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전재에 의한 지오폴리머의 고온수축 감소효과

        조영훈,안응모,전철민,이수정,Cho, Young-Hoon,An, Eung-Mo,Chon, Chul-Min,Lee, Sujeo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6

        Geopolymers produced from aluminosilicate materials such as metakaolin and coal ash react with alkali activators and show higher fire resistance than portland cement, due to amorphous inorganic polymer. The percentage of thermal shrinkage of geopolymers ranges from less than 0.5 % to about 3 % until $600^{\circ}C$, and reaches about 5 ~ 7 % before melting. In this study, geopolymers paste having Si/Al = 1.5 and being mixed with carbon nanofibers, silicon carbide, pyrex glass, and vermiculite, and ISO sand wer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effects of thermal shrinkage of geopolymer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s mixed by carbon nanofibers, silicon carbide, pyrex glass, or vermiculite was similar in the range from 35 to 40 MPa.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of a geopolymers mixed with 30 wt.% of ISO sand was lowest of 28 MPa. Thermal shrinkage of geopolymers mixed with ISO sand decreased to about 25 % of paste. This is because the aggregate particles expanded on firing and to compensate the shrinkage of paste. The densification of the geopolymer matrix and the increase of porosity by sintering at $900^{\circ}C$ were observed regardless of fillers. 지오폴리머는 메타카올린 혹은 석탄재와 같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원료를 알칼리 활성화제와 반응시켜 제조된 비정질 무기 폴리머로서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보인다. 지오폴리머의 고온 수축률은 $600^{\circ}C$까지는 0.5 %이하 ~ 3 %정도이며 용융되기 전까지 총 수축률은 5 ~ 7 %정도이다. 본 연구는 Si/Al비 1.5인 지오폴리머 페이스트에 탄소 나노 섬유, 탄화규소, 파이렉스 유리, 질석 및 ISO 표준사를 첨가하여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와 고온 수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탄소 나노 섬유, 탄화규소, 파이렉스 유리와 질석이 첨가된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는 35 ~ 40 MPa범위로 유사하였다. ISO 표준사를 30 wt.% 첨가한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의 평균 압축강도는 28 MPa로 가장 낮았다. ISO 표준사를 첨가하면 압축강도는 감소하였고 고온 수축률은 페이스트 수축률의 약 25 %까지 감소되었다. 이는 석영이 대부분인 잔골재 입자가 팽창하여 지오폴리머 겔 조직의 수축을 보상하였기 때문이다. 충전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900^{\circ}C$ 가열 후 지오폴리머 겔 조직은 소결현상에 의해 치밀해졌다.

      • SCIESCOPUSKCI등재

        혈당 강하 요구르트 개발에 관한 연구

        조영훈,신현정,장치훈,남명수,Cho Young-Roon,Shin Hyun-Jung,Chang Chi-Hoon,Nam Myoung-Soo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6 No.2

        혈당 강하 요구르트의 개발을 위해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145, bifido-bacterium infantis 혼합균주에 사균인 FK-23 유산구균, 피니톨, 식이섬유, 백강낭콩 추출 분말, 에리스리톨, 바나바 추출물 등의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정상인과 혈당치가 높은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간이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 정상인의 식후 혈당치는 일반 요구르트를 섭취했을 때보다 혈당 강하 요구르트 음용 시 더 낮게 측정되었으여 임상대상자 대부분에서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2. 혈당치가 높은 당뇨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식후 혈당치변화 및 음용기간 중 혈당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혈당 강하요구르트를 음용하기 전보다 음용 후 혈당치가 식후 30분, 식후 60분, 식후 120분 각각 19 mg/dL, 30 mg/dL, 31 mg/dL 감소하였다. 또한, 혈당 증가 억제율도 임상대상자의 80%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3. 30일간 혈당 강하 요구르트를 음용한 후 식후 혈당치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음용전보다 음용 후 120분 경과 때, 혈당치가 59 mg/dL 감소하였으며 음용기간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poglycemic yogurt as a clinical test with person both who have diabetes and who don't have diabetes. Diabetes is a disease caused by unused and accumulated glucoses produced via the foods digestion due to the lack of insulin or lower tissue reaction to insulin. Patients with diabetes or complications of diabetes are on the rise annually. For the therapy and prevention of diabetes, a yogurt made from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insulin-resistant FK-23 lactic acid bacteria, Pinitol, edible fiber which delays glucose-absorption, extract powder of glucose-absorption-inhibitory white bean and low-caloric Erythritol and banaba extract is effective for reduce or restrain the blood glucose levels. The blood glucose levels after a meal of non-diabetic persons were lower after drinking a hypoglycemic yogurt than they after drinking general yogurt. The blood glucose levels after a meal of 10 diabetic patients were checked after drinking the yoghurt. As a result, 19 mg/dL, 30 mg/dL, 31 mg/dL of blood glucose levels decreased in 30 min, 60 min and 120 min respectively after drinking the yogurt. Blood glucose inhibition rates of 80 % of the tested patients also decreased.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diabetic patients having drunk the yogurt for 30 days consistently decreased into 59 mg/dL in 120 min after a meal.

