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2

        A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The case of K university Park, Hye-Jung(Korea Polytechnic University) There i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model for university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past decade due to it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To propose a model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this study analyzes general education programs in 29 universities using content analysis and develops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or K university by pairing core competencies with general education programs(education purpose, education discipline category, and elective course). Only one university out of the 29 matched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orresponding core competencies. Considering that a general education program is a reflection of a school’s dedication to improv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t becomes clear that there is a profound need to match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ore competencies.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K university was developed using general education standard proposed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and included various kinds of education discipline categories and elective courses which help to satisfy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roposed model would fit into other universities which promote different kinds of core competencies. The proposed model will serve to guide future developments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핵심역량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박혜정(한국산업기술대학교)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교양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교양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편에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총 29개교를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내용분 석(content analysis)과 빈도분석을 통해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파악한 후, 한국교 양기초교육원의 대학 교양교육 표준안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K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과과정 설계 모형 을 제시하였다.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파악한 결과, 29개교 중 1개교만 핵심역량과 교양교육교 과를 연결시켜 제시하였다. 따라서 대학들은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효과적 설계와 함께 학생들 스스로 함양하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위한 교양교과의 선택용이성을 위해 핵심역량별로 교양교과를 제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K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설계에 있어 서 핵심역량에 따른 교양교육 목적을 정의한 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표준안의 다양 한 세부 영역들을 연결시켜서 교과를 설계한 결과, 교양교육이 한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 의해 편성됨으로써 전인적인 교육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은 모든 대학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설계시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

      • 휠체어 댄스스포츠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 제요인 분석

        박혜정,박근희,정유진 명지대학교 예술체육연구소 2005 藝體能論集 Vol.16 No.-

        본 연구는 휠체어댄스스포츠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 제문제를 검토하여 휠체어댄스 스포츠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 기반구축을 위한 필수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체적인 하위문제는 휠체어댄스스포츠 교육에 있어서 프로그램구성, 지도자, 시설환경 참가자 구성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서울에 있는 S재활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남녀 각각 15명의 총30명으로 자료처리는 ANOVA test를 적용하였도, 통계자료분석은 SPSS Win Ver.10.0의 통계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관느 다음과 같은 일련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휠체어댄스 스포츠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영역에 대한 제요인 프로그램의 구성 및 다양성에 있어서 장애종류에 의해서 대해서 p<.01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타 독립변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다양성에 대한 모든 독립변수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초통계치에서 의한 독립변수들의 정도를 감안할 때 모든 내용은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2. 휠체어댄스스포츠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자영역에 대한 제요인 지도자의 전문성에 대한 내용과 지도방법의 효율성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초통계치에 의한 독립변수들의 정도를 감안할 때 모든 내용은 긍정적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3. 휠체어댄스스포츠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환경영역에 대한 제요인 시설환경의 적합성에 대한 일원변량분석결과, 직업영역과 장애종류에 대해서는 p<.05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나 독립변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설환경의 편의성과 접근성 대한 독립변수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초 통계치에 의한 독립변수들의 정도를 감안할 때 모든 내용은 긍정적 수치를 나타내고 있엇다. 4. 휠체어댄스스포츠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참가자구성에 대한 제요인 참가자 구성에서의 파트너와의 일치감, 예의범절, 상호관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 기초 통계치에 의한 독립변수들의 정도를 감안할 때 모든 내용은 긍정적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기초 통계치에 의한 독립변수들의 정도를 감안할 때 모든 내용은 긍정적 수치를 나타내었다. 기초 통계치에 의한 독립변수들의 정도를 감안할 때 모든 내용은 긍정적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장애종류에서 관절장애인들이 높은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트너 구성에 대해서느 성별에 의해서만 p<.05 수준의 유의한차이가 나타나 여자보다 남자의 경우가 파트너구성에 더 높은 긍정적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모바일 사진을 이용한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의문사 의문에 대한 대답에 미치는 효과

        박혜정,이성봉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모바일 사진을 이용한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의문사 질문에 대답하는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23세의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남성 1명이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이며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 ‘누구’, ‘어디’의 모바일 사진을 이용하여 의문사 질문에 대답하는 방법의 개별시도교수를 시행한 후, 일반화 세팅에서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의 ‘무엇’, ‘누구’, ‘어디’의 의문사 질문에 대답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재 종료 후에 실시된 유지 평가에서도 행동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모바일 사진을 이용한 개별시도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의문사 질문에 대답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에서 SLC8A1의 유전적 다형성과 고혈압 및 좌심실 비대와연관 연구

        박혜정,김성수,진현석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9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1 No.3

        Hypertension (HTN) is one of the major chronic diseases, and HTN is defined as being in a state of continuous high blood pressur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is a condition in which the mass of the left ventricle has increased, and HTN is a leading cause of LVH. HTN and LVH are known to b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etic factor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olymorphisms of SLC8A1, among the genetic factors that affect high blood pressure, are related to salt sensitivity hypertension. In this study,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SLC8A1 were chosen based on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dat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performed for HTN and LVH.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s a result, 5 SN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P<0.05) with HTN, and 10 SN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LVH. rs1002671 and rs9789739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t the same time with HTN and LV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morphisms of the SLC8A1 gene are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HTN and LVH in Koreans. We expect these results to help us understand the pathogenic mechanisms for HTN and LVH. 고혈압(hypertension, HTN)은 지속적으로 혈압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요 만성 질환 중 하나이다. 좌심실 비대(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는 좌심실의 질량이 증가된 상태이며, 고혈압은 좌심실 비대의 대표적인 원인이다. 고혈압과 좌심실 비대는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 중 SLC8A1의 다형성이 염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LC8A1 에서 유전적 다형성을 한국 유전체 역학 조사 사업을 기반으로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고혈압과 좌심실 비대에 대해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대한 선형 회귀 분석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개의 SNP가 고혈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고, 10개의 SNP가 좌심실 비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rs1002671, rs9789739 는 고혈압과 좌심실 비대에서 동시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SLC8A1 유전자의 다형성이 한국인에게고혈압 및 좌심실 비대의 발병과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고혈압과 좌심실 비대에 대한 발병기전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편측성 불완전 소구순열의 치료

