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포은 후손의 경남 동부지역 이거 양상 연구

        경희(Jung Kyung-hee)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is study is on the migration of Poeun(圃隱)'s descendants from wester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to the easter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te 17th and 18th centuries in Joseu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Seolgok(雪谷) Jung Bo(鄭保), the grandson of Poeun Jung Mongju(鄭夢周), was forced to exile to Danseong(丹城) located in western Gyeongsangnam-do because of having criticized the usurpation of King Sejo(世祖). After that Poeun's descendants started to settle down in the localities of western Gyeongsangnam-do such as Hapcheon(陜川), Jinju (晉州) and Danseong(丹城). In the 16th century Poeun started to be venerated and his descendants came to be powerful and prominent. From the 17th century, the branch of Sir Limheon(林軒公系) founded by Limheon(林軒) Jung Sephil(鄭世弼) became leading nobility power in western Gyeongsangnam-do. Generally they tended to belong to military nobility such as Bukin(北人) Party and Nammyung(南冥) School. In the late 17th century Seoin(西人) and Noron(老論) Parties grasped political power, therefore, Bukin Party started to be divided and stagnated gradually. This affected to Poeun's descendants in the western Gyeongsangnam-do. Their status in military nobility was weakened and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discourse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Noron Party. In general stagnation of Poeun's descendants in western Gyeongsangnam-do, some of them migrated to eastern Gyeongsangnam-do. The branch of Sir Limheon migrated to Yangsan(梁山) and Haman(咸安), and the branches of Sir Sean(世安公系) and Sir Seryun(世倫公系), to Ulju(蔚州) and Gimhae(金海). Jung Doman(鄭道萬)'s family of the branch of Sir Limheon in Yangsan was central force of Poeun's descendants of the eastern Gyeongsangnam-do. They had produced a leader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been editing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忠烈) of Yangsan in modern times. We can see that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 inherited from Poeun to Seolgok and Limheon continues in modern times. 본고는 15세기 이래 경남 서부 합천ㆍ진주ㆍ단성 등지에 정착한 포은 후손들이 17세기 후반~18세기를 지나면서 인근의 경남 동부 양산ㆍ함안ㆍ울주ㆍ김해 등지로 이주해 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포은 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다 경상도 단성지역에 유배된 이후 그 셋째 아들 정윤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포은 후손들의 경상도 지역 세거가 시작되었다. 16~17세기 포은이 사림세력의 절대적 추앙을 받으면서 포은 후손들이 재기하게 되는데, 경상도 지역에서 는 정윤관의 손자이자 병마절도사를 지낸 임헌 정세필을 계파조로 하는 '임헌공계'를 중심으로 합천ㆍ단성ㆍ진주 등 경남 서부지역의 유력 사족세력으로 자리잡았다. 이들은 대체로 남명학파 북인계이자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서인-노론의 집권으로 경상도 지역의 북인계 세력은 침체 국면에 놓이게 된다. 당시 임헌공계의 경우 정세필의 증손인 합천의 '정욱계' 및 단성ㆍ진주의 '정훤계' 양대 계열이 중심이 되고 있었는데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가 현저히 감손되었고 학문이나 당색 면에 노론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인근 경남 동부지역으로 옮겨가는 세력이 생겨났으니 임헌공계 중 함안ㆍ양산, 세륜공계 중 울주, 세안공계 중 울주ㆍ김해 등지로 옮겨간 경우가 그러하다. 특히 경남 동부 포은 후손의 중심세력인 양산 지역 임헌공계 정도만 계열에서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현대에는 일제시기 양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통, 또 고대 이래 양산지역에 면면히 내려온 충렬의 전통을 집대성하는 흥미로운 면모가 나타났다. 포은-설곡-임헌으로 이어지는 충렬의 가풍이 시대와 지역의 격간을 넘어 이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 KCI등재

