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연실황 생중계의 관객개발 효과

        홍선희,박찬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

        공연예술의 특성은 창작 향유 양방향 모두 시공간의 제약과 현장성에 기반을 둔 일회적 경험이란 점이다. 최근 국내 공연예술계가 공연실황 생중계를 홍보의 수단으로 이용하며 새로운 관람경험을 창출하는 디지털 영토에 진입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으로 연동되는 ‘포털사이트’와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공연실황 생중계는 전통적 홍보방식을 대체하며 빠르게 공연생태계에 변화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공연실황 생중계의 관객개발 효과를 검토하고 발전방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외국의 경우 공연실황 생중계가 사업적 모델로 접근된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불특정 다수를 향한 홍보활동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6년, 전막공연 실황 생중계가 추진되었고 2017년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공연의 전체 노출이 관객감소로 이어지리라는 우려를 덮고 공연실황 생중계는 잠재관객의 호기심을 자극, 극장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이미 뮤지컬 ‘레드북’ 판소리음악극 ‘적벽’등이 생중계 후 입장권 판매율이 올랐다고 보도됐고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스테이지톡’과 ‘더뮤지컬’이 진행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공연실황 생중계가 티켓 구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따라서 아직은 도입단계인 공연실황 생중계가 영향력 있는 홍보채널로 발전해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편적 접근성을 높여 관객과 소통하는 새로운 문법으로 주목받는 공연실황 생중계가 홍보채널을 넘어 사업적 모델로 발전해가기 위한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 KCI등재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 조사

        홍선희,우애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의 고등학교와 대학교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을 설문 조사하고, 이에 계열별, 학년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소양은 자연 계열 학생이 인문 계열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는데, 하위 영역 중 ‘과학의 지식’ 영역에서는 자연 계열 학생의 과학적 소양이 더 높았으나, ‘과학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 영역에서는 계열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비과학적 신념은 인문 계열과 자연 계열 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영역 중 ‘창조설’ 영역에서는 인문 계열 학생의 비과학적 신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과학적 소양은 대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하위 영역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과학적 신념은 학년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영역 중 ‘초감각적 지각’과 ‘혈액형이나 체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과학적 소양과 비과학적 신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것은 과학적 소양의 증가가 비과학적 신념을 감소시키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과학의 본성’이나 ‘과학‧기술‧ 사회’ 영역보다 ‘과학의 지식’ 영역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과학 교육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고 하더라도 비과학적 신념은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cientific literacy and the pseudoscience belief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o describe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course,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tific literacy and the pseudoscience belief. Participants were 143 high school, 181 freshman, and 178 junior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ce literacy between science course and humanity course studen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seudoscience belief.(p<.05) Among three domains of scientific literacy, ‘science knowledge’ of the science cours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b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were not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ce literacy among high school 2nd grade, freshman, and junior studen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seudoscience belief.(p<.05) Thir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tific literacy and the pseudoscience belief, according to grade and course. In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literacy was caused only by the science knowledge, and the pseudoscience belief was not decreased even though the scientific literacy increased. Key Words :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literacy, pseudoscience belief

      • 현대도시건축의 맥락성(Contextuality)에 관한 연구 : Camillo Sitte의 도시이론이 현대도시설계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홍선희,이재환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The architect as modernist tried to solve problems what society in that time had, as themselves show the new buildings. But modern architecture had limits already, new architectural styles appeared various in many ways. One of the remarkable trends is that they try to understand and design buildings being in city, but independently, also understanding a space as the art. It is based in that the art improve gradually with history and in context, rather than being independent on some specialists. This study is to know a principal of constructing buildings from the theory of Camillo Sine, to know the meaning and what contemporary architect as contextualism influence.

