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과 제도의 적응과 학습 : 이동통신 신규 사업자 선정 방식과 기준을 중심으로

        성지은 한국행정연구원 2004 韓國行政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정책과 제도의 진화과정의 하나인 적용 및 학습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동통신 신규 사업자에 대한 선정 방식과 기준이 도입, 선택, 제도화되고, 점진적으로 변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이동통신 신규사업자 선정방식은 민간 자율에 의한 컨소시엄 방식, 경매제 가미 등 다양한 변이에도 불구하고, 사업계획서 심사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편 선정 기준은 허가방식이 사업계획서 심사 방식으로 운용됨에 따라 정부의 역할을 반영할 수 있고, 능력있는 사업자를 선정할 수 있는 심사기준이 채택되었다. 즉 기술개발 실적과 계획, 컨소시엄 참여업체들의 전략적 제휴 등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국민 편익을 도모할 수 있는 기준은 지속화되는 반면, 기술과 시장구조, 산업발전주기, 각 정권별 정책기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심사기준이 추가되는 등 끊임없는 변이와 요동을 겪어 왔다. 끊임없이 제기된 공정성 시비와 지나친 정치화는 사업 계획서 심사방식을 채택한 국가간에도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른 주요국가의 정책결정 및 내용과 구분되는 독특한 변화 패턴을 보여주었다. 이들 정책은 역사적으로 형성되어 온 고유한 제도적 특성에 제약을 받으며,역사를 통해 형성되어 온 일정한 경로의존성을 보여 주었다. 이와 함께 단순히 주어진 외생적 환경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기 보다 내생적으로 구성되어진 변수에 의해 탐색과 선별, 시행착오를 수정해 나가는 변이와 요동의 과정을 함께 나타났다.

      • 과학기술과 농촌의 새로운 만남

        성지은,송위진,박인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STEPI Insight Vol.- No.140

        농촌 발전정책에서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농촌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모델로 리빙랩 방법론과 농촌 발전전략이 결합된 혁신플랫폼인 `농촌 리빙랩(Rural Living Lab)`이 부각되고 있다.유럽은 C@R(Collaboraiton at Rural) 프로젝트를 농촌 리빙랩 방식으로 수행하여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고, Frascati Living Lab은 C@R 프로젝트에 포함된 7개 농촌 리빙랩 중 하나로 농어촌 지역에 리빙랩 개념을 접목시킨 대표적인 사례이다.C@R 프로젝트를 통해 협업환경, 지역 맥락에 맞는 리빙랩 구축을 통해 혁신활동의 파급효과가 농촌(혁신주체 포함) 전반에 전파되었고 Frascati Living Lab은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능성도 함께 실현하여 리빙랩 모델의 경제성 확보에 기여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환경에 적합한 리빙랩을 구축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시사하고 있다.[시사점 1] 과학기술·ICT와 농촌을 연계하는 인터페이스 사업모델[시사점 2] 농촌주체의 참여에 기반을 둔 내생적 발전전략[시사점 3] 농촌의 다기능성에 기반을 둔 통합형 발전전략[시사점 4] 전환 실험과 전략적 니치로서 활용또한, 한국형 농촌 리빙랩 대표 예시로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를 언급하고 있다.[예시 1] 농업·농촌의 휴양·치유·돌봄 기능을 활용한 리빙랩[예시 2] 낙후 농촌 지역개발 리빙랩[예시 3] 농촌·농업의 자원 순환을 위한 리빙랩[예시 4] 지역 기반 농기구·농법·농사방식 개발·실험 리빙랩

