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 콜레스테롤 식이 및Cholic Acid 로 유발된 생쥐의 담석 형성 및 담낭의 전자현미경적 형태 연구

        최상욱,정규원,이영석,선희식,한남익,이창돈 대한간학회 2000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6 No.3

        '목적: 콜레스테롤과 콜산 식이를 장기간 투여하여 유발되는 담석 형성 과정 및 담낭 상피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함으로써 담석 형성 과정을 간접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생쥐 40마리를 고 콜레스테롤 콜산 식이를 먹인 후 2주 간격으로 10마리씩 희생 시켜 담낭 및 담즙 내용물의 변화를 주사 및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8주 동안 관찰한 후 대조군과 비교했다. 결과: 담석 형성 과정은 처음에는 작은 결정, 미석이 모여 크게 응집되어, 담석괴(concretion)를 형성하고, 일부는 용해 되면서 커다란 담석이 형성됨을 관찰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상 고 콜레스테롤- 콜산 식이를 장기간 투여시 담낭 세포 표면에 점액 충전물 혹은 잔설이 점막 표면에 덮이고, 여기에 콜레스테롤 결정이 핵화되어 담석이 형성되는 양상을 보였다. 첨단부 돌출이 있는 부위에서는 점액과 미융모가 뭉쳐져 양배추 꽃 또는 부정형의 백색 구형 물질을 형성해 담낭 상피 세포 위에 붙어 있었다. 투과 전자 현미경상 담낭 상피 세포에서 세포질 내 지방 소적이 증가되었다. 또한 세포 내 지상 돌기가 뚜렷했으며, 첨단부 분비 과립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담낭 상피 세포에서는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관찰되었으며, 밝은 세포에서는 수성 변성과 세포 괴사가 관찰되었다. 결론: 고 콜레스테롤-콜산 식이를 장기간 투여하면 담석의 핵화 또는 성장에 영향을 미쳐 담석 형성이 유발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되며, 또한 담낭 상피 세포에서의 점액 분비 증가가 담석 형성의 유발 인자 중의 하나로 생각되며, 분비된 점액과 담석과의 관계는 향후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quot; Background/Aims: The experimental production of cholesterol gallstone suggests that alteration of the nature of gallbladder mucus may be a factor in the induction of gallbladder ston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changes of the gallbladder epithelia and the role of a high cholesterol-cholic acid diet (CCD) in the formation of the gallstones. Method: Forty mice were fed on a diet of natural 1% high-cholesterol egg yolk and 2.5% cholic acid for 8 weeks. The mice were sacrificed biweekly and followed up for 8 weeks. The gallbladder tissues and bile were prepared for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We observe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epithelia and the sediments of the gallbladder bile with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Results: 1) Process of Gallstone formation in bile: At the 2nd week in mice fed with CCD, the crystals grew up by appositional layering into monoliths and then by aggregation into mulberry-shaped stones. At the 8th week many stones and numerous concrements were observed. 2)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In mice fed with CCD, the scattered whitish patches of epithelial cell surfaces exhibited the cauliflower-like apical protrusion secreting mucin. These protrusions appeared to be swellings of the apical plasmalemma and they were mixed with the mucus and microvilli. 3)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indings: At the 2nd week, numerous electron lucent secretory granules were observed in the apical zone of the epithelial cells. Increased numbers of fat vacuoles were also observed in the basal area of epithelium. Two types of cells were observed in the lining epithelium: dark and light cell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ong-term administration of CCD, and the resultant increased secretion of glycoprotein from gallbladder epithelial cells, could be a factor in the induction of the gallston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과음의 선별을 위한 생물학적 표지자의 임상적 유용성

        최상욱,김종성,김성수,정진규,김성민,임철순,이선희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6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biological indicators in identifying Korean female heavy drinkers. Methods: Fifty five drinking women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We surveyed the alcohol intake during the recent one month. The correlation of alcohol intake with %CDT (carbohydrate- deficient transferri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gamma glutamyl transferase (γG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as examin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the biomarkers for heavy drinking (more than 7 drinks per week, one drink= 14 g of alcohol)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weekly alcohol intak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DT (r=0.583, P< 0.01), MCV (r=0.290, P<0.05) and AST (r=0.423, P<0.01). The sensitivity of %CDT, MCV, γGT, AST and ALT to heavy drinking were 66.7%, 13.3%, 40.0%, 26.7% and 26.7%, respectively, and the specificity 80.0%, 97.4%, 71.1%, 90.0% and 85.0%, respectivel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55.6%, 66.6%, 35.3%, 50.0% and 40.0%, respectivel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86.5%, 74.5%, 75.0%, 76.6% and 75.6%, respectively. The areas under the ROC curve (95% confidence interval) of %CDT, MCV, γGT, AST and ALT were 0.873 (0.780∼0.966), 0.806 (0.668∼0.944), 0.549 (0.372∼0.725), 0.519 (0.328∼0.710) and 0.479 (0.293∼0.666), respectively. Conclusion: %CDT is considered as the most useful marker for identifying Korean female heavy drinkers.(J Korean Acad Fam Med 2008;29:412-417) 연구배경: 본 연구는 여성에서 과음을 선별하는 검사로서 생물학적 표지자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가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음주 여성 55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최근 1개월간의 주당 평균음주량을 조사하여 7잔 이하의 적절 음주군(40명)과 7잔을 초과하는 과음군(15명)으로 나누었다. Carbohydrate-deficient transferrin (%CDT), mean corpuscular volume (MCV), gamma glutamyl transferase (GG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음주량에 대한 상관성, 과음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조사하였다. 결과: 주당 평균음주량에 대해 %CDT (r=0.583, P<0.01), MCV (r=0.290, P<0.05), AST (r=0.423, P<0.01)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과음에 대한 %CDT, MCV, GGT, AST, ALT의 민감도는 각각 66.7%, 13.3%, 40.0%, 26.7%, 26.7%, 특이도는 각각 80.0%, 97.4%, 71.1%, 90.0%, 85.0%, 양성 예측도는 각각 55.6%, 66.6%, 35.3%, 50.0%, 40.0%, 음성 예측도는 각각 86.5%, 74.5%, 75.0%, 76.6%, 75.6%이었다. %CDT, MCV, GGT, AST, ALT의 ROC curve 아래 면적(95% 신뢰구간)은 각각 0.873 (0.780∼0.966), 0.806 (0.668∼0.944), 0.549 (0.372∼0.725), 0.519 (0.328∼0.710), 0.479 (0.293∼0.666)로 %CDT가 가장 높았고 ROC curve에 의한 %CDT의 절단치는 2.53이었다. 결론: 여성과음의 선별을 위해서 %CDT가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