        신라 나얼(奈乙, 蘿井)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5 No.-

        This study is on the Sundo仙道 thought in the relics of ‘Naeol’, the highest Sodo(蘇塗, the sacred place of Korean Sundo) of Silla noted for the first king Park-Hyeok-Keose朴赫居世`s birthplace and the national shrine site for Heaven天. In the theory of One-Three一?三論 or the theory of One-Three-Nine 一?三?九論,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 One Ki氣(Chun天? Ji地?In人, Eol?Ul?Al, Haneol?Hanul?Hanal Three Ki三氣)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that is originated from Heaven nearby the Big Dipper and the Korean language of it is ‘Eol’. Also ‘井’, the Chinese character marking of ‘Eol’ is the pictograph to express the creativity of ‘Eol’. Not only the name of ‘Naeol’ keeps the idea of Eol but also the facilities of it was constructed by the idea of Eol. The column to Heaven 天柱 in the first facilities about B.C. 2C, the central column心柱 of the round shape shrine for Heaven in the secon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炤知 in A.D. 5C and the central column of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 in A.D. 7C all symbolize a sympathy with ‘One Ki(Three Ki) or Eol’ from Heaven. Besides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symbolizes the ‘井’ character. Generally the octagon is considered Buddhist facilities, but the present writer indicates the idea of Eol as the constructing theory and the ceremonial instrument for Heaven rituals祭天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in Baedalkook倍達國 period as the historical origin. According to the idea of Eol, one has ‘One Ki(Three Ki) or Eol’ in one`s body. So one advances ‘Sungtong(性通, Eol’s awakening)→Kongwan (功完, Eol`s practice after awakening)→Jochun(朝天, Eol`s revolution to the origin) through the process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天人合一 or 人合一) gradually. Because the core theory of Sundo discipline, ‘Sungtong→Kongwan→ Jochun’ is kept in the idea of Eol like this, the name of ‘Naeol’ can be understood as ‘Eol`s awakening’. Also we get to understand that the facilities of ‘Naeol’ sodo function to intermediate one`s discipline as the symbol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

      • KCI등재

        『天符經』·『三一誥』를 통해 본 韓國仙道의 ‘一․三․九論’

        경희 범한철학회 2007 汎韓哲學 Vol.44 No.1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ontology of Korean Sundo(韓國仙道). The key theories are two, that is,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and the theory on One-Three-Nine(一․三․九論), These theories are based on the logics of 『Chunbu-kyung天符經』 and 『Samil-singo三一誥』. Until now the study on the ontology of Korean Sundo has been focused on One-Three(一․三論) and the different viewpoint hardly presented. But in this thesis, the theory on One-Three-Nine(一․三․九論) is been examined as the detailed logic of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So to speak,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can be extended to the theory on One-Three-Nine(一․三․九論). According to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of 『Chunbu-kyung天符經』 and 『Samil-singo三一誥』, the Il一(Oneness, the whole, God, Sin하느님) is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the Sam三. They are Chun天(Information or Naught無․空), Ji地(Material) and In人(Energy, Ki氣). Among the Sam三, In(人 : Energy : Ki氣) is considered the central part to harmonize the Sam三. This feature is the most distinctive peculiarity of Korean Sundo. Next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am三 is detected. This processes has two steps. First step is the change from the Il一(Oneness, the whole, God, Sin하느님) to the Sam三 and second step is the change from the Sam三 to the Gu九. The Gu九 means the nin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and it is composed of Sung性(the first state of Chun天), Myung(命 : the first state of Ji地), Jung精(the first state of In人), Sim心(the second state of Chun天), Ki氣(the second state of Ji地), Sin身(the second state of In人), Kam感(the third state of Chun天), Sik息( the third state of Ji地), Chok觸(the third state of In人). The concrete changing process from the Sam三 to the Gu九 is the process of Sung性→Myung命→Jung精→Sim心→Ki氣→Sin身→Kam感→Sik息→Chok觸. With this process, concrete individuals are come into the world from Il一(Sin․하느님). The meaning of this changing proces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Il一․Sin 하느님 : the fundamental state of being→) ①Samjin(Sung性․Myung命․Jung精 : the pre-formed state of being)→ ② Sammang(Sim心․Ki氣․Sin身 : the post-formed state of being)→③ Samdo(Kam感․Sik息․Chok觸 : the pre-formed state of being + the post-formed state of being)" As the Il一(Sin하느님) is changed to the Sam三 and the Sam三 is changed to the Gu九, it can be said that Il一(Sin하느님) is the thing(體) and the Sam三 and the Gu九 are its functions(用). In conclusion,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and the theory on One-Three-Nine(一․三․九論) are the same theory, although the scales of theories are different. 본고는 한국선도의 양대 경전인 『천부경』·『삼일신고』의 근간인 ‘一·三論’ 및 ‘一·三·九論’을 통하여 한국선도의 존재론적 인식의 일단을 살핀 글이다· 현재 한국선도의 존재론에 대한 연구는 ‘존재 자체’를 의미하는 ‘一’, 또 ‘존재의 세 차원’을 의미하는 ‘三’의 논리를 중심으로 하는 형편으로(‘一·三論’) 이외의 다양한 논리들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본고에서는 ‘一·三論’의 하부 논리로서 ‘九元論’까지 함께 고찰(‘一·三·九論'), ‘一·三論’을 한 단계 확장해보았다· 먼저 『천부경』 중의 ‘一·三論’을 통하여 ‘一’의 세 차원, 곧 존재의 세 차원인 天(정보)·地(질료)·人(에너지) 三元을 살펴보았는데, 三元 중에서도 특히 ‘人(氣에너지)’ 차원에 삼원을 조화시키는 중심적인 역할이 부여되는 점을 한국선도 ‘一·三論’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천부경』 및 『삼일신고』에서 천·지·인 삼원이 3차에 걸쳐 轉變되는 과정을 추적, ‘一’에서 ‘三’으로, ‘三’에서 다시 ‘九’로 전변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一’의 아홉 차원, 곧 존재의 九元이 ‘性(天一·天天)·命(人一·人天)·精(地一·地天)·心(天二·天人)·氣(人二·人人)·身(地二·地人)·感(天三·天地)·息(人三·人地)·觸(地三·地地)’이며, 이 九元은 ‘性(天一·天天)→命(人一·人天)→精(地一·地天)→心(天二·天人)→氣(人二·人人)→身(地二·地人)→感(天三·天地)→息(人三·人地)→觸(地三·地地)’의 과정을 거치면서 구체적인 존재의 모습으로 전화하게 됨을 살펴보았다· 또 삼원의 3차에 걸친 전변 과정의 의미가 (一· : 존재의 근본상태→) ① 三眞 : 無善惡·無淸濁·無厚薄 상태 : 존재의 형상화 이전의 상태→② 三妄 : 有善惡·有淸濁·有厚薄 상태 : 존재의 형상화 이후의 상태→③ 三途 : 無善惡·無淸濁·無厚薄 상태+有善惡·有淸濁·有厚薄 상태 : 존재의 형상화되기 이전 상태+존재의 형상화된 상태’임을 살펴보았다· ‘一()’이 곧 三元이며, 三元이 3차에 걸쳐 轉變한 것이 九元이라면, ‘一()’을 體, 三元 및 九을 用으로 볼 수 있다· ‘一·三論’과 ‘一·三·九論’은 결국 규모만 다를 뿐 동일한 이론인 것이다·

