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페미니즘 연극에서 창작자들이 사유해야 할 지점들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국내 연극계는 서지현 검사의 미투(#Me Too) 이후로 페미니즘 관점을 적극 수용하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은 여성과 소수자들의 드러나지 않았던 목소리와 그동안 묵과했던 사회구조적 문제점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성의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여성 창작자들이 주목받는 부차적인 효과 역시 견인하고 있다. 관객들도 이제는 젠더-프리(Gender-free) 캐스팅이나 젠더-밴딩 (Gender-bending,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캐스팅을 유쾌한 전복으로 받아들이는 등 짧은 사이에 변화되고 성숙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더 안정적으로 국내 공연계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과 논의 되어야 하는 지점들이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페미니즘 공연의 창작자들이 사유하고 경계해야 할 지점들을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해 보았다. 첫 번째는 공연을 통해 여성 또는 소수자들의 다양한 정체성과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을 입체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접근법의 답습이 아닌 새로운 접근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페미니즘 공연의 주제나 소재가 실존 인물이나 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에 다른 공연들과 달리 조심스러운 접근법이 필요한데 이 경우,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Feminist Pedagogy) 전략들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공연의 전략과 표현들이 상투적이거나 단순하면 그것은 오히려 기존의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창작자들이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성과 남성성을 단순 도치시키는 방법, 성별의 고착화 된 특성을 희화화해서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방식들은 자칫하다가 기존의 성별 고정관념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니 경계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위의 페미니즘 접근법과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다양한 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창작자 모두가 수평적 관계에서 협업하며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공동창작의 방식이 가장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화 되고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창작 주체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짚어봄으로써 페미니즘 공연의 발전에 아주 작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e domestic theater community, a performance in which feminist perspectives are actively embraced is sprouting like a fashion, after the #Me Too declaration by prosecutor Seo Ji-Hyun.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2010s, feminist performances in Korea have uncovered hidden voices of women and minoritie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have been overlooked so far were brought to the fore. This provides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at the same time unexpectedly brings female creators to the spotlight. The theater community is showing a changed and mature attitude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it accepts gender-free casting or gender banding (which obscures the gender distinction) casting as a pleasant turnaround. However, it seems that in order for feminist performances to more stably settle in the domestic performance community, there are things that the creators must consider and discuss. In this paper, three major points are summarized that the creators of feminist performances should consider and be warned against. The first is that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restore the various identities and intersectionalities of women or minorities through performances, a new approach is needed, instead of repeating the existing approach. In particular, when the subject or subject matter in feminist performances is based on real people or events, unlike in other performances,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this case, it seems that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eminist pedagogical strategy. Second, If the strategie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erformances that defy gender dichotomy are clichéd or simple, they can reinforce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which creators should recognize. Since methods of simply switching between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expressions that mock the stereotyped characteristics of gender to induce laughter may backfire, reinforcing existing gender stereotypes, to which the creators should pay attention. Third, we need to find a variety of approaches about the above feminist approach and how to defy gender dichotomy. To that end, the co-creation method, in which all creators collaborat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present various approaches, seems to be the most useful. This paper explored the points that the creators should consider in order to stabilize domestic feminist performances and open up new horizons. Thus, I believe this exploration can make a very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t performances.

      • Slide Session : OS-IFD-07 ; Infectious Disease :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 Myung Jin Lee ),( Kye Hyung Kim ),( Jong Youn Yi ),( Su Jin Choi ),( Chung Jong Kim ),( Nak Hyun Kim ),( Kyoung Ho Song ),( Pyoeng Gyun Choi ),( Ji Hwan Bang ),( Wan Beom Park ),( Eu Suk Kim ),( San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1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Myung Jin LEE1, Kye-Hyung KIM1, Jongyoun YI2, SuJin CHOI1, Chung-Jong KIM1, Nak- Hyun KIM1, Kyoung-Ho SONG1, Pyoeng Gyun CHOI1, Ji-Hwan BANG1, Wan Beom PARK1, Eu Suk KIM1, Sang-Won PARK1, Hong Bin KIM1, Nam Joong KIM1, Myoung- Don OH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1,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2 Background: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a novel Bunyaviru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No effective antiviral therapy is proven yet, but clinical use of ribavirin (RBV) has been tried.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effect of RBV against SFTSV in vitro. Methods: To test for cytotoxicity of RBV, Vero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BV (3.90 to 500 μg/mL, two-fold dilution) and analyzed by cell viability MTS assay 48h post-infection. To determine antiviral activity of RBV against SFTSV, Vero cells were infected with SFTSV strain Gangwon/Korea/2012 at 100 TCID50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per well in a 96-well plate, and RBV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s showing no or minimal cytotoxicity. Viral RNAs were extract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s and quantifi ed using one-step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to amplify the partial large segment of SFTSV.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OVA with Tukey`s post hoc test. Results: Cytotoxicity due to RBV was not observed at RBV concentration =31.3 μg/ mL. Viral RNAs at 24h post-RBV treatment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RBV concentrations (1-32 μg/mL), compared with those of mock-treated cells (P <0.01, Figur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of RBV was 3.69 μg/mL at 24h post-RBV treatment.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RBV has antiviral effect against SFTSV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effi cacy of RBV in SFTS.

