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TCA 로 방추가공한 면직물의 수착 성질 및 물리적 성질의 연구

        최연주,유효선 한국의류학회 1998 한국의류학회지 Vol.22 No.4

        Cotton fabrics were treated with BTCA, which is used to improve the wrinkle recovery property of cotton fabrics. BTCA, with varying its concentrations, was treated on cotton fabrics by pad dry-cure technique. BTCA contents in treated cotton fabrics were determined by the weight gain and the FT-IR spectrometer. The effects on the sorp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BTCA treated fabrics were investigated. IR spectra showed that ester-crosslinks were produced in BTCA treated cotton fabrics. And a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BTCA, ester-crosslinks are increased in amorphous regions of fabrics. Moisture regain and water imbibition of treated fabrics were reduced. But, they were increased over a certain concentration. Dye sorptions also were reduced, but they were similar over 6% BTCA. When BTCA was treated on cotton fabrics, DP rating and wrinkle recovery angle were improved. On the other hand, strength retentions of treated fabrics were lower than untreated fabrics. Stiffness was increased.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탐구 - 자서전적 방법을 적용하여 -

        최연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Now that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is stressed as an alternative of technological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teachers should make s self-reflection and have a self-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and expand the reflective a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s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engaged in autobiographical writing. In facilitating the efforts of pre-service teachers to make sense of their external experiences, we encouraged them to internalize those experiences through their autobiographies. The writings were analyzed the connections between life histories and how pre-service teachers think about teaching, teacher role identity and their practices in the classroom. The findings were meaning of experiences with parents, experiences with teachers and school experiences. Especially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with teachers. Family and early childhood experiences significantly affected pre-service teachers' teacher role identity. Finally, We must give pre-service teachers a basis for acknowledging and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ir previously unexamined, tacit beliefs. And we must structure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alternatives. 본 연구는 기술공학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이 과거 자신의 삶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고 미래의 교사로서의 모습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삶 전반과 교육적 경험 속에서 아동으로서, 학생으로서, 예비교사로서 어떤 경험을 해왔으며 그것이 장차 교사로서 교육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신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이에, 연구방법이자 교수방법으로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를 진행하였고 자서전을 통해 나타난 경험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거의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으로서 부모와의 경험, 교사와의 경험, 학교에서 경험했던 특별한 사건들을 기억했고 이는 자신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 모델로 반영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자신의 역할과 행위를 인식하고 재구성해나가는 교사의 삶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하나의 대안적 가치를 갖는다고 판단되며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보다 실제적이고 다양한 시도가 후속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推量,樣態表現の習得に關する硏究 -L2學習者の「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そうだ」に着目して-

        최연주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3 日本語敎育 Vol.65 No.-

        本硏究は推量·樣態を表す日本語の助動詞「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そうだ」を對象にL2學習者がそれらをどのように習得していくのか、その出現や接續、競合など習得の諸相を明らかにし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L2學習者の結果は下記のようにまとめられる.(1)L2學習者の推量·樣態表現においては「みたいだ」の使用が最も多く、「らしい→ようだ→そうだ」の順で使用が多く見られる.これらの習得順序は、槪ね「みたいだ(または「ようだ」)→そうだ→ようだ(または「みたいだ」)→らしい」の順になるが、學習者それぞれによってその順序は多少異なる. (2)L2學習者の推量·樣態表現の習得には「特定の使い分けの基準」が存在し、その基準は主に形式による使い分け(共起する品詞、置かれる位置)によって構成される.(3)L2學習者の推量·樣態表現の習得における「特定の使い分けの基準」は、學習初·中期段階に主に使用され、學習が進むにつれその基準は次第に緩くなる.(4)L2學習者の推量·樣態表現の習得における(1)~(3)の傾向は、母語が異なる學習者に共通して見られる.このように、L2學習者は推量·樣態表現を表す4つの形式を倂用·競合·變化·定着させるという一連のストラテジ-を用いながら習得していき、このプロセスの中で共起する品詞、置かれる位置という形式要素がその習得に强く關與していると言える.このような學習者の中間言語の存在は、今後の習得硏究の在り方を再認識する必要性を示してくれるものであると考えられる.

