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에 나타난 ‘주체적 근대화’와 마음수양론

        정혜정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만해의 불교유신사상은 한국불교의 전통적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서구 근대사조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토착적 근대화를 이끌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만해가 주목한 근대사조는 자유주의, 평등, 박애, 구세주의, 세계주의, 사회진화론, 사회주의 등이었지만 그러나 이 모두는 서구 근대 개념을 그대로 이행한 것은 아니었다. 만해의 자유는 양계초와 칸트의 진아론을 논하면서 비판적으로 전개된 것인데, 이는 단순히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정치적・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궁극적 진리와 깨달음에 이르는 근원적 자유를 내포한 것이었다. 즉 그의 자유란 개인적 자유와 공유적 자유를 모두 아우르는 개념으로서 ‘공유적(公有的) 진아(眞我)’와 ‘각구적(各具的) 진아’의 동시성을 의미하고, ‘유아독존(唯我獨尊)’으로 총칭된다. 유아독존이란 전체를 아우르는 독존이기에 걸림없는 자유요 자타가 없는 평등의 진아이다. 또한 만해가 말하는 사회진화 역시 우승열패,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사회진화가 아니라 ‘해탈의 힘’에 의한 사회진화이다. 따라서 우승(優勝)이란 강식(强食)・독식(獨食)이 아니라 ‘만물을 애육(愛育)하는 자’요, 열패(劣敗)란 사회에 대하여 ‘힘을 제공할 의무를 소실한 자’이다. 만해가 주장하는 불교사회주의 또한 마르크시즘의 경제혁명과 달리 全생명의 우주혁명이자 불국토의 실현을 통한 사회진보이며, 불교의 민중화와 공익을 향한 사회참여가 특징을 이룬다. 그리고 이 모든 것 바탕에는 禪의 마음수양이 우선됨을 강조하였다. 그는 전통학문분류와 근대학문의 성격을 고려하여 보통학을 겸비한 인문학의 창도로서 불교학을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정신(正信)의 수양을 주장했다. 정신이란 유아독존의 각오(覺悟)가 있는 신앙을 말하고 사회진보를 수반하는데, 禪의 정신은 샘의 원천과 같고 사회진보는 이로부터 흘러나오는 강호(江湖)와 같기 때문이다. Korean Buddhists of the post-Joseon Era critically examined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succession of the spirituality and freedom through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piritual civilization. Manhae (萬海) reflected on the Buddhist tradition, and at the same time, dealt with Western modernity and modernization, and reinterpreted modern discourses on the base of Buddhist thought. The modern discourses of his attention were liberalism, equality, philanthropy, ideals of saving the world, cosmopolitanism, social evolution, and socialism. Manhae’s freedom comes from the enlightenment. It was also human and social liberation. His freedom is a concept of “only I am alone precious (唯我獨尊)” that encompasses both personal freedom and shared freedom. The social evolution that Manhae speaks about is not same as that of Spenser’s. He opposed the social evolution theory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he saw that the excellent and the winner are not the ones who invade the weak, but love all beings, and the true power is in the power of liberation. Buddhist socialism, which is claimed by Manhae, is not the class revolution of Marxism but the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Buddhist land and the equality of mercy by universal life of enlightenment. But prior to all of these, Zen comes first. He considered the classifications of the traditional studies and the nature of the modern studies. He newly established Buddhist studies as the foundation of the humanities with the common sciences. Especially, he rejected superstition and emphasized right faith(正信) in the cultivation of mind. The mind refers to resolved faith and is accompanied by social progress. The spirit of Seon (Zen) is the same as the source of the spring, and the social progress is the same as a river flowing from it.

      • KCI등재

        동학의 치유와 생명교육

        정혜정 한국종교교육학회 2014 宗敎敎育學硏究 Vol.46 No.-

        동학은 수운의 영부(靈符) 체험에서 창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부는 “인간에게 있는 본연의한울”이요 “천지만물이 본래 한 기운(一氣)이자 한 마음(一心)”인 우주대생명체를 상징한 도상(圖像)이다. 동학은 각자위심에서 오는 개인의 질병과 사회적 제도의 폐단에서 기인하는 악질을 영부의 투득(透得)으로 치유하고자 한다. 투득이란 한울의 마음, 천지의 지극한 기운과 하나로 통하는것을 말한다. 즉 천지만물을 꿰뚫어 우주로 뻗치는 일통(一通)의 한 마음, 한 기운의 대생명을 자각함으로 자신을 치병(治病)하고, 우주정신의 ‘산 혼(魂)’을 회복하여 인간사회의 폐단을 치유하는총체적 ‘살림’이다. 일제하 방정환과 『어린이』를 중심으로 펼쳐졌던 어린이운동에서 동학의 생명사상은 ‘원기(元氣)’로 이해되었고 그것은 원기의 뻗침, 생명사랑과 자연놀이를 통한 생명의 화응,타자의 슬픔과 고통을 눈물로 체험하는 아동예술, 비참한 조선현실의 인식, 그리고 새로운 조선사회를 건설할 ‘주체’의 육성과 연대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생명교육으로 표출되었다. 이 중에서특히 생명사랑과 자연과의 교감은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 놀이를 통한 자연놀이로 구체화되었는데, 이는 현대 생태교육에 많은 영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 사례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 - 모자갈등 사례에 기초한 치료자 개입을 중심으로

