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당뇨인에서 당화혈색소와 안압과의 관련성

        강경오,전성흡,신경숙,손두용,유병욱,김선희,홍성호,조주연,신황식,조용진,오정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연구배경: 당뇨병을 진단받은 사람은 자율 신경계의 이상 및 유전적 요인으로 비당뇨인에 비해 평균 안압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뿐만 아니라 당뇨병 전단계에서도 당뇨병 합병증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에 저자는 일개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서의 전자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비당뇨인의 당화혈색소와 안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5년 1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6,6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심혈관질환, A, B, C형간염, 암 및 기타 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자, 검사 결과 공복혈당 126 mg/dL 이상 혹은HbA1C 6.5% 이상인 자, 양안 안압 측정이 되지 않는 자는 제외한30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화혈색소 5.7% 미만, 5.7% 이상이고6.5% 미만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안압을 남녀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보정한 후, 당화혈색소와 안압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의 경우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여성의 경우 두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비당뇨인에서 여성에서는 평균 안압과 당화혈색소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추후 다각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Diabetic patients are known to have unusually high mean intraocular pressure (IOP); attributable to autonomic dysfunction and genetic factors.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diabetic complications occur in not only diabetes but also prediabet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lycated hemoglobin A1c (HbA1c) levels and IOP in non-diabetic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Methods: We considered 16,643 individuals who visited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between November 2015 and September 2017. In total, 3,029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Exclusion criteria included a history of hypertension, diabetes,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hepatitis (A–C), cancer, other disease, fasting blood glucose of 126 mg/dL or higher, HbA1c of 6.5% or higher, and individuals whose binocular IOP could not be measured. We categorized subjects into two groups; those with HbA1c less than or equal to 5.6%, and those with HbA1c greater than 5.6% and less than 6.5%. The mean IOP of each group was compared by gender. Results: After adjusting for factors affecting IOP,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IO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bA1c groups in mal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OP between females in the the higher and lower HbA1c groups.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an IOP and HbA1c in females without diabet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with prospective and extensive data collection.

      • 서해안 지역의 세립토 지반 및 심층혼합처리 개량체의 침식성 평가

        강경오(Gyeong-o Kang),김영상(Young-sang Kim),김종규(Jong-kyu Kim)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22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rosion characteristic on foundation part (clay and sand grounds and deep cement mixing (DCM) of coastal construction in the West Coast region. For erosion evaluation tests, clay and sand samples were prepared through consolidation and compaction, in the case of DCM sample was prepared by mixing the blast furnace cement considering real condi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erosion rate and shear stress were quantified using EFA (Erosion Function Apparatus). As result, the critical velocity and critical shear stress were calculated and its erodibility was evaluated by erodibility chart.

      • KCI등재

        왕복류 흐름을 고려한 지반의 수리저항성능 실험

        김영상(Kim, Young-Sang),강경오(Gang, Gyeong-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1

        지반의 수리저항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온 세굴실험기(EFA)를 개선하여 조류의 흐름방향이 바뀌는 것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선된 세굴실험기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조성된 세립질 및 조립질 시료에 대하여 일방향 흐름과 왕복류 흐름을 고려한 수리저항성능 실험을 실시하였고 수리저항 특성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세립질 및 조립질 시료 모두에서 일방향 흐름보다 왕복류를 고려한 양방향 흐름에서 세굴률이 크게 발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굴률의 증가는 조립질 시료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전 유속에 대한 평균 세굴률을 비교한 결과 상재압력이 큰 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해저표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깊은 곳에서 양방향 흐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onventional erosion function apparatus (EFA) which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hydraulic resistance of soil was improved to consider direction change of the current flow. Using improved apparatus, hydraulic resistance capacities of the artificially composed clayey soil and sandy soil were compared. Test result shows that scour rates which were measured under the bi-directional flow were much higher than those measured under unidirectional flow for both type soils. Scour rate of sandy soil was higher than that of clayey soil. Velocity averaged scour rate of specimen which was consolidated under the relatively large consolidation pressure is higher than that of specimen which is consolidated under small consolidation pressure, which means scour problem under bidirectional flow may be more serious for the deep seabed ground.

      • KCI등재

        Airway obstruction by extrinsic tracheal compression during spinal surgery under prone position -A case report-

        최락민,윤진선,노재훈,강경오,유상욱,조삼순,정희정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9 No.-

        Tracheal compression by vascular anomalies in adults is uncommon and most related reports are of children. A 79-year-old woman without any respiratory history underwent a lumbar spine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She suddenly developed airway obstruction after a position change from supine to prone. A fiberoptic bronchoscopy showed the obstruction of endotracheal tube. The obstruction was relieved after we changed the depth of endotracheal tube and supported the patient’s neck with a cotton roll. The surgery ended without any other event and the patient recovered safely. A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the rightward tracheal deviation and tortuous innominate artery contact with trachea. The patient didn’t manifest any respiratory related symptoms during postoperative period, and she was discharged without any treatment.

