008;65:137-141)

      • SCOPUSKCI등재

        혈액투석을 위한 이중도관 삽입 후 생긴 가성동맥류의 치료

        황재진 ( Jae Jin Hwang ),김완수 ( Wan Soo Kim ),전대홍 ( Dae Hong Jeon ),여진 ( Yeo Jin Kang ),박동준 ( Dong Jun Park ),장세호 ( Se Ho Chang ),신태범 ( Tae Bum Shin ),김현정 ( Hyun Jung Kim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5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cannulation of the central venous system with large-bore dual-lumen catheters is often necessary until a functioning vascular access can be created. However, the technique of placing a dual-lumen catheter can make complication. The right internal jugular vein is the preferred site of hemodialysis catheter placement because its complication rate was lower compared with the subclavian and left internal jugular veins. Common complications include severe bleeding, hematoma formation, pneumothorax and hemothorax, atrial or ventricular arrhythmias, malposition of the catheter, air embolism, secondary infections, and intraarterial placement of the catheter.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pseudoaneurysm of the superior thyroidal artery complicating an attempt of internal jugular-vein catheterization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대규모 시설지에 의한 미기후 영향 연구

        이재윤 ( Jae-yoon Lee ),기경석 ( Kyong-seok Ki ),김보현 ( Bo-hyun Kim ),나경태 ( Kyong-tae Na ),장두 ( Do-kang Jang ),이동철 ( Dong-cheol Lee ),김수빈 ( Su-bin Kim ),박하얀 ( Ha-ya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미기후는 생물들의 서식에 중요한 환경인자이다. 국내 국립공원의 경우 공원 내 각종 시설과 인간의 이용에 의해 미기후가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생물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내 고지대 대규모 시설물을 대상으로 미기후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 내 시설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무등산국립공원 내 대규모 시설지가 위치한 고지대 2곳과 대조구로서 자연지역 1곳, 그리고 국립공원과 인접한 광주광역시 북구 1곳을 선정하였다. 대규모 시설지는 군부대가 위치한 지왕봉(1155m), 통신탑이 위치한 장불재(900m)이고, 대조구는 시설지에서 북동쪽으로 직선거리 2.2㎞떨어진 고지대, 신선대(776m)와 도시지역인 광주광역시 북구지역을 선정하였다. 미기후 조사는 대상지 내 군부대시설이 입지한 지왕봉에는 데이터 로거(Testo 174h)를 설치하여 최저및 최고 온도, 평균온도, 습도를 측정하였다. 그 외 장불재, 신선대, 광주 북구 지역의 미기후 자료(온·습도, 풍속, 풍향, 시간강수량 등)는 기상청 국가기후자료센터(sts.kma.go.kr)지역별상세관측자료(AWS)를 활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1년이었다. 연구 결과, 도시 미기후는 자연 지역보다 풍속이 늦고, 온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의 경우, 자연 지역인 무등산보다 무려 연평균적으로 5.2℃ 가량 높았으며, 특히 2월, 6~7월은 온도차가 6℃ 이상 발생하였다. 대규모 시설지가 위치한 지왕봉과 장불재의 풍속과 온도는 비슷한 값과 월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고지대에 시설지가 있다는 유사한 특징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하지만 미세하게 봄과 겨울철(1~5월, 12월)은 장불재가 군부대가 있는 지왕봉보다 약 0.417℃ 정도 온도가 높고, 여름과 가을철(6~11월)은 지왕봉이 장불재보다 1.036℃ 정도 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지대 시설물이 통신탑이있는 장불재보다 군부대가 있는 지왕봉이 더 넓게 분포하고 있어 태양의 복사에너지가 강한 여름철에 발생된 미기후적차이로 보인다. 겨울철에도 역시 콘크리트 구조물과 포장의 온도(열전도율)가 주변의 온도를 더 낮게 낮추어 지왕봉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설지가 없는 대조구인 신선대의 최대풍속이 시설지보다 강하였는데 이는 실험구가 대규모 시설물에 의해 바람이 차단되어 Turbulence Wind가 형성되는 turbulence zone이 생성되어 실험구와 대조구의 온도차가 많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6, 7, 8, 9, 10월에 심했으며, 특히 여름철인 7, 8월엔 무려 5.01~5.16℃의 차이를 보였다. 여름철에 특히 더 심한 이유는 시설물과 그 주변 일대가 콘크리트 재료로 건물 복사열과 포장된 바닥의 복사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10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는 실험구와 대조구가 풍향이 동남동으로 일정한 반면에, 시설지가 있는 실험구에서는 4월부터 9월까지 풍향이 서남서, 동, 남동, 서, 서북서, 북서로 교란이 심하게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또한 구조물에 의한 turbulence zone효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무등산 정상부의 대규모 시설지가 위치한 지왕봉과 장불재는 시설지가 없는 대조구와 상당한 미기후적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사계절 중 여름철에 미기후적 교란 상태가 시설지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고지대 시설물이 미기후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향후 국립공원 내 시설지 이전에 미기후의 변화를 모의하여 계획에 반영한다면 보다 친자연적인 상태로 국립공원을 돌려놓는 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소양 ( Yangkang So ),황지영 ( Ji Young Hwang ),김현우 ( Hyun Woo Kim ),조하늘 ( Ha Neul Jo ),이태범 ( Tae-bum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3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각 추출물이 피부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많았다. HPLC를 이용한 19종 페놀성 화합물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CCE)에서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PFE)에서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가 검출되었다. 피부보습에 관련된 HAS1, HAS2, HAS3 및 AQP3와 피부장벽에 관련된 filaggrin, loricrin 발현은 PFE보다 CCE에서 높았다. 또한, CCE, PFE 모두 피부보습과 표피분화 조절에 관여하는 PPAR-α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CE의 주요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PPAR-α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장벽보호 효과에 있어서 CCE가 PFE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Cymbopogon citratus (CC) and Perilla frutescens (PF) are known to exert various biological effects. However, their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remain unclear.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their extracts on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and analysed the phenolic compounds.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skin hydration in HaCaT cells showed that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cells treated with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treated with water extracts for both CC and PF. HPLC was used to analyse 19 phenolic compounds in CC and PF ethanol extracts (CCE and PFE). Results revealed chlorogenic acid and p-coumaric acid in CCE and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in PFE. Expression levels of hyaluronan synthase 1 (HAS1), HAS2, HAS3, and aquaporin 3 (AQP3), which are related to skin moisturization, and filaggrin and loricrin, which are related to skin barrier were higher in cells treated with CCE than with PFE. CCE and PFE also increased expression of PPAR-a protein involved in skin moisturization and epidermal differenti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s major components of CCE, chlorogenic acid and p-coumaric acid increased PPAR-a protein expression. Thus, CCE and PFE could be used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for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 KCI등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