      • KCI등재

        핵산증폭용 특정 길이의 Primer 검색 프로그램

        조영훈,박기정,이대상,Cho, Young-Hoon,Park, Kie-Jung,Lee, Dae-Sang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PCR 방법과 더불어 최근 핵산증폭기법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방법이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RCA) 기법을 응용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RCA 기술을 활용하는 실험에 이용할 수 있는 특정 길이(N-mer)를 가진 primer의 후보 리스트를 vector 서열이나 특정 미생물 염색체 서열에서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RCA-mer를 개발하였다. RCA-mer는 사용자의 염기서열을 입력으로 받아 이 서열을 대상으로 특정 길이의 N-mer에 대한 존재 유무에 대한 리스트의 후브를 웹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두 개의 염기서열들에 대해 N-mer가 공통으로 존재하는지, 한쪽 서열에만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개발하였다. 사용자는 선발된 primer 후보들로 부터 적절한 N-mer 서열을 선택하여 실제 RCA를 이용한 실험 곧바로 응용할 수 있도록 후보 primer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RCA) technique has been widely focused in the field of gene amplification just like PCR method. We have developed RCA-mer, which is a web-based program searching for primer candidates from a given sequence. It can be applied to find primer lists in DNA amplification experiment based on RCA method. The RCA-mer compares 8-mer primer lists with user's input sequence such as vector, mitochondria, and microbial genome sequence. After calculating 8-mers existences in a given sequence, it displays matched and no-matched primer lists with their GC-contents. In addition to it, RCA-mer can search the existence of 8-mer primer lists in two sequences whether they are co-existed or not. Users can apply candidate primer lists to their researches which use RCA techniques.

      • KCI등재

        한국복지국가의 변혁?

