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과학의 정서연구를 통한 수(受) 고찰

        권정현 한국불교학회 2023 韓國佛敎學 Vol.105 No.-

        Vedanā in Buddhism is a subjective response to the stimuli and initial building block of affective dimension that arises depending on the contact of the three factors of sense organs, object, and consciousness. Vedanā tells about ‘how’ the object is when sañña does ‘what’ it is. Vedanā arises involuntarily regardless of one’s intention, and its arise does not necessarily presuppose the affirmation of sañña. When contacting the object, the experience of vedanā is unavoidable. And it transfers the object to the one of greed, aversion, and ignorance. Vedanā has a strong conditioning impact not only on full-blown emotions but also on conscious contents with underlying tendency of craving and hatred. Vedanā transforms external stimuli into internal information with subjective quality. Vedanā is a universal experience of all mankind. “Affect” in emotion research is the term similar to vedanā. It differs from ‘emotion’ and ‘feeling’ and is a much simpler feeling with two features of valence and arousal. It is the concept explained in terms of the impact and role of verification that provide the bas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elf’ and ‘reality’.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Buddhist vedanā through the findings of emotion research in the Neuroscience. To do so, I inspect the meaning of different terms that refer emotion, the denial of presupposing the essential categories of emotion, and the process of neural transmission of emotion.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reflect vedanā through the neuroscientific findings on emotion not only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vedanā but also to guide daily experiences related to it. 수는 근-경-식의 삼사화합인 촉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낙, 고, 불고불락의경험으로 이는 인식작용의 시작점이 되는 일차적 감수작용이다. 수가 대상이‘어떠하다’라는 평가라면 상은 ‘무엇이다’라는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수는 나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자동적으로 감수되어지는 것으로 상의 발생을 반드시전제로 하지는 않는다. 대상과의 접촉에서 낙, 고 불고불락의 수는 반드시생기게 되며 나아가 대상을 탐, 진, 치의 대상으로 전환한다. 상·행·식은 언제나 수의 영향 아래 있게 되는데 수가 초래하는 의도의 능동적 개입은 인식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외적 대상에 대한 내적 평가로 객관의 주관화를 결정하여 집착의 이유는 물론 ‘자아’의 개념이 확고히 되는 과정이기도하다. 수는 불교와 상관없이 인류의 보편적 경험이다. 현대 신경과학의 정서연구에서 불교의 수와 비교될 수 있는 개념은 “affect”이다. affect는 신경과학에서 emotion이나 feeling의 개념과는 구분된다. affect는 좀 더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정서로 ‘자아’와 ‘실재’라는 개념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검증의 역할과 영향력의 차원에서도 설명되어 진다. 이 글에서는 불교의 수와 현대 신경과학의 정서연구를 비교하여 고찰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정서를 표현하는 여러 가지 단어들의 의미, 수의 객관적 본질의 부정, 수 발생의 신호전달과정에서 촉과 수의 차제 발생의 문제를 차례로 살펴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신경과학적 발견들을 통해 수를 재조명하여 수의 이해는 물론 수와 관련된 일상적 경험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권정현,최병재,이제호,김성오,손흥규,최형준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2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이므로 현재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 경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연령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맹출순서를 알아보며, 이전 국내외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한 E-초등학교의 어린이 중 만 6세에서 만 12세의 2,619명 (남자 1,307명, 여자 1,3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시기 및 순서에 대해 연구 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자 만 6.81세, 여자 만 6.73세, 측절치는 남자 만7.78세, 여자 만7.65세, 견치는 남자 만10.48세, 여자 만9.92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63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6세, 여자 만10.49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39세, 여자 만6.26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2.13세, 여자 만 12.03세로 나타났다. 2. 하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녀 모두 정확한 시기의 측정은 불가능하였지만, 만 6.08세 이전에 맹출한다는 것을 추정 할 수 있었고, 측절치는 남자 만6.78세, 여자 만6.65세, 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05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82세, 여자 만9.59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7세, 여자 만10.52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22세, 여자 만6.12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1.58세, 여자 만 11.14세로 나타났다. 3. 맹출순서는 상악은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고, 하악은 중절치, 제1대구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다. 4. 모든 영구치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빨리 맹출하였으며, 상악은 약 0.19세, 하악은 약 0.29세 먼저 맹출하였다. 5. 남녀 모두 상악은 측절치와 제1소구치 사이, 하악은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 휴지기가 있었고, 남자의 휴지기는 상악 1.98년, 하악 2.98년, 여자는 상악 1.98년, 하악 2.40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data on the timing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mergence and to compare these findings with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The dental examinations had been performed to E-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ed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1998 and 2005; 1,307 boys and 1,312 girls with the age ranging from 6 to 12 years old.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1. Eruption time of the maxillary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It was 6.81 years in male and 6.73 years in female for the central incisor, 7.78 years in male and 7.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10.48 years in male and 9.92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76 years in male and 9.63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6 years in male and 10.49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39 years in male and 6.26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2.13 years in male and 12.03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2. Eruption time of the mandibular permanent teeth is as follows. The central incisor could no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but it is assumed to erupt before the age of 6.08. In the mandible, eruption time was 6.78 years in male and 6.65 years in female for the lateral incisor, 9.76 years in male and 9.05 years in female for the canine, 9.82 years in male and 9.59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remolar, 10.67 years in male and 10.52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remolar, 6.22 years in male and 6.12 years in female for the first permanent molar, and 11.58 years in male and 11.14 years in female for the second permanent molar. 3. The eruption sequence is as follows. In the maxilla, the first permanent mola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central incisor, the lateral incisor, the first premolar, the canine,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In the mandible, the central incisor erupted first, followed by the first permanent molar, the lateral incisor,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the second premolar, and the second permanent molar. 4. Tooth eruption occurred earlier in female compared to male by average of 0.19 year in the maxilla and 0.29 year in the mandible. 5. In both male and female, the hiatus (interval of rest) occurred between the emergence of lateral incisor and first premolar in the maxilla while it was observed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mandible. Male had a hiatus of 1.98 years in the maxilla and 2.90 years in the mandible, while the female's were 1.98 years and 2.40 years, respectively.

