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획밀집도 인지가설의 검증

        구본영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4 No.-

        Since discovery of word superiority effect, many students have tried to prove word shape effect. Nevertheless, word shape effect has never been corroborated yet. Bonyoung Koo indicated one of the reasons of fail to prove word shape effect is from narrow interpretation of whole image of word, mentioned as potent factors of word shape effect. He formulate hypotheses that stroke density also works as one of factors of whole image of word and proved it. However, it was possible that unexpected factors affected his experiment. The text that the stroke density was strengthened stands out visually. Consequently, this study prepared an experiment to cut off unexpected factors; the darkness of the parts of strokes was manipulated according to stroke density.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xt that stroke density effect was exaggerated was more readable than that was reduced(P>0.05). Although it was not enough to prove stroke density effect, the stroke density effect is supported by the experiment, considered with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hypotheses. 단어우월효과의 발견 이래 100여 년간 서구의 연구자들은 단어윤곽인지론의 증명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직까지 확증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본영은 단어우월효과에서 도출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단어윤곽 인지론이 정립되지 못한 원인의 하나로 판단하였다. 그는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판단하고 실험을 통해 증명한바 있다. 그러나 그의 획밀집도 인지실험에 사용된 획밀집 강화형 문장은 본문이 배경에 비해 두드러져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 실험목적 외적요인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적요인의 개입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획밀집 영역과 그 외 영역의 획의 명도를 달리하여 독서 수월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획밀집효과 강화형 문장의 독서속도가 약화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선행연구결과와 함께 해석 하면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인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 도서관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구본영 韓國圖書館學會 1988 圖書館學 Vol.15 No.1

        A study has been made prior to the emphatic research to see how the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Departments, in general, has developed to date. In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scienc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what decisions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trend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matters of general specialization versus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 the definition, change and operation of the core subject, the expansion of the elective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by types of the library, and the curriculum composition in terms of subject specilization. The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 unified series of courses and other educational experiences, designed to meet specific program objectives. Principles and concepts should be emphasized, over routines and techniques. All students should study certain fundamental "core" subjects, as well as more specialized electives. General education (studies outside of librarianship) should be a major component of the total education of the librarian. Fundamental core subjects should be treated as introductory courses covering deep studies that can provide the most inclus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brary science field. They should be offered as pre-requisites required of all the students enter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Specialized subjects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comprising subject concentration should be offered as electives at the advanced level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해저지형 및 표층퇴적물 분포

        구본영,김성필,이광수,정공수 한국지구과학회 2014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5 No.2

        Multi-beam echosounder data and grain size analysis data of surface sediment were acqui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helf-to-slope morphology, geological character, and their geological controlling factors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 the continental shelf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1) shallow (~100 m) and steep (0.5o) inner shelf, (2) deep (100-300 m) and gentle (0.2o) outer shelf. The continental slope is featured with eight distinct to pographic depressions of various spatial dimension (~121 km2in area)and head wall gradient (~24.3o). They are develop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esumably formed by submarinelandslides which have recurred under the strong influences of earthquakes and eustatic sea-level change. The innercontinental shelf and the continental slope are dominated by fine-grained sediment, whereas the outer continental shelf isdominated by coarse-grained sediment. The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 seems dominantly influenced by eustatic sea-levelchange. The outer continental shelf is mostly covered by coarse relict sediment deposited during lowstand sea-level, while the inner shelf is covered with recent sediment during highstand sea-level. The surface of the continental slope is covered with fine-grained sediments which were supplied by hemipelagic advection process. 울릉분지 남서부의 대륙붕-대륙사면 해저지형과 지질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에 영향을 주는 지질학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빔 음향측심자료와 표층퇴적물 입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대륙붕은 약 0.5o의 경사로 수심 100m 이내에서 나타나는 내대륙붕과 약 0.2o의 경사로 수심 100-300 m 이내에서 나타나는 외대륙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륙사면에는 다양한 규모(~121 km2)와 경사(최대 24.3o)를 갖는 8개의 사면붕괴 지형이 관찰된다. 각 사면붕괴 지형은서로 인접해 있으며, 해저 지진과 전지구적 해수면 변동의 강한 영향 하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된 해저사태 기원으로 추정된다. 내대륙붕과 대륙사면은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하지만, 외대륙붕은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하다. 표층퇴적물 분포양상은 해수면 변동으로 인한 영향을 주로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외대륙붕은 저해수면 시기 동안 퇴적된 조립질 잔류퇴적물로, 내대륙붕은 고해수면 시기동안 퇴적된 현생의 세립 퇴적물로 피복되어 있다. 대륙사면의 표층퇴적물은 저해수면 시기에도 깊은 수심에서 반원양성 대류작용으로 공급된 세립퇴적물로 구성된다.