        박혜정,정휘동,정영수,Park, Hye Jeong,Jung, Hwi-Dong,Mulliken, John Butler,Jung, Young-Soo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5 No.3

        Cleft lip arises from congenital underdevelopment with various degrees and patterns. Mulliken named a unilateral incomplete cleft lip with no severe cleft as a lesser-form cleft lip and categorized it into three subgroups. Anatomically categorized subgroups are minor-form, microform, and mini-microform cleft by the extent of vermilion-cutaneous dysjuntion. The vermillion cutaneous notch is more than 3 mm from the regular Cupid's bow peak for minor-form, less than 3 mm for microform, and almost no gap with discontinuity on the vermillion cutaneous border for mini-microform. The treatments are rotational advancement flap for minor-form, double unillimb Z-plasty for microform, and vertical lenticular excision for mini-microform, respectively.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literature review about the incomplete lesser form cleft lip classified by Mulliken and to report our experiences.

      • Colistin Monotherapy Versus Colistin and Rifampin Combination Therapy in Pneumonia Caused by Colistin-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박혜정,조재화,김형중,한상훈,정석훈,변민광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

        Purpose: We aimed to confirm the synergistic effects of colistin and rifampin combination therapy compared to colistin monotherapy in pneumonia caused by CoRAB. In addition, we aimed to assess the utility of the Epsilometer-test (E-test) in vitro. Methods: We enrolled 9 subjects who had pneumonia caused by CoRAB from July 20, 2016 to June 21, 2018. They were randomized to a colistin and rifampin combination therapy group or colistin monotherapy group at a 1:1 ratio. Microbiological response (MR, microbiological eradication of CoRAB) and clinical response (CR) on day 14 and mortality on day 30 were assessed. The E-test was conducted using CoRAB to predict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Results: The MR rate in the colistin and rifampin combination group (100.0%) seems to be better than that in the colistin group (40.0%);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R rate (100.0%) and CR rate (100.0%) in subjects with “partial synergy,” as proven by the E-test, was higher than those (25.0% and 50.0%, respectively) in subjects with “indifferent” results (it means no synergic effects);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tality occurred in 2 subjects who showed “indifferent” results, as proven by the E-test. Conclusions: Colistin and rifampin combination therapy may have potential to reach MR in pneumonia caused by CoRAB; however, reaching CR with this treatment method is doubtful. “Partial synergy”, as proven by the E-test, can be a good prognostic factor.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혜정,오재연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7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성,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하위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 및 전라남도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인성은 기관유형별, 학력,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은 연령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모든 기관유형, 학력, 연령, 경력 모든 변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그 하위변인인 시작과 독립심, 학습성취, 사회 ·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변인은 교사의 인성 하위변인 중 직무수행과 교사효능감 하위변인인 일반적효능감과 개인적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로서 직무수행의 중요성과 유아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self‐esteem,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sub‐variables of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affect children’s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education level, and age, and teacher efficacy varied according to age and career.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s self‐estee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institution type, education level, age, and career.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elf‐esteem variable of childr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ub‐variables such as beginning, independence, learning achievement, social‐emotion were found to be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that are sub‐variables of job performance and teacher efficacy among the sub‐variables of teacher s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provided the basic data for the importance of job performa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혜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다중지능 발달의 중요 시기인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에 어떠한 관계 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 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다중지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와 어 머니의 양육태도가 갖는 유아의 다중지능에 대한 설명력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지 역 A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의 설문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통 계처리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유아 다중지능 검사 도구는 정대현과 지성애(2003)가 번안, 수정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KC-MIDAS(Korean Child-MIDAS)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양 육태도 검사 도구는 Schaefer(1959)의 어머니 행동 연구 도구(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척도를 김보영(2005)이 수정,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와 유아의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 아의 다중지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가 유아의 전체 다중지능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 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설명력은 38.2%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음악지능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of parents'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by observing what kind of relation exist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hood that is an important time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mother's rearing attitude. Research problem was; What kind of relation exists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and What is an explanation power of mother's rearing attitude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 by selecting 160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at Gyeongnam region as research subjects and for statistic processing, SPSS WIN 12.0 was used. As MI test tool for the children, KC-MIDAS (Korean Child-MIDAS) scale that was adapted and modified by Cheong, Dae Hyeon and Ji, Seong Ae (2003) and of whic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by them was used and as test tool for mother's rearing attitud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of Schaefer (1959)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Bo Young (2005)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simple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a 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presented in such 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how much effect mother's rearing attitude would exert on overall MI of the children, explanation power of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represented to be 38.2%.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mother's rearing attitud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power for the music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