      • 초음파 펄스에코 데이터 기반 3차원 시각화 방법론

        권정현,장홍래,성제중,안형근,장순재,송문호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1

        The nondestructive testing using ultrasonic pulse-echo data is an effective test methodology esperially for metal structure. Typically, the ultrasonic pulse-echo data is process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A-scan, B-scan or C-scan formats. Upon viewing B-scan and C-scan data the viewer is a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faults as well as their rough dimension.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3-D visualization methods frequently used in medical imaging, namely, surface rendering (SR), volume rendering (VR) and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IP), for nondestructive testing purposes. Such 3-D visualization of ultrasonic pulse-echo data enables easier identification of the location and dimension of faults more accurately.

      • KCI등재

        법랑모세포섬유종 환아에 관한 증례보고

        권정현,김성오,이제호,최형준,최병재,손흥규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치성종양으로 조직학적으로 상피, 간엽조직이 증식하는 신생물이다. 방사선학적으로 경계가 명확한 단방성 혹은 다방성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주로 구치부에서 발견되며 서서히 팽창하여 피질골을 팽윤시키고 대구치나 소구치의 맹출을 지연시킬 수 있다. 치료법으로는 완전절제술(radical resection)과 보존적 적출술(conservative enucleation)이 있으며, 흔하지는 않지만 재발과 악성전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술 후 주기적 관찰이 필요하다. 이번 증례는 하악 우측 제1대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만10세 여자 어린이와 구강 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만5세 여자 어린이에서 방사선 투과성 병소에 의한 구치의 맹출장애가 관찰된 경우로, 병소를 포함한 치아를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적출물을 조직검사 의뢰하여 법랑모세포섬유종으로 확진되었으며 그 후 양호한 치유과정을 보였다. Ameloblastic fibroma is a rare benign tumor, accounting for only 2.5% of odontogenic tumors. It occurs during the period of tooth formation between the ages of 5 and 20 years with the average age being about 15. There is no gender predilection.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lesion arises in the mandible, presenting the swelling of jaw and the failure of tooth eruption. In this report, the main concern of the patient was the failure of eruption of lower permanent and deciduous molars. Radiographic investigation showed a radiolucency surrounding the crown of unerupted teeth. Surgical intervention and histopathologic study revealed the lesion to be ameloblastic fibroma. After the surgery, no evidence of residual tumor or recurrency was found. These patients are scheduled for the long-term continuing evaluation of the eruption of adjacent teeth and successor with radiographic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