        조영훈(Young-Hoon Cho)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5

        최근 한국의 정당들은 앞 다투어 복지플랜을 발표하고 있다. 집권여당은 한국의 보수정당으로서는 드물게도 한국형 생활보장국가라는 비교적 체계적인 복지구상을 제시하였고, 제1야당은 무상과 보편성을 기초로 하는 창조형 복지국가라는 복지구상을 선보였다. 어떤 이들은 그 두 플랜이 서로를 모방하는 가운데 상당부분 유사해졌으며, 이에 따라서 한국정당들이 복지정책이 수렴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반면에, 다른 이들은 두 플랜은 프로그램 상으로는 비슷해 보이지만 내용적으로는 크게 다르며, 이런 점에서 복지문제를 둘러싼 두 정당의 대립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글은 집권여당과 제1야당이 내놓은 복지플랜들의 비교를 통해 그둘이 어느 정도나 수렴하고 어느 정도나 다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이 논문은 그 두 플랜이 한국복지국가를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변화시키고자 하며, 사회불평등의 감소와 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생활보장이라는 복지국가 본연의 모습을 어느 정도나 시현해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평가할 것이다. 두 플랜은 사회투자국가론을 모델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보편주의의 적용정도나 재정지출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정건전성을 우선시하고 복지국가의 기초인 소득보장에 대한 개혁을 도외시한다는 점에서 두 플랜은 잔여적 유형에 머물고 있는 한국복지국가를 크게 변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Recently,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rushed to produce a welfare plan. For example, the ruling Saenuri Party proposed a welfare plan named ‘Korean Style Livelihood Protecting State’, and the opposite Democratic United Party introduced a welfare plan named ‘Creative Welfare State’. It is often argued that the two welfare plans of the opposing political parties have become similar because each plan imitated the other’s, and therefore, the welfare policie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converged. On the other hand, some say that the two welfare models differ in their contents despite their similar appearance, and therefor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political parties over the welfare issues is still strong.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elfare plans proposed by the two most powerful political parties in Korea. Further, this article attempts to evaluate both plans. The two welfare plans, while commonly adopting the social investment state strategy, differ in applying universalism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and the level of welfare expenditure. Nevertheless, the two welfare plans are not supposed to bring about a significant change to the Korean welfare state as a residual type, because both of them disregard the much needed reforms in the income security system, and place the fiscal decency above the protection of citizens’ livelihoo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변동, 복지정치, 복지국가의 변화

        조영훈(Young-Hoon Cho)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1

        지난 10여년 동안 수많은 복지국가 연구자들이 복지국가의 쇠퇴를 이야기하였었다. 그렇지만, 케인즈주의 복지국가는 약간의 변화를 겪고 있을 뿐 여전히 건재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복지국가의 미래를 생존, 재조정, 재건립, 재구성, 이행 등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그려내는 연구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 논문의 핵심적인 주장은 다양하고 심각한 거시 사회적인 변화들에도 불구하고 기존 복지국가의 틀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복지국가를 지지하는 사회세력들이 아직까지는 강력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이러한 복지정치의 측면을 도외시한 채 거시 사회적인 요인들의 일방적인 영향력만을 강조했기 때문에 복지국가의 급격한 쇠퇴라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기존 복지국가를 지지하는 사회세력들이 여전히 건재하기 때문에 복지수준의 급격한 하락은 거의 불가능하다. 반면에, 복지체제의 재구성, 즉 다양하게 변화하는 시민들의 복지욕구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복지체제의 재정비는 거시 사회적인 변화들에 의해 촉발된 것이면서 동시에 복지국가를 지지하는 사회세력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런 점에서 복지국가의 미래는 쇠퇴나 종말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재구성의 관점에서 그려내야 할 것이다. The dominant view on the future of the welfare state during the last decade was the retrenchment of the Keynesian welfare state. Such a view is not sustained these days in the sense that a fundamental change has not been made to the existing welfare state, and that more and more recent studies, when describing the welfare future, employ such terminologies as survival, recasting, restructuring, and transi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existing welfare state, although under the massive pressure of retrenchment incurred by diverse macro social changes, has not suffered a radical change, because the social forces in defense of the welfare are still very active in advanced welfare states. The existing studies came to the wrong conclusion, because they focused only on the influences of social changes regarded as providing welfare retrenchment pressure, ignoring the welfare politics. It seems impossible for now that the welfare level undergoes a radical downturn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social forces in defense of the welfare state. In contrast, restructuring welfare system is very likely in the near future, because it is not only demanded by the macro social changes but also are acceptable to the social forces. In this regard, the future of the welfare state needs to be described in terms of restructuring, not retrenchment.

