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 포럼(3) :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초등수학 교과서의 SWOT 분석

        장혜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연구발표대회 논문집 Vol.2014 No.08

        초등 수학교과서의 전개 방식인 스토리텔링이 교육과정 개정의 뚜렷한 이슈로 거론된 지 2 년이 지났다. 이젠 어느 정도 정착이 되었다는 인상마저 들 정도로 초등 수학 수업 실제에 촉 촉히 스며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계의 관점에서 저마다의 입장을 달리했던 도입 당시, 필자는 교수신문에 스토리텔링에 대한 칼럼을 쓰면서 그것이 재미있는 공부를 겨냥한 도구이 므로 목적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 교과서 집필 방식이 아닌 교육방식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은 이미 교사들에 의해 사용되어왔었다는 점 등을 언급하며 ‘스토리텔링 수학’이라는 용어 자체 의 거북함을 피력했었다(장혜원, 2013). 이제 1학년에서 4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스토리텔링 교 과서로 지도하고 있는 시점에서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고 의의 있는 것이며, 그로 인한 피드백은 5, 6학년 교과서 집필시 또는 다음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시 반영 되어야 할 중요한 사안인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수학교과서 집필 방식으로 새롭게 도입된 스토리텔링에 대해 그 적용 및 수업 상황과 관련하여 SWOT 틀1)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에 기초하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장혜원,유미경,박혜민,임미인,이화영,김주숙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학교수학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ing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se results, we analyzed and compared Korean and foreign mathematics textbooks on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to search for desirable methods of organizing the unit of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in mathematics textbooks. For longitudinal analysis, we took the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5th one. For horizontal analysis, we selected the mathematics textbooks of Japan, Singapore, and China. In each textbook, the contents and the order in relation to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the definitions of terminology, and the contexts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s for introducing related concepts are selected as th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many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in ways of dealing contents about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writing the unit of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본 연구는 초등 수학에서 비례식과 비례배분 지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문헌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관련 내용을 종적ㆍ횡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비례식과 비례배분의 적절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종적 분석을 위해 국내의 5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횡적 분석을 위해 일본, 싱가포르, 중국 수학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식과 비례배분 관련 학습 요소 및 지도 순서, 용어의 정의, 개념의 도입 맥락, 도입 시 사용된 시각적 표현을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례식과 비례배분 정의의 선수 학습과의 연결, 비례식과 비례배분의 도입 시 맥락과 지도 순서의 세심한 고려, 다양한 시각적 표현의 사용, 실생활 맥락 속에서 문제 해결 기회 확대의 필요 등 차기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 구성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지도를 위한 이중수직선의 활용 방안 탐색

        장혜원,김주숙,임미인,이화영,유미경,박혜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8 학교수학 Vol.20 No.1

        Although the double number line is regarded as a useful teaching tool not only for the proportional reasoning but also for the content domain of ‘number and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t is hard to find it in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inciples for representing a double number, the advantages of using it, and several problems caused by dealing with it and their solutions, and to design specific plans to apply the double number line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o do these, various related researches were reviewed. Moreover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Japan, Taiwan and Singapor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we extracted the applicable contents of double number lines and suggested specific applicable plans for their teaching practic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levels. Four of them were applied to 4th grade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double number line. 이중수직선은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와 연산뿐만 아니라 비례 추론 관련 학습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적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시각적 표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중수직선의 특성과 활용 원리, 이점 및 사용 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 해결 방안 등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수학 지도 시 이중수직선을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이중수직선을 수학 교과서에서 이용하는 일본, 대만, 싱가포르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이중수직선이 활용 가능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구체적인 활용 방안 사례를 제시하였고, 이 중 네 가지를 실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질적 분석함으로써 이중수직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분석

        장혜원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6

        In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develops and industry diversifies, students can choose from a variety of career paths. Sinc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require a longer education and experience than other fields, it is important to design science education policies based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occupa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defi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and STEM occupations and identifies core competencies of STEM occupations using standard job information operated and maintained by the US Department of Labor (O*NET). We specially analyzed ratings of the importance of skills (35 ratings), knowledge (33 ratings), and work activities (41 ratings)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s a result, core competencies of STEM occupations consist of STEM problem-solving competency, Management competency, Technical competency, Social service competency, Teaching competency, Design competency, Bio-chemistry competency, and Public service competency, which accounts for 70% of the total variance.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for setting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goals in secondary and college education by showing the d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ccupations 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TEM occupations.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이 발전하고 산업이 분화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오랜 교육과 경력이 필요하므로 과학기술 직종에 필요한 역량에 기반을 두어 과학교육정책을 설계하고, 학습자가 가진 능력과 적성에 맞는 과학기술 진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 인력과 STEM 직종에 대한 정의를 탐색하고, 미국 노동부에 서 운영 및 관리하는 표준 직업 정보(O*NET)를 사용하여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O*NET의 숙련, 지식, 직업 활동으로 구성된 총 109개의 지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은 STEM 문제해결 역량, 관리역량, 기술 역량, 사회 서비스 역량, 교육 역량, 설계 역량, 생물·화학 역량, 공공서비스 역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전체 분산의 70%를 설명한다. 이 연구는ᅠ과학기술직종의 다양성과ᅠ과학기술 직종에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어 중등 및 대학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목표를 설정하는데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개인의 적성에 맞는ᅠ개별화된 과학진로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본 차시와 단원평가 간 연계 분석