      • 농업용 저수지 제체의 열화 요인에 관한 해석적 검토

        이영학 ( Younghak Lee ),이달원 ( Dalwon Lee ),김철한 ( Cheolhan Kim ),강경오 ( Gyeongo Kang ),윤석진 ( Seokjin Yoon ),홍혁기 ( Hyuckki Hong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국내 저수지중 축조된지 50년 이상 경과된 제체가 약 68% (2013)에 이르고 있으며, 최근 집중호우의 급증에 따라 노후화된 저수지 제체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체의 노후화는 제체를 구성하는 존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열화현상으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제체의 사고 및 붕괴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열화현상은 시간 의존적이나 제체내의 침투거동을 지배하는 인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Toe-drain이 설치된 저수지 제체는 인접한 필터부 재료와는 입경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유속변화로 인한 침식 또는 성토재의 혼입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필터의 투수계수가 지나치게 크거나 필터의 설계간격이 적정성을 가지지 못하는 조건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필터의 기능을 감소시키고 제체의 노후화를 앞당기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체내의 열화현상을 지배하는 인자로서 필터의 투수계수 및 설계간격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침투해석 (Toe-drain에 인접한 필터부의 유속, 동수경사, 제체내의 침투수량)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필터가 제장면 전체에 설치된 조건에서의 유속변화는 필터간격이 있는 조건보다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장면 전체에 설치된 조건에서의 유속은 필터부의 단면적에 균등하게 작용되나 필터간격이 있는 조건에서는 필터부를 구성하는 단면적 감소로 인해 물의 흐름이 집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Toe-drain에 인접한 필터부의 유속을 정규화 한 결과, 필터간격에 따라 하한 5.33배-상한 10.63배까지 증가함으로서 필터간격이 증가할수록 유속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필터의 투수계수에 따라 필터간격에 따른 변화는 더욱 커지기 때문에 성토부와 필터부 투수계수의 상호작용에 근거한 필터의 허용투수계수기준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속에 대한 변화량은 필터간격 약 20m의 이상에서는 완만한 경향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20m 이내 범위로 필터간격을 설계하는 방법이 침식에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필터부의 동수경사는 모든 간격에서 허용안전기준내로 충족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고, 필터간격이 멀어질수록 동수경사는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구간에서는 증감하는 경향을 나타났는데 이는 필터간격에 따라 구조·경제적으로 합리성을 갖춘 간격이 존재하며 그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균일형 저수지 제체의 복통 균열에 따른 누수특성

        이영학 ( Younghak Lee ),이달원 ( Dalwon Lee ),류정현 ( Junghyun Ryu ),강경오 ( Gyeongo Kang ),김철한 ( Cheolhan Kim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 극한 강수의 증가가 전망됨에 따라 시설물의 재해저감을 위한 대책마련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자연환경의 변화는 노후화된 저수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재해 위험성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저수지의 방재분야는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저수지의 노후화로 인한 파이핑 및 누수현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특히 복통의 노후화는 누수집중의 유발시킴으로써 제체의 취약부 파괴를 쉽게 확장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저수지의 복통누수에 대하여 공통적인 관점에서 시설물 강화방안이 요구된다. 노후화와 관계된 저수지의 내구연한은 제체의 형식, 규모,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정할 수 없으나, 복통의 경계면에서 발생된 파이핑이 장기화 되는 경우 곧바로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실험과 해석적 검증은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 복통으로 인한 제체의 붕괴거동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복통 구조물을 누수가 발생가능한 조건으로 새롭게 모델링하고 대형실내모형실험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붕괴형태, 공극수압, 토압, 침하에 대한 계측값을 기초로 붕괴시점을 파악하고, 3-D 응력-침투 연계해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향후 재해저감방안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굴폭은 세굴깊이가 형성된 이후에 발생되었으며, 세굴폭의 증가량은 세굴깊이의 증가량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굴폭보다 세굴깊이가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복통 부근에서 세굴깊이를 억제 또는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 보강의 관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파괴형상을 기초로 한 침하량, 공극수압, 토압의 관계에서는 제체의 붕괴시점에 대하여 상호 일치를 나타냄으로써 본 실험결과는 향후 노후화된 복통을 가진 저수지의 효율적인 보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