      • KCI등재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문제 연구 - 정부저작물을 중심으로 -

        경희 한국정보관리학회 2007 정보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공공기록물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정부저작물의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저작권의 문제를 다루었다. 미국과 영국의 저작권법에서 정부저작물에 대한 규정 및 정책을 국내 저작권법의 규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저작권법이 이들 두 나라에 비하여 정부저작물에 대한 보호를 더 폭넓게 함으로써 이용에 장애가 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부저작물 생산기관인 각국의 정부웹사이트와 국가 대표 기록관의 저작권 규정과 관리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내의 정부웹사이트와 기록관이 기록정보 서비스에 더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의 저작권법에서 정부저작물에 대한 정의를 추가하고 관련 규정을 수정하고, 정부기관에서는 이미 정부에서 개발한 정보공유라이선스를 각 부처의 저작물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copyright problems of government works which take up a considerable part of public records. The provisions related to government works of the copyright laws of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with similar provisions in copyright act of Korea. The copyright act of Korea protects more strongly government works than U.K and U.S. therefore is an obstacle for use of the works. Also websites of governments and national archives are examined for their copyright policies in the process of service of government works. This paper found that the copyright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s' official websites and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limits free use of government work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rovision of definition for government works need to be added to the copyright act of Korea and the provision 7 should be revised. And open access license V.2 which developed by Korean government should be applied to government works.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급 아동 대상 정서지도의 주제에 관한 초점 집단 인터뷰 연구