      • KCI등재

        디지털 문자매체의 확산에 따른 인쇄 매체상의 서체와 가독성의 상관성 변화- 2022년 현재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 비교 실험 -

        구본영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4

        Myeongjo has been known as the most readable Hangul typeface. This base on the theory that the serif of Latin letters increases readability and the experiment of Ahn Sang-soo in 1980. Therefore the Myeongjo is applied to the main text on most print media. However, familiarity is also known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readability. In the 1980s, Myeongjo was the most familiar font, whereas for young people in 2022, the familiarity with Myeongjo and Gothic font chang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ext contact through digital media. This implies that the readability according to the applied typefaces has changed. Therefo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adability of Myeongjo and Gothic fonts targeting young people in the 2022. To this e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nd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possible as the experiment in 1980. However, because of changed typesetting environment, the Myeongjo, typed by phototypesetter, was replaced with a Batang which is one of Myeongjo fonts input digitally by various companies and a Gothic was replaced with a Doteum which is also one of various Gothic versions, and InDesign CC2022 was used to typeset. As a result, the letters applied Gothic was read more per unit time than Myeongjo. However, as a result of the T-test, it was found that P>0.05 was not significant, so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readability of Gothic font was higher than that of Myeongjo font. However, the results were contradictory to the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1980, confirming that the change in familiarity also changed the readability. 명조체는 가장 가독성이 높은 한글서체로 알려져 왔다. 이는 라틴문자의 Serif가 가독성을 상승시킨다는 이론과 1980년 안상수의 실험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인쇄 매체상의 본문에는 명조 계열의 서체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익숙성 역시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명조체는 1980년대 일반인에게 가장 익숙한 서체였던 반면, 2022년대 청년층에게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자 접촉 빈도의 상승으로 명조체와 고딕체에 대한 익숙성에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서체에 따른 가독성에도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년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 비교 실험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1980년에 실시된 실험과 가능한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설계·진행하였다. 다만 문자 조판환경의 변화로 사진식자기에서 타자되었던 중명조체는 바탕체로, 고딕체는 돋움체로 대체하였고 인디자인을 이용하여 조판하였다. 또한 문장의 난이도나 개인별 독서능력 차이에 의한 간섭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Cross Over Design으로 실험을 설계했다. 그 결과 고딕체가 명조체에 비해 단위시간 당 4.52% 더 많은 글자를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T검증 결과 P>0.05로 유의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 고딕체의 가독성이 명조체보다 높다는 것을 확증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980년에 실시된 실험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 익숙성의 변화가 가독성에도 변화를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구본영,박미영,Koo Bon-Young,Park Mi-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면하고 있는 기술과 시스템 환경변화에 적합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용을 규명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 현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최신정보기술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어떤 교육내용이 문헌정보학에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기본적 자료를 얻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도의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핵심내용이 새로운 내용 즉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원 탐색, 온라인데이터베이스 검색,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긴 컴퓨터활용능력, 정보검색전략 개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에 중요한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교수들은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가 대다수 학생들에게 유용한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사서/정보전문가를 돕는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역할이 참고봉사, 편목${\cdot}$ 분류, 정보검색${\cdot}$ 문헌전달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를 중요하게 인식함에 따라 앞으로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이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개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조사된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의 과목은 앞으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pecify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rain information professional to meet environment change of technology and system. Among them. recognizing necessity of presen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ort System (AI and ES) required by changing environment of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also the purpose of this work to figure out fundamental data and the way of solution how to introduce what contents out of AI and E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briefed results are as follows. 1. Due to rapid change of high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applica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essential points, In order of Importance, in finding available network source, In indexing on-line data base, in analysing and design information system. and in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2. In contents of AI and ES, most Important training por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 data base treating, thesaur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3.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recognize It necessary for bigger numb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o be edu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4. During forthcoming age it show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improves information professional in reference service, catalog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documentation delivery 5. According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on the subject of AI and ES, the curricular on AI and ES is, forthcoming, to be Introduced to curricular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nation, In order of importance, (see 1. above).

      • KCI등재
      •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구본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3

        The Study focused on the four area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nging identity of the LIS Professionals, and change in LIS curricula. Second, the study addressed the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to the virtual model. Third, the study asked how the traditional technical service of LIS professionals is changing to user-centered service. Finally, the study viewed the skills and the roles of the LIS professionals.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을 밝히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교과과정, 전통적인 도서관 대 가상도서관으로의 변화, 전통적인 기술 업무에서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의 변화, 그리고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기술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서직의 가치는 인문학적이고 민주적인 것이었으며, 사람들의 지혜를 증진시키고, 오락을 제공하며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지식과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 문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사서직 기능). 그런데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다양한 정보매체와 정보형태는, 적절한 정보를 적자(이용자)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창출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정보전문직 기능). 현재 우리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함께 맞고 있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기록정보를 보전 전승하는 문화적인 기능이 강하고,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전달과 정보공유의 기능이 강하다.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사서직과 정보전문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에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규명은 필요한 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