      • KCI등재

        캐나다와 한국의 복지체제 비교

        조영훈(Young Hoon Ch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2 현상과 인식 Vol.36 No.1

        캐나다와 한국은 낮은 사회보장지출수준, 사회보장 분야별 지출비율의 유사성, 사회보장부문에서의 민영부문의 강력한 역할과 같은 복지체제상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 두 국가는 모두 자유주의 복지국가에 속하는 것이다. 반면에, 캐나다는 한국에 비해서는 사회보장지출수준이 높고, 보편급여가 발달되었다는 차별성을 보인다. 두 국가의 이러한 유사성과 차별성은 노동운동의 강도, 네오 코포라티즘의 존재여부,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지배력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설명된다. Canada and Korea, despite their difference in dominant values, show similarit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regimes like a low social expenditure and a relative prevalence of private sector in social expenditure. Both of these countries belong to a residual welfare type or a liberal welfare state. On the other hand,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in the sense that Canada spends more social spending than Korea and has a few universalistic social programs, which rarely exist in Korea.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anadian and Korean welfare regimes are to be explained by a weak labor movement, lack of neo-corporatism, and the strength of social democratic party. Neo-corporatism has not formed owing to a weak and divided labor movement, and social democratic parties have not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making of social policies in those two countries. The driving forces behind a rapid growth of the welfare state in the Western Europe did not exist in Canada and Korea. On the other hand, Canadian social democratic parties are much stronger than their counterpart in Korea. They were the third party on the federal level, who could have influence on the Liberal Party in power to accept some reformative social policies, and were the ruling party in several provinces, who could drive progressive social policies. The difference in the power of social democratic party explains the difference in welfare regimes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신자유주의 사회개혁 이후

        조영훈(Young-Hoon Cho)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1

        최근의 학계에서는 칠레모델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된다. 기존의 복지국가 연구에서 사용되던 스칸디나비아모델을 빗대어 만들어진 칠레모델은 노동유연화와 복지삭감 및 복지제도의 상업화에 기초하여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전략을 지칭한다. 신자유주의에 따르면, 세계화의 시대를 맞아 스칸디나비아모델이 현실성을 급속히 상실하고 있는가운데 칠레모델은 발전도상국가들뿐 아니라 선진산업국가들이 본받아야 할 길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칠레모델의 원형을 제공한 것은 피노쳇 군사정부였다. 1973년의 군사쿠데타에 의해 집권한 피노쳇은 정권의 정당성 확보전략으로 경제성장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자유주의 경제정책 및 사회정책을 급진적으로 추진하였던 것이다. 극우보수의 권위주의 정부가 물러나고 중도좌파가 이끄는 꼰쎄르따씨온 정부가 들어선 지금 칠레모델도 어떤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중도좌파가 통치한 지 1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칠레모델은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유지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이 글의 목적은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데 있다. 이 글은 그 원인을 피노쳇 정부의 급진적인 신자유주의 정책의 추진 결과 노동운동이 분열되고 노동조합운동이 약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복지국가에 대한 사회적 지지기반, 혹은 신자유주의 체제를 반대하는 사회적 세력이 붕괴하였다는 사실에서 찾으려고 한다. The word of “the Chilean Model” is often used in mass media and academic circles these days. The Chilean Model, which seems to have been coined after the Scandinavian Model, can be summed up as a growth strategy depending upon labor flexibility, welfare cu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According to neoliberalism, the Chilean Model shows the way for advanced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developing economies to follow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Chilean Model was initially made up by the Pinochet military government. Shortly after the military coup in 1973, Pinochet regarded economic growth as nation’s number one goal and implemented lots of radical neoliberal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to achieve it. We might expect a change in the Chilean Model, since the ultra right, authoritarian government was gone and the new era of democratic government started from 1990. But, after more than 10 years’ rule of center-left governments called Concertacion, the model’s fundamental elements still remain untouched.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reasons why the Chilean Model continues to dominate in the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of the new governments. This paper tries to find a main causal factor in the fact that the Chilean labor movement became divided by enterprises and labor unionization fell to a lowest level as the result of the neoliberal social reforms under the Pinochet’s rule, and therefore, a strong social force resisting the neoliberal regime was destroyed.