        엄태경,이재,이동호,고현규,배호경,김규중,황현수,박고은,최원일,임종환,박찬열,임신재,Eom, Tae-Kyung,Lee, Jae-Kang,Lee, Dong-Ho,Ko, Hyeongyu,Bae, Ho-Kyoung,Kim, Kyu-Jung,Hwang, Hyun-Su,Park, Go Eun,Choi, Won-Il,Lim, Jong-Hwan,Park, Chan-R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차별 관찰빈도를 지표로 하여 관찰빈도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봄과 여름, 가을의 시간별 관찰빈도를 이용하여 계절별 일일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다람쥐의 일일 행동 패턴은 지역 및 계절에 따른 차이 없이 주행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에 서식하는 다람쥐는 연중 관찰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설악산에서 18~45주차에, 지리산에서는 7~48주차에 다람쥐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동면시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에서 다람쥐는 가을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계절에 따른 다람쥐의 개체군 동태 및 활동량 변화가 무인센서카메라 관찰빈도에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센서카메라의 관찰빈도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대상종의 서식 밀도와 활동량을 구분해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방법이 쉽고 조사자에 따른 편차가 적어 효율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nual variation of observation and activity pattern of Korean chipmunk (Tamias sibiricus) using camera traps in the Seoraksan and Jirisan National Parks, South Korea from May 2019 to May 2021. The annual vari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observed frequency through weekly observations. Daily activity patterns of the species were also analyzed by season. The daily activity pattern of chipmunk appeared to be constantly diurnal across the years regardless of habitat or season. The Korean chipmunks living in the two different regions were observed in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out the year. While the chipmunks inhabiting the Seoraksan were observed from 18<sup>th</sup> to 45<sup>th</sup> week, the chipmunks inhabiting the Jirisan National Park were observed from 7<sup>th</sup> to 48<sup>th</sup> week. This may be influenced by the hibernation period of chipmunks in the two different regions. In both regions, chipmunk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autumn. It is considered that seasonal variation on population dynamic and activity patterns of chipmunks were reflected in the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observation frequency of camera trap is an indirect indicator and thus having a limitation that it cannot distinguish the population density and amount of activity for the target species, camera trapping is still an effective survey technique for monitoring mammals due to its high accessibility and easy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