        경희(Ko, Kyeonghui),여주(Chung, Yeoju),김인서(Kim, Inse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학급아동에게 어떤 주제로 정서지도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서지도의 주제에 대해 밝혀 정서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임교사로서 상담 및 생활지도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14명을 대상으로‘정서지도 시 주로 어떤 주제를 다루는가?’를 주요 질문으로 하는 FGI를 실시하였으며 추가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설문응답 자료와 FGI 면담 전사본, 심층면담 요약본과 전사본의 자료를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6개의 대주제, 17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대주제는 ‘정서지식’,‘정서표현’,‘정서변화’,‘정서조절’,‘자기정서인식’,‘타인정서인식’ 이었으며 이에 따른 소주제는‘정서 단어’,‘정서 특성’,‘정서 타당화’,‘표현방법’,‘정서상태표현’,‘걱정·고민 표현’,‘부정적 정서 해소’,‘긍정적 정서 고양’,‘정서재구성’,‘정서 안정화’,‘정서조절전략’,‘자기정서 명료화’,‘자기정서 특성 인식’,‘자기정서 의미 확인’,‘타인감정 추측’,‘감정이입’,‘소통’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FGI (Focus Group Interview) were analyzed on the subject of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providing emotional guidance to class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motional guidance by revealing the subject of emotion guidance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in this study, an FGI was conducted to 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counseling and guidance as homeroom teachers with the main question of What topics are they mainly dealt with in emotional guidance? . Additionall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The survey response data obtained through this, the transcript of the FGI interview, the summary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transcript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y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six major themes and 17 sub-themes were finally drawn. The major themes were emotional knowledge , emotional expression , emotional change , emotional regulation , self-emotional awareness , other recognition emotion , and the sub-themes were emotional word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 Emotionalization , Expression method , Emotional state expression , Anxiety and distress expression , Negative emotion relief , Positive emotion elevation , Emotion reconstruction , Emotional stabilization , regulation strategy , clarification of self-emotion , recognition of self-emotional characteristics , checking the meaning of self-emotion , guessing others emotions , Empathy and communication .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was present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국내 문헌정보학 및 기록학 분야 학술지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사례 연구

        경희,이재윤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s of open access conversion of journals from 7 socie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Open Access Publication Declaration Academic Societi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based on the elements presented in the “Roadmap for Open Access Publishing Convers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in Korea” and analyzed citation rate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identified. First, some journals were not applying CCL or were unable to register it accurately with KJCI, and none of the 7 journals were registered with DOAJ. Second, the newly used journal platforms had not yet registered all previous issues after the conversion. Third,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article processing charges to be partially increased, and there was also a tendency for editorial staff expenses to increase. Fourth, citation indexes after conversion were lower for both journals compared to the previous 4-5 years. This study proposes that joint publication of journals is necessar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jointly with societies while promoting economies of scale and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a roadmap.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단체의 오픈액세스출판 선언’에 참여한 7개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현황과 효과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을 위한 로드맵’에 제시된 요소를 근거로 현황을 파악하고 2개 학술지의 인용률을 분석하였다. 드러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학술지는 CCL을 적용하지 않거나 KJCI에 이를 정확히 등록하지 못하고 있었고 7개 학술지 모두 DOAJ에 등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전환 이후 새롭게 사용한 학술지 플랫폼에 과월호를 모두 등록하지 못한 학술지가 많았다. 셋째, 저자부담 논문출판비는 부분적으로 인상된 경향이 있고 편집간사 인건비도 인상된 경향이 있다. 넷째, 전환 이후 인용지수는 두 학술지 모두 이전 4~5년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장단기적인 실무 문제를 학회 공동으로 해결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학술지를 공동으로 출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또 한 번 로드맵을 개발해야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5세기 후반 신라 사상계와 ‘나얼(奈乙, 蘿井) 神宮’ 건립-‘밝왕’ 炤知王의 仙·佛 정책을 중심으로-