      • 미래지향형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설계 및 개선방안

        성지은,송위진,정병걸,장영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명박 출범 이후 대대적인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제도의 정합성과 보완성을 점검해야 할 시점에 있음 · 통합적 혁신정책 구현을 위한 관점에서 R&D 정책을 기획·조정·평가할 수 있는 기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 ·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영역 확대와 위상 제고로 각 부처에 산재된 R&D 정책을 어떻게 조정해 나갈 것인가는 세계 각국이 공통적으로 고심하는 이슈임 · 각 국가의 혁신 거버넌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변화 흐름을 살펴보고,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 □ 통합적 혁신정책과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와의 관계 □ 연구의 분석틀 구성 · 최상위 수준에서의 종합조정기구 · 정책집행수준에서의 부처간, 부처내 조정 메커니즘 · 정책지원과 수행주체수준의 조정메커니즘 · 분석틀의 구성 □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의 현황과 문제점 · 혁신정책 종합조정 및 거버넌스 설계에 대한 다양한 이해 주체간 프레임, 혁신 관점을 정리하여 유형화 · 통합적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각 담론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및 각 프레임 유형에 대한 논의 평가 ·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의 문제점과 핵심과제 도출 · 통합적 혁신정책 구현을 관점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의 과제 도출 □ 외국의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심층 조사·분석 □ 각 국가의 제도적 특징과 함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변화 흐름을 도출 □ 통합적 혁신정책 구현을 위한 우리나라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설계 및 개선 방향 도출 결론· 혁신 거버넌스 설계: 1안 - 기존 혁신 거버넌스의 한계적인(marginal) 수정 보완 - 우리나라 거버넌스 특성 반영 - 컨트롤 타워, 부처주의 인정 → 과학기술정책 목표, 방향 설정시 각 부처들이 함께 토론할 수 있는 R&D 주무부처가 필요 - 책임 있는 주무부처를 만들어 조정 기능 수행, 국과위 등 최고조정기구의 기능과 역할 강화 · 혁신 거버넌스 설계: 2안 - NIS 관점을 지향하는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축을 핵심 목표 - 더 이상 모방의 대상이 없는 탈추격 혁신 상황에서는 공동의 장기 비전과 전략 창출, 정책 간 조정·통합, 시스템 역학(system dynamics)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인 과제 - 정책기획·집행·평가 과정 일련의 시스템적 설계 - 사전기획 기능 강화, 부처간 연계·협력 프로그램 강화 등 - 통합적 혁신정책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독립기구 신설을 포함한 기획, 예산, 평가 등 정책수단 부여 - 범부처 수준의 사전 기획 강화, 정책군/과학기술연계시책군 등 정책 프로그램 도입 · 혁신 거버넌스 설계: 3안 - 사회적 신뢰 및 실제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거버넌스 틀까지 포함 - 혁신정책의 장기적 지속성·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전반의 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고질적으로 지적되어 온 정치·사회·제도적 문제를 수정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조정과 통합의 융합: 주체의 다양성을 고려하되, 핵심의제를 중심으로 한 조정·통화 강화 - T자형 정책으로서 과학기술혁신의 진화적 특성 강조 - Middle-Up and Down 조정관리 방식 강화 정책제언· 담론 분석을 통해 미래지향적 거버넌스에 대한 공감대 및 다양한 견해 파악 - Top-down식의 수직적인 거버넌스 설계가 아닌 Bottom-up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쌍방향적 거버넌스 설계에 기여 · 통합적 혁신정책 관점에서 대안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 통합적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각 담론을 정리, 비판하고 이에 맞춰 대안 제시 - 기존의 틀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20-30년 미래상을 고려하여 현재의 거버넌스를 점검하고 미래상에 대한 공유 및 공감대에 기반을 두어 각 요소를 새롭게 재배열

      • KCI등재후보

        정신의료기관 내 격리·강박 수행과 간호 전략

        성지은,김수진,김석헌,김성완 대한조현병학회 2018 대한조현병학회지 Vol.21 No.1

        Although seclusion and restraint are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mentally ill patients in psychiatric hospitals, these procedures involve potential violations of human rights and pose a potential risk to patients’ physical condition. Nursing staffs in psychiatric hospitals often have to manage psychiatric patients who display aggressive, violent, or challenging behavior. However,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seclusion and restraint in Korea are too broad to apply in clinical situations. The guideline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and New Zealand emphasize that patients’ basic needs have to be met and stipulate that patient– staff interaction must be continued during seclusion and restraint procedures. Mental health workers in psychiatric hospital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patients’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m. This study reviews the guideline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used in foreign countries to improve current Korean guidelines and provides strategies of the nursing activities to be implemented when patients require seclusion and restraint.