      • KCI등재

        캐나다 복지국가의 유형 검토

        조영훈(Cho Young Ho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4

        이 논문의 목적은 공공부조 프로그램의 발달이라는 자유주의 복지국가의 특징과 보편주의 사회프로그램의 발달이라는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의 특징을 동시에 보이는 캐나다가 어떤 복지유형에 속하는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 글의 핵심적인 주장은 복지유형의 분류에 있어서 특정 사회보장 프로그램의 발달이라는 요소가 중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요소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아니며, 복지유형은 다양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분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록 보편주의 사회프로그램이 발달했더라도 시민생활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최소화되어 있다면 그 국가는 잔여적 유형 혹은 자유주의 복지국가로 분류되어야 하며, 이런 점에서 캐나다는 자유주의 복지유형으로 분류되어야 하는 것이다. Canada has been classified as a residual model or a liberal welfare state because it has shown the features like a low social welfare spending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assistance program. On the other hand, Canada is differentiated from USA as a typical liberal welfare state in the sense that it has developed such universal social programs as family allowance and medical services. The prosperity of universal social programs, which is the feature of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renders a challenge to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Canada is a typical liberal welfare state. This article aims to define the type of Canadian welfare state, which shows the feature of a liberal welfare state as well as that of a social democratic state. Its main argument is that the prevalence of a particular social program is only one elementfor classifying welfare types. Canada should be classified as a Liberal welfare state because the state plays a minimal role in maintaining everyday life of citizens, even though universal social programs have developed there.

      • KCI우수등재

        복지국가의 몰락?

        조영훈(Cho Young-Hoon)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W

        이 글의 목적은 스웨덴 복지국가의 최근 변화들에 대한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현재 사회과 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복지국가의 몰락론, 특히 세계화론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그 기본적인 가정은 한 국가의 사회정책은 세계화와 같은 외적 압력들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국가 내부의 다양한 요소들, 특히 복지국가 확대의 결과 만들어진 각종 사회제도들과 시민의 이해관계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스웨덴과 같이 복지국가를 둘러만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복지제도에 대한 시민의 지지가 높은 복지선진국일수록 외적 압력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복지삭감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이 타당하다면, 세계화론이 주장하는 모든 복지국가들의 급속한 쇠퇴 혹은 몰락은 사실이 아니며, 복지국가의 미래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어두운 것만은 아닐 것이다. 스웨덴의 최근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스웨덴에서는 복지 혜택의 축소나 급부조건의 강화, 수급간의 단축과 같은 변화가 있기는 했지만 대규모의 복지삭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주요 삭감대상은 실업수당과 질병수당 및 사회부조에 한정되며, 연금이나 의료서비스와 같이 다수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프로그램에 대해선 급격한 삭감이 발견되지 않는다. 게다가 1990년대 중반 이래로 경제상참이 호전되면서 실업수당이나 질병수당의 소득대체율이 다시 높아져 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복지국가가 몰락하고 있다는 세계화론의 주장은 근거가 분명치 않으며, 제도적이고 보편적인 복지국가가 종말을 고하고 있다고 선언하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cent changes in the Swedish welfare State,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neo-liberalist logic of globalization, which predicts the demise of the welfare state and the convergence of the welfare states to a residual type. My assumption is that social policies of a country, though strongly influenced by external pressures like globalization, are basically determined by such internal factors as welfare institutions and social interests embedded in such institutions. The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such an institutionalized or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as Sweden, owing to the growth of social interests concerning welfare programs and a strong social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has a relative advantage in standing up against the external pressures and has experienced a much less welfare retrenchment than often assumed. This argument, if proved valid, leads us to believe that the welfare state, unlike the arguments by the neo-liberalist logic of globalization, is not doomed to collapse in the near future.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cent changes in the Swedish welfare state shows that welfare retrenchment is neither distinct nor unilateral in Sweden at least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990’s, though there have been some curtailments in welfare benefits. Welfare retrenchment of that country has been mainly directed toward such marginal programs as unemployment benefits, sickness benefits or public assistances. In contrast, a radical change in major areas like pension and health services has yet to be found. Further, the income replacement rate of unemployment and sickness benefits, once cut down to 75%, rolled back to a previous level. In short, the neo-liberalist argument for the demise of the welfare state has no firm empirical basis. It is too early to announce the end of an institutionalized and universalistic welfar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