        장혜원,임미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9 학교수학 Vol.2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본 차시와 단원평가를 상호 연계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계가 미흡한 부분을 파악함으로써 수학 교과서의 단원평가 차시 집필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5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는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의 본 차시와 단원평가의 연계성을 내용과 표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본 차시에서는 다루었으나 단원평가에서는 제시하지 않은 내용, 본 차시에서 다루지 않았음에도 단원평가에서 제시한 내용, 본 차시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한 경우를 분석틀로 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한 논의로부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집필 시 단원평가 구성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lignment between main lessons and unit assessment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writing the unit assessments of mathematics textbooks. To do these, we investigated the related research, and from the viewpoints of contents and representations analyzed the alignment between main lessons and unit assessment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Korea since the 5th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alignment did not hold properly. To be more concrete, the learning contents that were not covered by the unit assessment, the contents of unit assessments that were not covered by the lesson, and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between the main lessons and the unit assess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were drawn for composing the unit assessment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KCI등재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for terbutryn using gas chromatography/ion trap,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and liquid chromatography/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s

        장혜원,이장호,최현욱,남태규,김승현,이광근 한국식품과학회 2018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7 No.5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ion-trap (GC/IT) with scan and MS/MS mode, a GC/mass selective detector (GC/ MSD), and liquid chromatography/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s (LC/MS/MS) were optimized to identify and quantify terbutryn. The spike recovery was 96.5% using GC/IT with scan mode and 103.5% with MS/MS mode, 90.3% by GC/MSD, and 92.5% by LC/MS/MS. The limit of detection (LOD) was 0.0015 mg/kg by GC/IT with scan, 0.026 mg/kg with MS/MS mode, 0.015 mg/kg with GC/ MSD, and 0.026 mg/kg by LC/MS/MS. Of the four methods, GC/IT with scan mode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sensitive (with LOD: 0.0015 mg/kg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0.0047 mg/kg), rapid (retention time: 9.6 min) and the most precise metho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17%) for the quantification of terbutryn. GC/IT with scan mode proved to be the more sensitive analytical method for terbutryn than other methods in this study, showing better accuracy and rapid analysis.

      • KCI등재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에 관한 탐구

        장혜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 유도하는 음악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어떠한 음악의 특성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어떠한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지에 초점을 둔 질적연구이다. 연구는 4명의 장애아동과 5명의 일반아동이 함께 15회 기간 음악활동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데이터로 수집하기 위해 관찰과 구술 인터뷰가 실시되었고 데이터분석은 상시 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의 특성들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모두 참여하기, 함께 즐기기, 협력하기와 같은 사회적 관계를 유도하는데 첫 번째, 모두 참여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친숙한 멜로디, 간단한 가사, 익숙한 악기소리, 단순한 구조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해지는 음악구조이었다. 두 번째, 함께 즐기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반복되는 멜로디, 재미있는 가사, 템포의 변화이었다. 세 번째, 협력하기를 유도한 음악의 특성은 변하지 않는 템포, 신호인 악기소리, 반복되는 가사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음악활동에서 어떠한 사회적 관계가 도출되며 이를 유도하는 음악의 특성이 어떤 것인지를 제시하므로 기존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인 음악활동에서 보다 세밀한 중재 전략으로 음악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sic elements which influenced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rmal peers during group music activities. A total of nine children (4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5 normal peers) participated 15 group music activities. Observation record and oral interview were made to get data from each activity, and all time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earch results, musical elements induce social relations such as joint engagement, enjoyment, and cooper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First,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joint engagement are familiar melodies, simple lyrics, familiar instrument timbres, and musical structure that change gradually from simple structure to complex structure. Secon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enjoyment are repeated melodies, interesting lyrics, and change of tempo. Third, musical elements that induce cooperations are unchanged tempo, instrument timbre, and repeated lyrics. As meanings of the research, it presents which social rela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s are shown and which musical elements affect these social relations. And so it is suggested that musical elements as more precise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needed for music activities, current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연산법칙의 지도 방안 탐색

        장혜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1

        연산법칙은 산술 학습을 위해 계산 원리 파악 및 효과적인 계산 전략 개발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초등학교에서 초기 대수 지도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더불어 연산에 대한 직관적 관념 및 구조적 이해를 위해 연산법칙 자체에 대한 탐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연산법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연산법칙을 가정한 후속 학습시 학습 곤란과 오개념 형성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연산법칙이 다루어지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연산법칙의 바람직한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에 따른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어떤 연산법칙이 어느 시기에 어떤 방법으로 지도되어 왔는지를 비교하고 연산법칙을 가정하는 내용 전개 사례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한 논의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수학에서 연산법칙의 지도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roperties of arithmetic are considered a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alculation and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calcul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anks to agreement on early algebra. Therefore elementary students’ mis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of arithmetic might cause learning difficulties as well as misconcepts in their following learning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elementary teachers a par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he properties of arithmetic and to induce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properties of arithmetic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do thi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ince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were analyzed. These results from analysis show which properties of arithmetic have been taught, when they were taught, and how they were taught. Based on them,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desirable teaching of the properties of arithmeti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