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별호] 민간부패 대응을 위한 부패의 법적 개념과 범위 확장에 관한 탐색

        최진욱 한국인사행정학회 2021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0 No.4

        이 논문은 민간부패의 예방과 통제에 관한 국가 개입의 필요성과 그 방향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민간부패가 기업의 재산상의 손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재화와 서비스의 품질을 떨어뜨려 소비자 후생을 감소시키고,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여 시장의 질서를 왜곡하며, 궁극적으로 시장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는 등 그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학술적 연구와 개별 국가, 국제 차원의 반부패 노력은 공공부패에 집중된 반면, 민간부패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민간부패의 폐해와 심각성이 효과적으로 통제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이 논문은 민간부패에 대한 국가 대응의 필요성을 전제로 보다 실효성 있는 민간부패의 예방과 통제를 위한 개선방안을 몇 가지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이를 통해 민간부패에 대한 법적 정의의 명문화, 민간부패 실태에 관한 측정, 공공부패와 민간부패 행위에 대한 법적 규율의 일원화 그리고 민간부패 행위 범주에 대한 법규의 구체화를 제안하였다.

      • SCOPUSKCI등재

        1996년 대전시 서북부에서 발생한 A형 급성 간염

        최진욱,이경일,이동준,한지환,황성수,이경수,Choi, Jin-Ook,Lee, Kyung-Yil,Lee, Dong-Joon,Han, Ji-Whan,Hwang, Sung-Soo,Lee, Kyong-Su 대한소아감염학회 199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4 No.1

        목 적 : 과거 소아기 간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A형 간염은 경제 발전에 따른 보건 위생 상태의 호전으로 최근 소아에서 점차 성인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며 소아기에서 보기드문 질환이 되었다. 저자들은 치근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A형 간염의 환아에 대한 임상 및 역학적 연구로 A형 간염에 대한 관심을 다시 주지하고 폭발적 발생 가능성에 대비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에 입원한 급성 A형 간염환아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발생시기, 발생지역, 성별, 연령, 임상증상 및 검사실 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발생시기는 7월, 8월, 9월에 각각 6례, 16례, 2례로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였으며(76%), 10월에 1례, 12월에 6례가 발생하였다. 2) 발생지역은 대전 서구가 27례로 87%를 차지했으며 특히 도마동에서 18례(58%)가 발생 하였다. 3) 발병 연령은 3세 이하는 없었으며 4~5세가 3명, 6~10세가 13명, 11~15세가 15명이었고, 남녀의 비는 1.4:1이었다. 4) 입원시의 주된 증상(symptom)으로는 짙은 소변 (83%), 오심 및 구토(74%), 식욕부진 (68%), 상복부통(65%), 발열(54%), 피로감(41%)이었으며, 그외 소양감(22%), 두통(19%), 관절통(6%), 변비(6%), 설사(6%), 어지러움(3%) 등을 보였고 입원하기 전까지의 증상 지속기간은 펑균 5.3일이었다. 징후(sign)로는 황달(77%), 간비대(90%)와 비장비대(48%)가 촉진 및 초음파 검사로 관찰되었다. 5) 검사실 소견으로 입원시 AST, ALT의 굉균치는 각각 910IU/dl, 1239IU/dl, ALP (alkaline phosphatase)는 856IU/이었으며, 입원중 최고 총빌리루빈치의 평균치 5.6mg/dl(직 접 빌리루빈 4.8mg/dl)이었다. 대부분 1달 후 정상화 되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보인 증례 는 없었다. 결 론 : 소아에서의 A형 간염은 중한 합병증이 없이 회복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오염원에 의해 전염성 A형 간염이 폭발적으로 발생(outbreak)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형 간염 항체의 역학적 연구를 통해 예방 접종의 필요여부 결정 및 오염원의 제거 등 예방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Recently a shift in hepatitis A incidence from children to adults has been well noted. We experienced under 15-years old 31 patients who presented hepatitis A infection. In order to prepare for the prevention on hepatitis A outbreak in the future, we studied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 manifestations of these patients. Methods : We enrolled patients from July to December in 1996 (6 months) and evaluated the monthly incidence, geographical distribution, age and sex, and clinical manfestations, including laboratory fadings. Results : Many cases of hepatitis A occured in the summer months, especially August (16/31 cases). Most of patients (87%) were living in the Seo-Ku area (northwest district of the city). In age distribution, there were no cases under 3 years of age, 3 cases from 4~5 years, 13 cases from 6~10 years, 15 cases from 11~15 years. Clinical profiles showed that dark urine, nausea and vomiting, anorexia, abdominal pain, fever, and fatigue were the common presenting symptoms. The initial presenting laboratory tests included total bilirubin 3.3mg/dl, alkaline phosphatase of 856units/L, and serum aspar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lransferase levels of 910IU/L and 1239IU/L, respectively. No patient presented atypical clinical courses or complications. Conclusions : Hepatitis A in children shows benign clinical featur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another outbreak of Hepatitis A in the TaeJon area or elsewhere in the near future Korea will be possible. To prevent an outbreak we will be concerned about the anti-HAV IgG prevalance rate in children and preventive modalities including vaccination against hepatitis A.

      • KCI등재

        단채널 GaAs MESFET 및 SOI구조의 Si JFET의 2차원 전계효과에 대한 해석적 모델에 대한 연구

        최진욱,서정하,지순구,최수홍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2 No.1

        In this paper, it is attempted to provide a unified explanation for typical short channel GaAs MESFET's and SOI- structured Si JFET's behaviors such as: i) drain voltage-induced threshold voltage roll-off, ii) finite output ac resistance beyond the saturation, and iii) weak dependence of the drain saturation current on the channel length. Replacing the conventional GCA with a new assumption that is suggested in order to include the longitudinal field vari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the channel current continuity and the field-dependent mobility, we can derive the two-dimensional potential in both depletion region and undepleted conducting channel. Obtained expressions for the threshold voltage and the drain current will be considerably accurate over the entire operating region. Moreover,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channel length shortening models, our model seems to be more reasonable in explaining the Early effect. 본 논문에서는 단 채널 GaAs MESFET과 SOI-구조의 Si JFET가 갖는 전형적인 특성: i) 드레인 전압 인가에 의한 문턱전압 roll-off, ii) 포화영역에서의 유한한 ac 출력저항, iii) 채널길이에 대한 드레인 포화전류의 의존성 약화, 등을 통합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해석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채널 방향의 전계 변화를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정을 기존의 GCA와 대체하고, 채널의 전류 연속성과 전계-의존 이동도를 고려하여, 공핍영역과 전도 채널에서 2차원 전위분포 식을 도출해 내었다. 이 결과, 문턱전압, 드레인 전류의 표현 식들이 동작전압 전 구간의 영역에 걸쳐 비교적 정확하게 도출되었다. 또한 본 모델은 기존의 채널 shortening 모델에 비해 Early 효과에 대한 보다 더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 MAO에 의해 B를 도핑한 광촉매용 TiO₂의 제조 및 특성

        최진욱,정용수,오한준,지충수 한국표면공학회 2009 한국표면공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09 No.10

        최근 환경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촉매를 이용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광촉매를 제조하기 위해, 전기화학적인 방법인 양극 산화법을 사용하여 기지 Ti 금속 표면에 기공성 형태의 광촉매용 TiO₂를 제조하고, 염료분해 반응을 통해 광촉매의 효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염료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해 H₃(BO₃)₃ 를 첨가하여 염료분해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