      • KCI등재

        설계업무 현황파악을 통한 설계관리 중점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최연주,이준성,배정익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10

        Recently, increase in number of participants in a architectural design projec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and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key factors in design management for the optimization of design process. A survey on current situation of design process is performed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propose key factors for design management.Key factors are derived from three categories - task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Detailed guidelines on how to manage key factors efficiently are suggested. Further research wil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pplicable solution and specialized management system not only for the key factors in design management but also for the optimization of overall design process.

      • KCI등재

        종단적 발화데이터로 본 중국인 일본어학습자의 문법처리과정- 역접의 접속조사 「が・けど」를 중심으로 -

        최연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0 No.-

        In this study, we looked at and analyzed the firing data of Chinese Japanese learners learning Japanese in Japan, and looked at what intermediate languages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between the two items shown in the use of the access survey “ga and cado” was throug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cquisition of “ga and kedo” by Chinese learners is centered on “kedo”. (2) The acquisition of “ga and kedo” by Chinese learners depends on the type of access to the preceding paragraph. (3) The acquisition of “ga and kedo” by Chinese learners depends on the location in the statement. (4) The acquisition of “ga and kedo” by Chinese learners depends on the meaning of the ignition. (5) The pattern of acquisition of “ga and kedo” by Chinese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show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일본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일본어 학습자들의 발화 데이터를 종단적으로 관찰 및 분석하여 접속조사 「が・けど」의 사용에 나타난 두 항목 간의 구별 전략이 어떠한 중간언어를 통해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인 학습자의 「が・けど」의 습득은 「けど」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 중국인 학습자의 「が・けど」의 습득은 전항에 접속하는 형식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3) 중국인 학습자의 「が・けど」의 습득은 발화문 내 위치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4) 중국인 학습자의 「が・けど」의 습득은 발화의 의미 용법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5)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습자의 「が・けど」의 습득 패턴에는 보편성과 개별성이 나타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어 학습자의 산출 태스크를 통해 본 「から」 「ので」의 습득 경향 - 발화 및 작문 태스크를 중심으로 -

        최연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학 Vol.58 No.-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모어를 지닌 일본어 학습자가 접속조사 「から」와 「ので」를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그 사용 경향을 태스크의 종류별로 분석하여 구별적 사용에 태스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습득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일본어 학습자의 「から・ので」의 습득은 태스크의 종류에 관계없이 「から」를 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발화 태스크에 비해 작문 태스크에서 「ので」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2)일본어 학습자의 「から・ので」의 습득은 학습자의 모어에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즉 「から・ので」는 보편적 습득 과정을 지니는 문법항목이라 할 수 있다. (3)일본어 학습자의 「から・ので」의 습득에는 문체적 요소와의 결합에 의한 유닛이 관찰되며, 이러한 유닛은 태스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4)일본어 학습자의 「から・ので」의 습득에는 문장 내에서의 위치 요인이 관여하고 있으며, 구별적 사용 경향은 태스크에 상관없이 나타난다. (5)일본어 학습자의 「から・ので」의 습득에 나타나는 유닛은 작문 태스크보다 발화 태스크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 KCI등재

        종단적 발화데이터로 본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문법처리과정 - 접속조사 「が・けど」를 중심으로 -

        최연주,윤상한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5 No.-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end-to-end how Korean Japanese learners in JSL environment use access surveys "ga" and "kedo" that signify backward contact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tim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hree learn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se of "ga" and "kedo" by Korean JSL environmental learners is represented by certain items, i.e. "kedo," as an axis. However, not all learners use "kedo" a lot throughout the learning period, but the use rate of "ga"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learning periods in the early and late learning periods. (2) The Korean JSL environment learners had distinct differences in use depending on the items accessing "ga" and "kedo". In the case of "ga," there was a high rate of access to items such as "i-types," type Ta" and "Type N," while in the case of "ked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but they were being used evenly in various items. (3) Within the conflagration of the use of "ga" and "kedo" by Korean JSL environmental learners, the corresponding grammar items tended to be us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 which they were used. However, this trend is somewhat different for learners, with "ga" representing ‘question’ and "kedo’ representing the opposite tendency, while some learners used to ‘sticking the sentences’. (4)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semantic uses in which "ga" and "kedo" are used, "ga" tends to be used primarily as a ‘reverse/contrast’ or ‘parallel’ use, but "kedo" is used in a relatively diverse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