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아석 김종대(1873~1949)의 1926년 작 ≪밀양십경도≫ 고찰- 소눌 노상직(1855~1931)의 밀양 강학 공간의 시각적 형상화 -

        강영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This article is a study of Ten Scenes of Miryang(密陽十景圖), the collection of the Gahoe Folk Painting Museum, produced in 1926 by Japanese colonial era Aseok Kim Jong-dae(我石 金鍾大, 1873~1949). Therefore, first, we looked into the life of Kim Jong-dae, a literary calligrapher who lived in a period of dynamic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Japanese colonial era. Despite the disconnection of tradition and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he tried to protect the Confucian culture of the Yeongnam(嶺南) region with traditional writing and painting. The people who influenced Kim Jong-dae's thoughts, studies, and arts were Noh Sang-jik(盧相稷, 1855~1931), who made him draw Ten Scenes of Miryang, Baejeon(裵婰, 1843~1899), a relative who influenced paintings and writings, and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Next, we looked into the calligraphy activities of writers who maintained the tradition of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實景山水畵) through a tour of scenic spots such as himself, his family's residence, and GeumgangMountai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trend of painting Miryang's scenic spots and the trend of painting one's residence in scenic spots influence Kim Jong-dae's Ten Scenes of Miryang. Finally, Noh Sang-jik recognized 「Jaegasesipcheondobyeong(題家世十遷圖屛)」, which recorded his ancestors and residences. In addition, Noh Sang-jik considered 「JejaamseodangSipgokdobyeong(題紫巖書堂十曲圖屛)」 in which he sang a scenic spot in Miryang and his lecture space, Jaamseodang.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Jong-dae's Ten Scenes of Miryang, which produced this painting, were examin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rend of Miryang scenic spots and writers painting their residences influenced street workers. And in 1926, Noh Sang-jik wrote 「JejaamseodangSipgokdobyeong(題紫巖書堂十曲圖屛)」 to commemorate the reconstruction of ‘Jaamseodang(紫巖書堂)’, and asked Kim Jong-dae to paint and Ten Scenes of Miryang was born. 이 글은 아석 김종대가 1926년 제작한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밀양십경도≫의 내용과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그는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국내외적으로 역동의 시기를 살았던 문인서화가로 전통의 단절과 서구 문명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영남지역의 유교문화를 전통적인 글씨와 그림으로 지키려 했던 인물이었다. 김종대의 사상과 학문, 예술에 영향을 준 인물은 그에게 ≪밀양십경도≫를 그리게 했던 노상직, 그림과 글씨에 영향을 준 외종조부 배전, 흥선대원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김종대는 서화 제작 및 금강산을 비롯한 명승지 유람 등의 활동을 통해 실경산수화 및 문인서화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밀양의 명승지를 그림으로 그리는 풍조와 거주지를 명승에 담아 그리는 유행은 김종대의 ≪밀양십경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노상직이 자신의 조상과 유거지를 기록한 「제가세십천도병」의 제작과 성격을 살펴보면 밀양의 명승지와 자신의 강학 공간인 자암서당 등을 노래한 「제자암서당십곡도병」의 제작 목적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그림으로 제작한 김종대의 ≪밀양십경도≫는 노상직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면서도 화법은 당시 지방의 전통적인 실경산수화풍을 취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대기 문인들이 밀양 명승지 및 자신의 주거지를 그리는 풍조가 노상직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노상직은 1926년 자암서당의 중건을 기념하기 위해 밀양의 명승지와 자신의 강학 공간에 대한 시를 썼고, 동향이며 제자인 김해의 문인서화가 김종대에게 그림을 부탁하여 ≪밀양십경도≫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열하일기』 <이별론>에 나타난 장소 인식 연구 - 생(生)ㆍ경험ㆍ장소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강영주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7

        This study explores place perception manifested in the “Farewell Theory”in The Jehol Diary (Yeolha-Ilg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blems of life and experience, and seeks for the possibility of finding consistency with the discourses of The Jehol Diary. First,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s of place and place perception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work. Based on this, it is evident that the discourses on place perception focuses on humans’ dependent characteristics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through place and the conscious characteristics of humans who recognize places as whole landscapes through a multi-faceted and integrated process. Chapter 3 analyzes how place recognition is specifically connected and functions in the text of the “Farewell Theory.”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organically shows the physicality of life, spatiality of experience, and temporality of place. The emphasis on life in the work stems from the issue of Sheng (生) and Qi (氣) regarding the author Yeonam Park Ji-won’s philosophical foundation. The point where an interest in Sheng (生) shifts toward a multipl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ays of existence, life styles, and experiences in The Jehol Diary is a part to be continuously reviewed and identified. 이 글은 『열하일기(熱河日記)』 <이별론(離別論)>에 나타난 장소 인식을 생(生)과 경험의 문제 안에서 탐구하고, 그것이 『열하일기』 전반에 흐르는 사유와 닿아 있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먼저 2장에서 작품을 분석할 방법론으로써 장소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소 인식을 다루는담론들이 장소를 통해서만 경험이 가능한 인간의 의존적 특성과 장소를 다각적이고도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전체적 풍경으로 인지하는 인간의 의식적 특성을 주목한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이별론> 본문에서 장소 인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결되고 기능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이 생(生)의 신체성ㆍ경험의 공간성ㆍ장소의 시간성을 유기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작품에 나타나는 생(生)에 대한 강조는, 작가인 연암 박지원의 철학적 저변에 생(生)과 기(氣)의 문제가 놓인 데서 비롯된다. 생(生)에 대한 관심이 『열하일기』 속에서 인간의 존재 방식과 삶의 양식에 대한 궁구(窮究), 경험에 대한 입체적 이해로 나아가는 지점은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규명할 부분이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곰 설화에 나타난 여성의 위상(位相)

