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좌식배구 참여가 지체장애인들의 정신적 웰니스 및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강민채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0주간 좌식배구 참여를 통한 지체장애인들의 정신적 웰니스 및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 장애인체육회의 지원을 받아 B스포츠센터의 좌식배구교실 참여를 희망하는 지체장애인 1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결과는 SPSS 26.0을 이용하여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2-way[2] RM ANOVA)을 적용하였으며, 좌식배구 참여전과 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신적 웰니스에 있어서 지체장애인들의 좌식배구 참여는 신념과 가치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자아 성취력과 보람과 사랑의 하위요인에서 좌식배구 참여 전과 후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정서에 있어서 지체장애인들의 좌식배구 참여는 심리적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신체적 스트레스, 심리적 스트레스, 긍정적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좌식배구 참여 전과 후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tting volleyball participation for 10 weeks on the mental wellness and motor emotion of physically disabl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9 experimental group and 9 control group of 18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itting y volleyball class of Sports Center B with the support of the Sports Council for the Disabled in A Cit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2-way [2] RM ANOVA) was applied, and analysi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sitting volleyball. In summary, the results first, sitting volleyball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mental wel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beliefs and values, particularly self seongchwiryeok and rewarding and very positive before and after the sitting volleyball participation in the sub-factors of the love of effect appeared. Second, participation in sitting volleyball by the physically disabled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tress in terms of exercise emotion.

      • KCI등재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른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

        강민채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attitude of the pre-service special physical teachers towards smart education based on their completion of the education practice and provid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n universities. Subject to the study is 134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To measure attitudes toward smart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organizedwith a total of 38 questions: just attitudes, cognitive attitudes, and behavioral attitud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as calculat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o calculat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training was completed or no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of all, the overall smart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special physical teachers differed statistical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had completed the education practice. Second, the 'cognitive attitude' of pre-service special physical teachers to smart educ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y completed the training exercise,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question. Third, the overall" just attitude" of pre-service special physical teachers to smart educ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y completed the training exercise,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question. Fourth, the overall" behavioral attitude" of pre-service special physical teachers to smart educ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completed the training exercise.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른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여 대학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특수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134명이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의적 태도, 인지적 태도, 행동적 태도 총 38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준편차와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전반적인 스마트교육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전체 ‘인지적 태도’에서는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항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 특수체육 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전체 ‘정의적 태도’에서는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항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 특수체육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전체 ‘행동적 태도’는 교육실습 이수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육 담당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인식과 운영 실태

        강민채,박현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2

        164 series of surveys are analyzed to know the current status and how the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recognize about the IEP, and to present improvemen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many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IEP preparation, especially it is clearly observed from the teachers who worked for more than 5 years. It is investigated that some of prepared IEP is used in education since IEP preparation is just a formal program,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jor difficulty in planning and in execution is lack of the reference material, and more opportunities of workshops for all the teachers especially teachers of general education should be given for more effective IEP operation. 초등학교 통합교육 담당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164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조사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IEP 작성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교육경력 5년 이상인 교사 집단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작성된 IEP는 실제로 일부만이 실제 교육에 실행․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IEP 작성이 형식적으로만 행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IEP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IEP 운영위원회 구성과 IEP작성시 참고할 만한 교육자료의 부족이며, 효율적인 IEP 운영을 위해서는 모든 교사, 특히 교육경력이 많은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IEP 관련 연수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각막상피 결손을 동반한 콘택트렌즈 연관 각막염에서 아칸토아메바 중합효소연쇄반응의 진단적 유용성