        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2 가족과 가족치료 Vol.20 No.1

        Objectives: This study used conversation analysis (CA) to explor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in the therapeutic process of a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session. Methods: CA was used to analyze a videotaped single session of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The session, conducted by Insoo Kim Berg, involved a conflictual mother and son. Through intense examination of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mong the three participants, particularly Berg’s responses to the clients' talk of complaints and problems, nine categories of therapeutic strategies were noted. Results: Solution-focused questions and solution-focused, principle-based strategies were subcategorized into nine therapeutic strategies. Conclusion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family therapy were discussed. 대화분석은 치료자와 내담자간의 자연스러운 미시적 상호작용 대화로 이루어지는 가족치료 연구에 매우 적절한 질적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갈등관계에 있는 모자에게 해결중심 치료를 실시한 Insoo Kim Berg의 사례를 연구자료로 하여, 내담자의 문제나 불평 호소에 대한 치료자의 개입전략을 대화분석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을 위하여 언어적 대화와 비언어적 및 비음성적 대화를 포함한 축어록을 작성하였고, 내담자의 불평이나 문제제기에 대한 치료자의 개입을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치료적 개입은 크게 해결중심 질문기법적 개입과 해결중심 원리근거적 개입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해결중심 질문기법적 개입은 불평에 반응 없이 해결중심 질문하기, 불평 수용 후 해결중심 질문하기, 내담자가 호소하는 불평의 비현실성을 지적한 후 해결중심 질문하기, 그리고 불평을 현실화하고 해결중심 질문하기라는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해결중심 원리근거적 개입은 질문대상 바꾸기, 원하는 것의 지지와 수용, 원하는 것의 명료화/구체화 질문, 원하는 것에 대한 다른 가족원의 의견 묻기, 발화순서 되돌려주기 개입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치료자 훈련과 미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 측면에서 몇 가지 논의되었다.

      • KCI등재

        Reflecting on “Independence” of Korean Youth from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4 가족과 가족치료 Vol.22 No.4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cirtically ‘independence’ of Korean youth from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This purpose was based on the view that today many Korean youths have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in gaining adult status, and on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assuming that individual system is interconnected with family and culture system. Then,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independence’ of Korean youth with two axises including individual system level on one axis and family/culture system level on the other axi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hang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dulthood transition in Korea. Basically, critical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for the research.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an integrative and systemic framework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 this complicated Korean society, and contribute to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education and therapy with practitioners working with young adul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판소리 창자 성창렬의 순천지역 무형문화 전승자로서의 역할

        정혜정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Looking at the Pansori tradition of the Suncheon area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yang Changs, who were active in the area, played a leading role rather than master singers. Although they did not gain national fame, they maintained their place in the Suncheon area and continued the tradition of the Suncheon pansori tradition. In the Suncheon area, the majority of pansori singers were mainly from the field of hereditary martial arts, and they faithfully performed their roles. Compared to the master singers, the tradition of ‘Sori-je’ is weak, and the main stage of activities is limited to the area, so areaal-based singer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pansori research so far. However, in order to closely read the topography of local pansori cul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testines who were active in the area. Therefore, in this article, to examine the pansori cultur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Suncheon area, we focused on the ‘Hyang chang’ ‘Sung Chang-ryul’ and discussed it. From 1946 to the 1980s, ‘Sung Chang-ryeol’ continued his activities in the Suncheon area. In particular, despite remarkable achievemen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Suncheon Kukjakwon’ after liberation, little is known about it. His life and ancestry, pansori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tudies are summarized, and pansori and folk entertainment-related activities in the Suncheon area are reviewed. ‘Sung Chang-ryul’ played a major role as a proponent of intangible culture in the Suncheon area. Through continuous pansori educational activities,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radition of local pansori. He gathered them at the center of the local Hyang Changs and continued the activities of the local changgeuk troupe and performing activities.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artistic needs of the local people were satisfied. Also, ‘Dolnami Mak’ of the changgeuk <Heungbujeon> was transmitted to the Suncheon area. Lastly, it played a big role in the transmission of the ‘Suncheon OhJangsangYeosori’ and ‘Suncheon Samseolyanggut’, which ar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representing the Suncheon area. 근현대사의 순천지역의 판소리 전승을 살펴보면 명창들보다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창자들인 향창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은 전국적인 명성을 얻지는 못했지만 순천지역 내에서 자신들의 자리를 지키며 순천 판소리 전승의 맥을 이어왔다. 순천지역에는 세습무계 출신을 중심으로 판소리 창자들이 대다수 있었고, 자신만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했다. 명창에 비해 소리제의 전승이 약하고, 주 활동무대가 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어 지금까지 판소리 연구에서 지역 기반 창자들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지역 판소리 문화의 지형을 면밀하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활동했던 창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글에서는 근현대 순천지역의 판소리 문화를 살피기 위해 향창 성창렬에 주목하여 논의를 펼쳤다. 성창렬은 1946년부터 1980년대까지 순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해방 후 순천국악원을 설립하는 등에 괄목할 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생애와 가계, 판소리와 국악학습을 정리하였고, 순천지역에서 활동했던 판소리와 민속예능 관련 활동들을 살폈다. 성창렬은 순천지역의 무형문화 전승자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지속적인 판소리 교육활동을 통해 지역 판소리 전승에서 큰 몫을 하였다. 지역 향창들의 중심에서 그들을 결집하고 지역창극단 활동과 연행 활동을 이어갔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지역민들의 예술적 욕구를 충족해주었다. 또 창극 <흥부전>의 ‘돌남이 막’을 순천지역에 전승하였다. 마지막으로 순천지역을 대표하는 무형문화유산인 ‘순천오장상여소리’와 ‘순천삼설양굿’의 전승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