      • KCI등재

        과학기술조정체계의 변화 분석 : 일본, 미국, 핀란드 과학기술조정체계를 중심으로

        성지은 한국정책과학학회 201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6 No.2

        과학기술혁신의 대상이 모든 경제·사회 부문으로 확대되면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연계 및 조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미국, 핀란드 조정체계의 구조, 조정기구의 기능 및 역할, 조정 메커니즘 분석과 함께 대표적인 조정사업 사례를 살펴보았다. 사례 국가들은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정치적·경제적·행정적 모델로, 과학기술조정체계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분석 결과 각 국가의 조정체계는 제3세대 혁신정책 등장에 대응하여 혁신정책의 기획·조정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과학기술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이 커지면서 혁신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례 대상국 공통으로 단일 기구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조정기구와 제도적 장치를 활용하여 시스템의 관점에서 조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조정 수준에 따라 다양한 조정기제 및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 부처를 포괄하는 상위 조정기구를 신설하거나 기존 조정 기구의 역량을 다지고 있다. S&T policy long treated as a sector policy is now solidifying its position as an infrastructure innovation policy that forms the foundation for many different polici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nhancing the linkage and integration between policies by strengthening planning and coordination functions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in charge of innovation policy. This study the structure, function, role and mechanism of Japan, U.S., Finland coordination system and a critical coordination case. Case Countries are our country’s politic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model for a long time, provide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coordination system. The study show that each country’s coordination system elevated planning and coordination roles and emphasized the interaction between S&T-society and innovation governance in response to emergence of the third-generation innovation policy. Three counties made efforts to resolve coordination problems utilizing a variety of coordinating instruments and mechanisms rather than relying on a single mechanism. Those countries made various attempts such as establishment of top level coordination mechanisms and empowerment of existing coordination mechanisms depending on the level of coordination.

      • KCI등재

        기술위험 유형에 따른 관리 전략과 기술위험 거버넌스 비교 분석: 광우병(BSE)를 중심으로

        성지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8 行政論叢 Vol.46 No.1

        Korea is now faced with a new transitional period in every aspect of society, including risk management. As "unintended" or "not forecasted" technology risks are increasing, active discussions are now going on technological risks and various strategies and means are being introduced to manage these technological risks. To identify an effective technology risk management scheme in the "post catch-up" period, this study compared BSE technology risk management. On the one h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o effectively respond to technology risks and uncertainty, developed countries are accumulating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echnology, developed countries are trying to reach a consensus by convincing all the stakeholders and involving them in active discussions. However, the analysis of technology risk governance system shows differences by country.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Korea is still lacking knowledge and experts in technology and the process of securing legitimacy and consensus is neither democratic nor open. In fact, Korea has been lacking awareness of technology risks and potential technology failures. Rather, the country has long been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eing preoccupied with the "catch-up" model as a late-comer. As result, procedural legitimacy has often been ignored, creating a hole in risk management and regulations. Therefore, Korea now needs a major shift in its perspective and approaches when looking at technology risks, not simply from the framework of "development" but from the framework of "development and safety together." 본 연구는 기술위험의 유형과 관리전략, 그리고 국가 간 기술위험 거버넌스의 차이를 광우병(BSE)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광우병은 광우병 발생 원인, 감염경로 등이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며, 광우병의 발병과정 뿐 아니라 이 병이 사람에게 전염되는 과정도 분명치 않다. 이런 점에서 광우병 사례는 기술지식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독특한 위험 관리 전략을 살펴볼 수 있는 적절한 사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광우병의 기술위험 관리는 광우병의 원인과 이에 대한 치료책을 찾기 위해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고 연구기관의 위상을 강화하는 등 지식 추적을 위한 노력이 한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육골분 사용 금지, 광우병 감염 지역 소에 대한 수입 금지, 되새김 동물 등에 대한 감시 프로그램 강화, 원산지표시제도나 쇠고기이력추진제 등을 통한 소비자에게 올바른 구매 정보 제공, 소비자 중심의 식품안전 행정일원화 등을 다양한 노력을 통해 각 관련 주체들의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광우병을 어떻게 정확히 진단해낼 것인가, 쇠고기의 급식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해 갈등을 드러나고 있다. 전문가 중심에서 벗어나 일반대중과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강조되고 있으나 광우병에 대한 지식 창출과 확산은 여전히 전문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각 국가가 처한 기술위험 거버넌스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유럽은 예방적 접근에서 대응이 이루어진 반면, 미국은 경제적인 논리와 시행착오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후발국가의 전형적인 위험관리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광우병에 대한 지식 축적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광우병을 둘러싼 갈등 관리도 미흡한 상태이다. 광우병에 대한 위험 여부를 일반대중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며, 국민 건강보다는 국익과 경제발전 위주로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갈등 관리 전략 또한 문제를 회피하거나 정부가 일방적으로 강행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 단체도 제도화된 형태가 아닌 기자회견, 반대집회 등 전면전으로 치달으면서 서로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KCI등재