      • KCI등재

        개념의 차이: 러시아 차용어를 중심으로

        홍선희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2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차용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어떤 뉘앙스로 사용되는지, 그리고 그 의미의 은유적 사용 등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차용어는 음성적 외형을 차용하는 어휘적 차용어와, 자국어의 상응하는 의미로 대체하는 번역차용어인 소위 깔끼(кальки)로 나뉘는데, 어휘적 차용어가 번역차용어보다 더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어휘적 차용어는 상응하는 러시아어와 다른 변별적 의소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차용어는 ‘특권적임’, ‘편의성’, ‘규모와 서비스의 뛰어난 수준’, ‘전문성’ 등의 변별적 의소를 지니고, 러시아어와는 다른 개념을 내포한 대상을 지시한다. 따라서 지시대상이 지니는 긍정적 가치가 사용자로 전이되어, 차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화자의 지위를 높여준다는 인상까지 주게 된다. 그러나 구어에서 사용되는 어휘적 차용어의 경우에는 부정적 가치를 내포해서, 조롱이나 아이러니의 뉘앙스를 전달하기도 한다. 반면 번역차용어는 상응하는 러시아어로 번역해서 지시대상을 지칭하는데, 단어 그대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생김새나 기능의 유사성을 이용해서 은유적으로 번역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번역차용의 과정에서는 러시아만의 문화적, 사회적 관점이 투영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특성은 색 형용사를 지닌 번역차용어에서, 그리고 번역차용어를 근거로 해서 새로운 상징의미를 지닌 용어가 파생되는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어휘적 차용어의 변별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고, 번역차용어를 통해서는 의미의 은유적 발전을 살펴볼 수 있었다.

      • 16S와 23S rRNA에 결합하는 probe를 이용한 겨울철 소양호 세균 군집 구조의 분석

        홍선희,변명섭,안태석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1998 環境硏究 Vol.15 No.-

        겨울철 소양호에서 세균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자 총세균수와 EUB338, ALF1b, BET4a, GAM42a와 CF probe등 fluorescent rRNA 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와 반응하는 세균 개체수를 수심별로 측정하였다. 총세균수는 0.7×10^(6)~1.1×10^(6)cell·㎖^(-1)이였으며, 5m와 10m 수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의 비율은 34~90%이였으며, 5m와 10m에서 낮게 나타났다. Proteobacteria α-group은 Eubacteria의 10.8-28.7%, β-group은 4.5-53.5%, γ-group은 4.9-35.5%, 그리고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은 6.1-21.1%이였다. 0.5m 수심에서는 β-group이 28.6-53.3%로 우점하고 있었으며, 10m에서는 γ-group이 35.5%로 우점하였다. 30, 50m 수심에서는 α-group과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이 우점하였다. 세균 군집 구조로 보면 0-2m, 5-10m 그리고 30-50 m의 3개층은 각각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방법으로 호수 생태계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To scrutinize the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of Lake Soyang in winter, bacterial numbers blonging to Eubacteria, Proteobacteria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were estimated by using 16S and 23S rRNA 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s. Total bacterial numbers ranged from 0.7Χ10^(6)~1.1Χ10^(6)cell ·㎖^(-1)and vertical profile of total bacteria showed a peak at 5m and 10m depths those were low exhibiting, 39 and 34%,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proteobacteria α-group ranged 10.8~28.7%, β-group 4.5~535%, Υ-group 4.9~35.5% and Cytophaga-Flavobacterum group 6.1~21.1%. The dominant groups were β-group at 0, 2 and 5m Υ-group at 10m, α-group at 30m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at 50m depth. In winter season, Lake Soyang can be divided into into three layer, 0~2m, 5~20m and 30~50m, by bacteria community composition. By this method, new informations about aquatic ecostem were developed.

      • Flu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방법으로 분석한 소양호 세균 군집 구조의 졔절적 변화

        홍선희,안태석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1998 環境硏究 Vol.15 No.-