        강민채,임동희,허희재,유인영,정태영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12

        Purpose: To report contact lens related Acanthamoeba keratitis with corneal epithelial defect cases which were diagnos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ase summary: A 51-year-old male visited our hospital for loss of visual acuity and ocular pain in both eyes. He had been wearing therapeutic contact lenses in both eyes for 4 days prior to his visit, and showed a corneal epithelial defect with corneal edema in both eyes. The corneal edema did not improve after treatment for bacterial and herpes keratitis, so we conducted PCR for Acanthamoeba using the aqueous fluid in the anterior chamber, which showed positive results. A 32-year-old male complained of low visual acuity and ocular pain in both eyes. He had a history of corneal erosion. He had been wearing therapeutic contact lenses in both eyes for 3 days prior to his visit for a corneal epithelial defect. We suspected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but PCR for Acanthamoeba of the corneal scraping showed positive results. A 26-year-old female visited our hospital for ocular pain, and discomfort in her left eye. Because of severe dry eye, she had been wearing therapeutic contact lenses for 6 weeks prior to her visit. Her left eye showed corneal infiltration and epithelial defects. The left cornea scraping was positive for bacteria, and PCR for Acanthamoeba also showed positive results. Conclusions: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use of PCR for the early diagnosis of Acanthamoeba keratitis in contact lens-related keratitis with corneal epithelial defects. 목적: 감별이 어려운 각막상피 결손을 동반한 콘택트렌즈 연관 가시아메바 각막염을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하여 진단한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1세 남자가 양안 시력저하,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4일 전부터 양안 각막상피 손상으로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고, 양안 각막상피 손상 및 각막부종을 보였다. 각막부종이 지속되어, 전방 천자하여 시행한 가시아메바 PCR에서 양성을 보였다. 32세 남자가 양안 통증,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양안 각막상피 손상 과거력이 있었으며, 3일 전부터 각막 손상으로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다. 양안 각막상피 손상으로 반복각막짓무름 재발을 의심하였으나, 각막찰과로 시행한 가시아메바 PCR에서 양성을 보였다. 26세 여자 환자는 좌안 통증, 불편감으로 내원하였다. 심한 안구건조증으로 6주 전부터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다. 좌안 각막세포 침윤 및 상피 손상을 보였다. 각막찰과로 시행한 검사상 세균이 배양되었으며, 동시에 가시아메바 PCR 양성을 보였다. 결론: 콘택트렌즈 연관 각막염에서 각막상피 결손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가시아메바 각막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며 PCR을 통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 KCI등재

        카카오톡(Kakao Talk)의 대화방에서 나타난 자폐성장애 성인의 표현방식과 대화방식

        강민채,김주혜,고은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loring expression and conversation shown in Kakao Talk of adults with autism.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Kakao Talk conversations composed of total 383 sentences, targeting total seven adults with aut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exploring exp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language such as intentional violation of spelling, use of emotion, and use of initial consonant were very limitedly shown, or were not observed in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use of sentence markers, most of the markers were omitted except for question mark. In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exploring conversation, the repetition of conversation, error in adjacency pair, and ‘ignoring a message after reading it’ were frequently shown, which might be reflecting the considerable part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autism. This study verified that they were limited to the text expression in the traditional method rather than delivering their emotions by utilizing the visual image of Kakao Talk.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를 가지고 있는 성인의 카카오톡 상에 나타난 표현방식과 대화방식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7명의 자폐성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총 383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카톡 대화를 수집⋅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현방식에 있어서는 통신언어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의도적인 맞춤법 위배, 이모티콘 사용 그리고 초성 사용 등과 같은 특성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거나, 대부분의 참여자의 경우 관찰되지 않았다. 문장기호의 사용에 있어서도 물음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호가 생략되었다. 대화방식에서 나타난 특성으로는 대화의 반복과 대응쌍의 오류 그리고 ‘읽씹’이 빈번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폐성장애가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성이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카톡이 가지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감정을 전달하기보다는 매우 전통적인 방식의 문자 표현에 제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의존 정도의 관계 연구

        강민채 교육종합연구원 2019 교육종합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의존 정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특수교육 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사용 척도의 하위 영역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와 사후검증 방법인 Scheffe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전공 학생들의 스마트폰 의존 정도는 일상생활장애, 내성, 금단, 가상세계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의존 척도 간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관계를 나타낸 하위변인은 일상생활장애와 금단이다. 또한 자기효능감 안에서도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 지향성, 금단에서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낮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 실험연구 분석

        강민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체활동 관련 실험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 점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2014년부터 2019년 사이에 게재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선정기준에 맞는 논문 24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신체활동 관련 연구는 해마다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사전사후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신체활동 관련 실험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초등부 학생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대상자 수는 5명 미만으로 치료 실과 특수학교에서 중재가 대부분 이루어졌다. 셋째,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신체활동 관련 실험연구의 중재특성으로는 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가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적응행동 및 문제행동 중재와 운동기능 및 체력이 많이 나타났으며 중재 회기는 21회기에서 30회기로 중재시간은 41분에서 50분이 대부분이었다. 중재결과는 분석논문 모두에서 신체활동이 자폐성장애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신체활동 관련 연구를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activit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on students with autism and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24 papers that met the criteria for selection among academic journals and degree paper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19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physical activity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found to be conducted at a similar level each year, and most of them used pre to post research methods. Second,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physical activit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had a lot of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 number of subjects of arbitration was less than five, and most of them were mediated in treatment rooms and special schools. Third, there were many pre to post designs of control groups as mediating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dependent variables showed a lot of adaptive and problem-behavior mediation, motor functions and physical strength, and the arbitration session was from 21 to 30 sessions, with 41 to 50 minutes of arbitration time. The arbitration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ll the analysis pap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iscussions were presented for research on physical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자폐아동을 위한 음악관련 연구 동향 분석