        강영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s purpose is to analyze the status of females in the bear tales in Northeast Asia. Among the Manchu-Tungusic bear tales, generally the woman characters leave the human society and cohabit with the bear. Such women's behavior shows symbolically females more closer to nature than males. The desire of murdering that the man characters experience about the bear and the woman characters presents males more closer to culture than females. Females in the bear tales in Northeast Asia take their posi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culture. Also generally the bears in the Manchu-Tungusic bear tales are the male bears. the male bears have confrontation with males. The male bears completely symbolize the nature and males completely symbolize the culture. Males symbolized the culture have the grab on the bears symbolized the nature by eliminating the male bears. Between males and the bears, originally females have their position in the culture. But increasingly they have their position in the nature by uniting the bears. The woman characters in Korean bear tales are completely identified with the bear from the first. The bear tales in Korea shows definite opposi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culture much more than those in any other country in Northeast Asia. Though The woman characters in Korean bear tales thoroughly equal to the female bears, they are always long for the culture that mankind has built. It shows that females in Korean bear tales are completely subordinate to males symbolized the culture.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곰 설화에서 여성의 위치와 역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의 개념을 빌려와, 동북 아시아 지역 곰 설화에서 곰이 거주하는 공간과 인간인 남성과 여성이 사는 공간을 각각 문화와 자연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전승되는 곰 설화에서 곰이 어떤 상징을 지니고 있으며, 곰 설화의 양상이 왜 서로 유사한지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다음으로 만주-퉁구스족에 전승되는 곰 설화 가운데 남매의 동거와 여성의 이탈이 드러나는 구조를 갖는곰 설화들을 통해 이 민족들이 바라보는 여성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곰과 결합하기를 선택하는 누이의 행동이나 곰과 노는 일에 익숙한 여동생의 성향은 남성보다 여성이 자연과 더 가까운 존재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곰과 여성에 대한 남성의 살해 욕망은 남성을 문화의 자리에 놓고 여성은 자연과 더 가까운 자리에 놓으면서, 자연을 벗어나 인간이 만든 문화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나타냈다. 여성이 인간남성과의 동거를 깨고 자연으로 상징되는 곰과 결합하는 구도에서 곰의 성별이 수컷(남성)으로 기능한다는 사실에도 주목해 보았다. 수곰은 인간남성과 대척점에 서 있으면서 한 쪽은 완전한 자연을, 다른 한 쪽은 완전한 문화를 상징했다. 문화로 상징되는 인간 남성은 자연으로 상징되는 곰을 제거함으로써 문화의 승리와 우월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사이에서 여성은 원래 문화의 자리에 놓여 있다가 곰이 속한 자연의 자리로 옮겨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성은 완전히 자연의 범주에 속하지는 않았다. 여성 역시 자연을 초월하고자 하는 문화의 기획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였다. 곧 동북아시아 곰 설화의 영역 속 여성은 자연과 문화의 중간적 위치에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에 전승되는 곰 설화의 자장(磁場)에서 한국 곰 설화의 위치가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한국의 곰 설화에서 여성은 인간이 아닌 곰의 모습에서 출발했다. ‘여성= 곰’이라는 이야기 구조는 자연과 여성을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놓은 인식세계를 반영했다. 동북아시아라는 큰 틀에서, 한국의 곰 설화는 더 단순하고 분명한 자연과 문화의 대립을 드러냈다. 한국 곰 설화에서 여성은 자연과 문화의 경계자로서 애매모호한 지위를 갖지 않았다. 여성은 완벽히 자연의 본성을 지닌 곰의 모습으로 형상화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내면의 욕망은 완벽히 문화를 향함으로써 여성은 남성으로 상징되는 문화로의 철저한 종속성을 보여주었으며, 본성과 욕망의 괴리 사이에서 비극적 결말을 맞이했다. 그럼에도 한국을 포함한 만주-퉁구스 족의 곰 설화에서 곰과 여성은 비슷한 위치에 놓여 있었으며, 자연과 문화의 대립 및 문화와 남성의 우월성을 구축시키는 양상을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우울에 대한 예술심리치료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강영주,김미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국내의 우울에 대한 예술심리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우울 대상의 예술심리치료 연구에 보다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 보고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11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첫째, 우울과 예술치료에 관련 된 연구가 2001년을 시작으로 2008년부터 증가하였다.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예술심리치료 논문이 없는 것이 특징이었고, 성인대상이 가장 많았다. 또한 의학적 진단을 받은 대상보다 우울성향을 나타낸 일반 대상의 연구가 많았다. 셋째, 이론연구보다 임상연구가 많았으며, 양적연구의 연구유형을 선호하였다. 넷째, 단일집단사례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21명 이상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개별의 경우 21회기 이상, 집단의 경우 11∼15회기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개별, 집단 모두 주 1회를 선호하였다. 연구 기간은 개별 4∼5개월, 집단 2∼3개월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 측정도구는 객관적 측정 도구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술심리치료는 유아를 제외한 아동에서 노인까지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며, 임상현장에서의 활용가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alternative for future art psychotherapy related depress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art psychotherapy in Korea. This research analyze 114 of journals and dissertations during the last 15 year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of depression and art psychotherapy was increased since 2008, starting in 2001. Seco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research with infant was non and adults were the most. Also, there were more research of subjects who showed depressive symptom than who were diagnosed as depressive disorder. Third, there were more clinical than theoretical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preferred based on characteristics. Forth, single group case study were most common with 21 or more subjects. Individual utilized more than 21 sessions and group utilized 11-15 sessions once a week most commonly. For research period, 4-5 months for individual and 2-3 months for group were the most, and objectiv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most popular. In conclusion, art psychotherapy is effective for alleviating depression from children to senior except infant and useful in clinical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