        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선도문화 Vol.16 No.-

        Since King Noolgi訥祗’s reign, the royal family of the Kims assumed jointly with the family of the Parks who had been leading Korean Sundo 仙道, the national ideal envisioned on the founding of Silla and the current thought of that time. As the royal family of the Kims had centralized power, they wanted to lead Sundo instead of the family of the Parks. As a result ‘Naeol(Naeul奈乙, Najung蘿井)’ national Sundo shrine 神宮 had been built in King Soji’s reign. King Soji had built national Sundo shrine in ‘Naeol(Naeul, Najung)’, the highest Sodo(蘇塗, the sacred place of Korean Sundo) of Silla. This shrine was built after removing the first facilities of Naeol Sodo, the kind of the column for Heaven天柱. As the column for Heaven symbolizes a sympathy with Heaven or Park(‘the light’) from Heaven, it becomes clear that the divinity of shrine was also Heaven or Park. Since the foundation of Silla, the center of sacrificial rites had been just the sacred shrine for the founder of Silla始祖廟(the shrine for Park-Hyeok-Keose朴赫居世廟). After building ‘Naeol shrine’, the center of sacrificial rites had changed to ‘Naeol shrine’. Besides King Soji had professed himself as Park King. It was after the model of the father of Park King, Park-Hyeok-Keose. And he had put on ‘Gold crown金冠’ and ‘Gold belt金製銙帶’, the new sacred articles instead of ‘Geumchuk金尺’ and ‘Okjeok玉笛’, the original sacred articles by the family of the Parks. While leading national Sundo in this way, King Soji had accepted Buddhism too. That is to say his Sundo policy was the policy to use jointly with Sundo and Buddhism. Throughout these process, the phenomena of Sundo-Buddhism fusion was developed. Because the policy of Sundo-Buddhism fusion was contrary to Sundo tradition, the aristocratic class including the family of the Parks raised an objection to King Soji finally. After King Soji’s sudden death, the woman from the family of the Parks began the queen continuously and the royal family of the Kims and the queen family of the Parks assumed jointly once again. 눌지왕 이후 김씨왕실은 신라의 입국이념이자 시대이념이던 선도밝사상을 주도해오던 박씨족과 연대함으로써 집권화의 이념적 기반을 다져갔다. 이후 집권화가 진전되면서 김씨왕실은 선도이념을 주도하는 방향으로 선회해가게 되는데 그 전기가 되는 사건으로 소지왕대 ‘나얼신궁’ 건립을 들 수 있다. 소지왕의 치세가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던 소지왕 9년(487) 신라 최고의 소도 ‘나얼(奈乙, 蘿井)’ 지역에서는 고래로부터의 유서깊은 天柱類 시설을 계승한 신궁이 건립되었다. 천주류가 한국선도 일반의 신격인 ‘하늘(天)=밝음’과의 소통을 상징하기에 신궁의 신격 또한 ‘하늘(천)=밝음’으로 보게 된다. 신라초 이래 국가제사의 중심이던 始祖廟(박혁거세묘) 제사는 박혁거세를 매개로 하늘과 통하는 방식이었으나 신궁제사는 제사의 주체인 김씨왕이 직접 하늘과 통하는 방식으로 여기에서 소지왕대 김씨왕실이 신라선도의 중심을 김씨왕실로 옮기고자 하였음을 알게 된다. 소지왕은 신궁 건립후 신궁제사를 신라 최고의 국가제사로 자리매김, 시조묘의 지위를 대신하였을 뿐아니라 ‘밝왕’의 원류인 박혁거세를 모방하여 스스로 ‘밝왕’을 표방하였고 신궁제사시에도 박씨족의 신물인 ‘金尺·玉笛’을 대신하여 김씨족의 새로운 신물인 ‘金冠·金製銙帶’를 착용하는 등 선도를 주도해갔다. 소지왕은 김씨족의 집권력 강화에 최우선의 목표를 두고 선도이념을 주도하는 한편으로 불교까지도 수용, 仙·佛을 두루 병행하였으니 소지왕의 선도 주도 정책은 실상 선·불 병행 정책이었다고 할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선도 전통에 점차 불교가 녹아드는‘선·불 습합’ 현상이 진전되었다. 소지왕의 이러한 사상 정책은 고래의 선도 전통 하에서 모든 귀족층이 天孫族으로 선도적 국가운영에 공동 참여하던 방식과 배치되는 방향이었기에 박씨족을 위시한 귀족층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결국 소지왕의 급작스러운 죽음 이후 중고기 박씨왕비족시대가 열리게 되었고 김씨왕족과 박씨족은 다시 한번정치·사상적으로 연대하게 되었다.

      • 지역별 노인복지 현황과 정책과제

        경희,이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보건복지포럼 Vol.92 No.-

        지역별(도시-농어촌-혼합지역) 노인복지수요의제특성과 노인복지서비스 공급실태,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정책수립·집행의 제도적 기반을 검토한 결과 현재 노인복지에 있어 지역간 노인복지수준의 불균형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가 지역의 자율성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복지서비스의 제공으로 이어지기 보다는 노인복지수준의 지역불균등을 초래할 위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노인복지의 지역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방안으로 중앙-광역-기초자치단체간의 적절한 역할정립, 객관적이며 균형 잡힌 지역 노인복지계획의 수립, 지역성을 고려한 국고보조금 제도의 개선, 기본적인 노인복지수준확보를 위한 농·어촌 지역 특별 지원,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노인복지정책의 특화, 지역별로 균형잡인 인력확보방안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