        강민채 한국발달장애학회 2015 발달장애연구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악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 후 연구를 위한 시사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자폐아동들을 위한 음악관련 연구가 시작된 1986년부터 2014년 사이에 게재된 학술지 중 선정기준에 맞는 논문 36편을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연도별 연구의 경향 을 보면 2003년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단일대상연구와 문헌연구가 대부 분이었다. 둘째, 실험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유아대상이 많았으며, 5명 미만으로 이루어진 연구들로 남자아동들이 대부분이었으며 특수학교와 치료실에서 중재가 이루어 졌다. 셋째, 실험연구의 중재특성을 보면 사전 사후 연구와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 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행동, 의사소통 순서로 나타 났다. 중재는 30회기미만으로 30분미만의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모든 논문에서 종속 변인에 향상이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아동을 위한 음악관련 연구 및 현장에서 자폐아동에게 음 악활동 중재 적용을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특수체육 전공 학생들의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강민채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tress response methods of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sports more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guiding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physical. Subject to the study is 263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 questionnaire was organized to measure personality traits and stress response.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as statistical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personality factors of special physical students and the sub-region of the strategy scale for coping with stress, and t-test, ANOVA, and the post-screening method were perform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lower domains.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personality factors of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physic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econd, the stress response methods of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physica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hird, a static correlation emerged between the personality factors of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physical and how to cope with stress. The sub-variety of correlations is the 'social pursuit'. In addition, the higher the extroversion and favorability score of the personality factor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pursuit score, and the higher the favorability score, the higher the problem-solving center score. Also, the higher the neuroticism score, the higher the avoidance-oriented score.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 전공 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특수체육을 전공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특수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63명이다.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특수체육 전공학생의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척도의 하위 영역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와 사후검증 방법인 Scheffe를 실시하였다. 또한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체육 전공 학생들의 성격요인은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특수체육 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수체육 전공 학생들의 성격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관계를 나타낸 하위변인은 ‘사회적지지 추구’이다. 또한 성격요인의 외향성 및 호감성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추구 점수가 높아지고, 호감성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 중심 점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증 점수가 높을수록 회피 중심 점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네크리스의 디자인 특성 연구 - 2013년 S/S–2015년 F/W 컬렉션을 중심으로 -

        강민채,김정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2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화되고 세분화됨에 따라 정형화된 아름다움보다는 각자의 개성과 차별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를 통해 표현되는 미적 측면이 더욱 중요해졌다. 다양한 패션 액세서리 중 네크리스는 얼굴과 의상의 가교 역할을 하며, 액세서리 자체의 의미를 넘어서 강렬한 느낌과 메시지를 불러일으키는 상징적인 역할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크리스의 조형적 특성과 이미지를 분석하여 분류기준을 재정립하고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나는 네크리스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범위는 최근 3년(2013~2015)의 S/S, F/W 패션 컬렉션으로 제한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한 5개 주요 브랜드와 최근 컬렉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액세서리 라인을 발표하고 있는 2개 브랜드의 65개 이미지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 있어서 네크리스는 패션 트렌드의 부족한 감성을 보완하고, 효과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기도 하며, 최근에 이르러 그 역할이 증대되었다. 둘째,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네크리스를 분석한 결과 네크리스는 형태, 소재의 요소와 스타일 측면에서 융합성과 확장성을 보이며, 형태, 문양의 요소에서는 의외성이 나타났다. 셋째, 네크리스는 다양한 문화와 트렌드를 공유하며 빠르게 진행되는 현대 패션의 중요한 아이템으로서, 여러 가지 디자인과 스타일링 이미지를 창출해 내며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현대 패션에서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네크리스를 분석하는 기준을 재정립하고, 현대 네크리스의 특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네크리스 디자인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 디자인을 실현하는 단계에서 디자인 발상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th diversification and segmentation of consumers’ preferences, the standard of beauty has changed from standardized beauty in the past to individuality and differences expressed through accessories. Among various fashion accessories, necklaces serve as a bridge between the face and clothes, playing a symbolic role that evokes strong feelings and messages beyond the meaning of the accessory itself.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and analyz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mage analysis of necklaces and draw the characteristics of necklaces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most recent three years’s (2013~2015) of S/S, F/W fashion collections; major brands for analysis include three brands selected by preceding studies and two brands that have continuously released accessory lines through recent collections, and 65 images were add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cklaces in modern fashion have more roles those before by supplementing insufficient sensibilities in fashion trends and expressing beauty eff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necklace analysis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they have converged and expanded in terms of form, materials and style, and showed unexpected shapes and patterns. Third, as an important item in the fast-paced modern fashion industry that shares various cultures and trends, necklaces will create different designs and styling images and develop continuously.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sets the criteria for analyzing necklaces, which have increasing roles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and draws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researching necklace designs and materials for coming up with actual de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