        새로운 혁신 모델로서 대학 리빙랩(Living Lab) 사례 분석

        성지은,한규영,송위진,김민수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2

        This paper aims at the case study on the Living Lab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suggests applicability and policy challenges on Living Lab of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case of foreign universities, it analyzes the background, business objectives, contents, and results of Living Lab. This study would conduct as multiple case studies which examine incidents about Living Lab of university. The research on Living Lab still remains at an early stage and does not fully related with theories. Thus, theoretical-forming studies are needed rather than theoretical-verifying one for the present. Ultimately, it tries to suggest the significance and improvements of Living Lab of university in order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Living Lab. Nowadays, experiments about Living Lab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have diverse implications. ①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oncept for re-establishing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②It can create a new model of education and research innovation. ③Living Lab of universities can be utilized as a means of identifying problems and needs that community should resolve as promoting their participation. Finally, it can make momentum for innovation in universities through Living Lab;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share a common vision among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ies and to create a consensus on the innovation.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혁신 플랫폼인 대학 리빙랩의 특성을 논의하기 위해 국외 대학과 국내대학의 리빙랩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리빙랩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고 관련 이론도 발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이론 검증적 연구보다는 이론 형성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다중 사례연구를 통해 대학 리빙랩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양상을 분석하고, 대학 리빙랩의 의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의 리빙랩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①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재정립을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② 교육 및 연구혁신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다. ③ 지역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와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이자 이들의 참여 방안을 끌어내는 방법론으로서 대학 리빙랩을 활용할 수 있다. ④ 대학 내외부 주체들 간의 공통 비전을 공유하고 전환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리빙랩 활동을 통한대학 혁신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바티니에프의 원리로 본 오행경혈기무의 움직임 분석

        성지은,심혜경,윤미라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신체심리연구 Vol.6 No.2

        This study quested importance of body movement through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Bartenieff Fundamentals(BF), discourse about basic principles of movement and contents of interview recorded in the course of practice that have been preceded so far, and found out 4 subjects and basic principles of body movement in addition to basic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 developmental model included in the movement of Five Elements Meridian Point Qi Dance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BF, and analyzed them from various angles. As a result,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e way that it suggested academic diversity for dance/movement therapy as well as research of Korean dance/movement therapy using Qi (energy) by discovering that BF and Five Elements Meridian Point Qi Dance have similarity with and exert influence on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ity of body and mind pursuant to the body and mind monism. 본 연구는 현재까지 선행된 바티니에프 기본원리와 오행경혈기무에 관련된 문헌과 서적 그리고 기본원리에 대한 움직임의 담론과 실습과정에서 기록된 인터뷰 내용을 통하여 신체 움직임에 대한 중요성을 탐색하고 바티니에프의 기본원리를 기초로 하여 오행경혈기무의 원리와 움직임에 포함되는 신체 움직임의 4가지 논제, 기본원칙, 발달모형의 기본 개념과 특성을 알아내어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 결과 심신일원론에 따라 바티니에프의 기본원리와 오행경혈기무는 신체와 마음의 통합성의 관점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고 유사성을 알아냄으로써 본 연구는 기를 활용한 한국 무용/동작치료 연구와 신체 움직임의 무용/동작치료에 대한 학문적 다양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