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의 활동중심 개별화 교수방법이 고학년의 수학과 학습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김창복,이원영 한국교육학회 1996 敎育學硏究 Vol.3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1학년 수학 학습에 적용했던 '활동중심 개별화 교수방법'의 효과가 5학년 때까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활동중심 개별화 교수방법은 아동의 이해 속도에 맞추어, 구체물을 활용하며 소집단 또는 개별적으로 교육하는 열린 교수방법의 일종이다. 연구결과, 1학년 때 활동중심 개별화 교수방법으로 학습한 아동들은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5학년에서의 수학과 학력점수가 p<.05 수준에서 의미있게 높았고, 5학년이 되어서도 1학년 때의 활동중심 개별화 교수방법의 수학과 학습을 선호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을 위한 활동중심 개별화 교수방법이 초등학교 수학과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 grad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through a follow-up on the two different types of teaching method studied earlier by Kim(1992).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60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fifth grade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four years ago ; 34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mathematics by the activity-based and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s which emphasized children's own interest, desire and ability.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mathematics by the teacher-centered and textbook-oriented method which gives initiative and authority to the teacher only. This is the universal methods in Korea at present tim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To analyze group differences, ANCOVA(covariate : IQ data)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hi-square(χ2) in interest were applied.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eaching method(p<.05). The activity-based and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2. The fifth grade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still remembered the activity-based and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for mathematics which they experiened four years ago more and liked it more than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by which they had been taught since then.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을 위한 반송파 감지지역의 충돌방지 전력제어

        김창복,김남일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4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IEEE 802.11은 센서노드간에 최대전력을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한다. BASIC구조는 RTS-CTS패킷 전송에 최대 전송전력을 사용하며,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DATA-ACK전송에 최소한으로 필요한 전송전력을 사용한다. 그러나 BASIC구조는 반송파 감지지역의 노드에 의한 ACK패킷의 충돌로 인해 네트워크 수율이 떨어지며, 전력제어를 하지 않는 IEEE 802.11을 사용할 때 보다 더 높은 에너지 소모를 가진다. 기존에 제안된 PCM(Power Control MAC)구조는 ACK패킷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반송파 감지지역에서 DATA패킷의 전송을 감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최대 전력레벨로 DATA패킷 전송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CM구조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진 개선된 PCM구조를 제안하였다.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802.11 happen unnecessary energy consume because of packet transmission using maximum power between sensor node. The BASIC scheme is to use maximum transmission power for RTS-CTS and minimum required transmission power so as to high energy efficiency for DATA-ACK. However BASIC scheme may degrade network throughput with collision of ACK packet by node in carrier sensing zone and may result in higher energy consumption than when using IEEE 802.11 without power control. Existing PCM(Power Control MAC) scheme is to use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by periodically maximum power level so as to sensing DATA packet transmit in carrier sensing zone of transmission node, and this method can avoid collision of ACK packet. This paper present problem by energy efficiency of PCM scheme, and design some more improved PCM scheme.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연계 고찰

        김창복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link the evalu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lower elementary school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valuation-related contents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he main guidelines and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fter analyzing the evaluation guidelines and characteristics, the validity of the results was verified by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show a basic connection betwee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the purpose, subject, method, and use of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two curricula are similar in the aspects of learner-centered evaluation, reinforcement of teacher autonomy in evaluation, and various qualitative evaluations centered on observation and recording. Meanwhile, the two curricula differ in terms of the evaluation-related guidelines, the presentation of the evaluation contents, and the cycle of evaluation. Unlike the Nuri curriculum, which presents the general overview of evaluation in four section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provides the evaluation guidelines in detail in the general introduction and each subject sector; moreover, the evaluation contents are present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subject areas. Different from the “execution–evaluation–plan” cycle of the Nuri curriculum, the “plan–execution–evaluation” flow is adopted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for multifaceted research and consensus so that the evaluation of the two curricula can form a natural link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 연계의 관점에서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저학년 간 평가의 연계 실태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와 관련된 내용이며, 연구자가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주요 지침과 특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대해 유아교육과 교수 1인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연구 결과,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에는 대체로 평가의 목적, 대상, 방법, 결과 활용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연계를 이루고 있었다. 특히 두 교육과정이 모두 과정 및 학습자 중심의 평가, 평가의 교사 자율성 강화, 관찰과 기록 중심의 다양한 질적 평가를 지향하는 점에서 동일성이 있었다. 그러나 두 교육과정 간에는 평가 관련 지침과 평가의 내용 제시, 평가 수행의 순환 과정 등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두 교육과정의 평가가 자연스러운 연계를 이룰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와 합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및 연계 활동 방안

        김창복 한국수학교육학회 2001 初等 數學敎育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a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to present a plan for connecting the two curricula. The curricula emphasized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stead of fragmentary knowledge and adopted the streamed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ability and interest. And both of them consisted of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statistics, and put emphasis on activity such as real life experience, play, manipulation of concrete objects, and communication. However, there are some kinds of differences between them, because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s not included in the common curriculum, from 1st grade to 10th grade. Thus, this study recommended several ideas based on theories to connect the mathematics curricula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의 쓰기 관련 활동과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김창복,김혜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4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1학년 학기 초의 교실 내에서의 쓰기 관련 활동과 이와 관련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 교사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교사인터뷰, 교사저널, 아동의 쓰기 결과물 등이 있었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학기 초 쓰기 관련 활동은 국어 교과가 도입되기 전인 3월에는 쓰기를 위한 기초 활동이 주를 이루었고, 교과가 도입된 이후인 4월부터는 쓰기 활동이 국어교과, 타 교과, 일상적 학교생활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입학 초기 쓰기와 관련하여 1학년 시기를 바른 연필잡기에 결정적이며 적절한 시기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학 전에 선행학습을 하고 온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은 학습 태도 측면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선행학습이 실제적으로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과 수업내용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저해하는 결과를 보여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위한 활동을 제공하는 유아교사의 이해를 도울 수 있고, 활동 준비를 위한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초연계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정, 정책을 재정립하는 데에도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ren’s writing activities and first grade teachers’ perception of the writing activities while transitioning from kindergarten to primary school. Five prim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included teacher interviews, teacher journal writing, and children’s writing sa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writing ac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academic year, in March basic activities for writing were provided and from April various writing activities were provided. Next, in term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writing, the first grade is very important to learn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Further, there are huge differences of learning attitude between those who have learned writing and those who haven’t, and learning writing before entering primary school might be a negative factor in adapting to the first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