        소양호에서 세균군집의 계절적, 수심별 변화를 파악하고자 총세균수와 EUB338, ALF1b, BET42a, GAM42a와 CF probe 등 fluorescent rRNA targeted oHgonucleotide probe와 반응하는 세균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총세균수는 0.5~2.01×10^(4)cell·㎖이였으며, 2m와 5m 수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의 비율은 22~100%였고 Proteobacteria α-group은 Eubacteria의 2.6~66.7%, β-group은 4.5~53.5%, γ-group은 4.6~7.6%, 그리고 Cylophaga-Flavobacterium group은 2.1~35.9%이였다. 또한 세균군집은 계절별, 수심별로 다양한 변화를 보여, 겨울철을 β-group이, 봄철과 초여름철은 γ-group이, 여름철은 α-group이 우점하였고,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이 특징적으로 우점하는 시기는 없었다. 이러한 세균 군집 구조의 분포로 계절별, 수심별로 호수에 대한 독특한 특징을 알 수 있었다. To define the structure and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aqutic ecosystem, Lake Soyang, the largest artificial reservoir in Korea, a new metho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was applied. This technique relies on the specific hybridization of the nucleic acid probes to the naturally amplified intracellular rRNA. By this method, the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of Lake Soyang and bacterial numbers belong to eubacteria, proteobacteria and Cytophaga-Flavobacteria group were estimated. Total bacterial numbers ranged from 0.3×10^(6)~2.O×10^(6)cells · ml^(-1), and vertical profile of total bacteria showed the peak at 2 and 5 m depths. The ratio of eu-bacteria to total bacteria were 22~100% and varied wuth depth and season. The percentage of Prothobacteria α-group ranged 2.6~66.7%, β-group 4.5~ 53.5%, γ-group 4.6~70.7%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2.1~35.9%. Also, bacterial community had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The dominant groups were β-group in winter, γ-group in spring and early summer and α-group in summer.

      • KCI등재

        해빙기 바이칼호에서 부유세균과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의 군집구조

        홍선희,김옥선,전선옥,유재준,안태석 한국미생물학회 2002 미생물학회지 Vol.38 No.3

        러시아 바이칼호에서 해빙기에 부유세균과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의 군집구조를 FISH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방법으로 0 m부터 250 m수심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Eubacteria에 속하는 세균과 class Proteobacteria에 속하는 세균 중 $\alpha$-, $\beta$-, $\gamma$ -group과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그리고 Planctomycetales였다. 부유세균의 수는 $0.2{\times}10^6\cells{\cdot}ml^-1 to 3.2{\times}10^6 \cells{\cdot}ml^-1$범위였으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감소하였다. Aggregate에 부착한 세균은 부유세균과 반대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하였고, 개체수의 범위는 0.4~$3.3{\times}10^4$ $cells{\cdot}ml^-1$ 이였다.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 수의 비율은 부유세균의 경우 52.3~74.1%,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은 39.6~66.7%로 부유세균보다 부착세균에서 그 비율이 낮았으며, 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결과에서도 부유세균과 aggregates애 부착한 세균의 군집구조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세균의 군집구조는 식물플랑크톤이 밀집해 있는 25 m 수심에서 급격히 변화하여 식물플랑크톤이 부유세균과 부착세균의 군집의 변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 군집은 수심에 따라 매우 특이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beta$-proteobacteria group은 수심이 깊어지면서 그 비율이 높아져, 100m에서는 $\beta$-group이 총세균수는 51.8%를 차지하였으나, 250m에서는 $\gamma$-group이 43.8%를 차지하여, 급격하게 우점 group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부유세균에서는 전혀 다른 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은 부유세균과는 다른 다양성을 이루고, 다른 천이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with rRNA-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s was used to compare the community structures of free-living and aggregated bacteria at thawing period in Lake Baikal. Targeted groups were Eubacteria, $\alpha$-, $\beta$-, $\gamma$- proteobacteria groups,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and Planctomycetales. Total bacterial numbers of free-living bacteria were ranged from $0.2{\times}10^6\cells{\cdot}ml^-1$ to $3.2{\times}10^6\cells{\cdot}ml^-1$, which were decreasing with depth, while the aggregated bacterial numbers were dramatically increasing from $0.4{\times}10^4 to 3.3{\times}10^4 \cells{\cdot}ml^-1$ with depth. The ratios of EUB probe binding cells to DAPI counts were ranged from 52.3 to 74.1% in free-living bacteria, and from 39.6 to 66.7% in the aggregated bacteria, respectively. Community structures of the aggregated bacteria were very different from each free-living bacteria at every depth. At 25 m depth, where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highest, both structur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surface layers, rendering the fact that the community structures might be affected by phytoplankton. The vertical profile of community structure of aggregated bacteria is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beta$-proteobacteria group was increasing with depth and it was 51.8% at 100 m, but the dominant group was $\gamma$-pro-teobacteria group at 250 m. Taken together, the biodiversity and succession of aggregated bacteria are quite different from free-living bac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