      • KCI등재후보

        5인 미만 사업장의 산업안전 규제 순응 실태

        이관형,이경용,손두익,서남규,서광국,오지영 한국안전학회 2003 한국안전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is planned to investigate the compliance of small sized enterprises of under 5 employees directed by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Occupational safety regulation can be required for employer and employee to comply because that all members of workplace should be involved to protect worker's health. When all members of workplace comply with safety regulation, effectiveness of regulation will be realized as expectation. The study subject is composed of three groups as 501 employers, 501 employees of small sized enterprises of under 5 employees and 107 safety inspectors sampl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for comparison. Data for analysis is collected from each sample using interview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Compliance is measured by 5 point scale composed by 8 sub items such as general perception, understanding, clearness, necessity, relevancy, implementation, penalty, and general compliance of the regulation. Among sub items of employer's compliance, the level of perception of regulation, necessity of regulation, relevancy of penalty are differentiated among three groups. The level of all 8 items of employee's compliance also differentiated among three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strategies for ensuring the same level of compliance among three groups will be needed through education, training and evaluation of regulation and feedback.

      • KCI등재

        어린이문학의 이데올로기

        이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1 No.-

        어린이문학은 어린이를 위한 문학이다. 어린이를 위한다는 것의 의미는 다양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어떠한가에 따라서 어린이문학의 성격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어린이문학의 역사는 곧 어린이문학에 대한 이데올로기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먼 옛날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문학을 지배한 이데올로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제1 이데올로기는 어린이의 어른 지향성을 추동하는 이데올로기인데, 이것은 어른다운 어린이가 가장 바람직한 어린이로 규정하는 이데올로기이다. 제2이데올로기는 어린이의 어린이 지향성을 추동하는 이데올로기이다. 이 이데올로기는 어린이로서의 삶을 영위하는 데 초점을 맞출 뿐 어른으로서의 삶을 준비하는 데는 그다지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그리고 제3 이데올로기는 어린이의 어른 지향성과 어린이 지향성을 모두 긍정하는 이데올로기이다. 이것은 어린이의 삶 그 자체에서 어른의 삶을 준비하였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인데, 여기에서 비로소 어린이는 어른과 동등한 인격 주체로 인정된다. 어린이문학의 이 세 가지 이데올로기는 시대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의 이데올로기가 뒤의 이데올로기를 완전히 교체하지는 못했다. 제3이데올로기의 성립 이후에도 그 이전의 이데올로기는 사라지지 않았다. 이들은 오늘날의 어린이문학에 공존하고 있다. 왜냐 하면, 각각의 이데올로기는 어린이에 대한 우리의 복합적인 시각의 한 단면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Children's literature is literature for children, Since the meaning of 'for children' is various, the property of children's literature us determined depending on our thought about it, that is, ideology. Thus,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can be the history of ideology about children's literatur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re have been three ideologies which dominate children's literature. The first is children's adult-orientated attributes, which implies that adult-like children are good models of children. The second is children's child-orientated attributes. This emphasizes children's life itself, but has no interest in preparation of being an adult. The third is the ideology that admits children's adult-orientated attributes as well as children's child-orientated attributes. It meas that children's life itself is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being an adult. Children, here, can be regarded as equal to adults. These three ideologies of children's literature had appeared in order in different times. The ideology that appeared earlier than the others did not and will not disappear. Instead, three of them have existed together, showing some aspects of our complex views of children.

      • KCI등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수준별 교육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Literature Education

        이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6 No.-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학년급별 교육과정이고 다른 하나는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이다. 그런데 학년급별 교육과정이란 곧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라고 할 만한 것이다. 교육과정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을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으로 규정했지만, 그 규정과 상관없이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상호 보완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과 학습 활동을 분석해 보면, 학년에 따른 위계화와 심화-보충에 따른 위계화가 그다지 설득적이지 못하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기왕의 국어과 교육 연구가 교육 내용과 학습 활동의 논리적 위계화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교육 내용 사이의 상관 관계에 따른 학년급별 위계화 논리와 교육 내용의 구체화에 의한 심화-보충별 위계화 논리를 제안했다 이는 시안에 지나지 않는 것이지만 적어도 현행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는 기여할 것이다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divided into two. One is grade curriculum, the other is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Grade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level differentiated curriculum. Curriculum describ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but in fact Korean language education adopts both level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An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performanc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lls that the gradual ruerachy and in-depth and supplementary hierachy are absurd. The reason is simple.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not accomplished the logical hierachy in contents and performances. This paper suggests gradual hierachic logic related with contents and in-depth and supplementary hierachic logic concreted by contents These hierachic logics are only testing proposals, but, I believe, help to improve present curriculum.

      • KCI등재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간의 비교

        이유재,이지영 한국방송광고공사 2004 광고연구 Vol.0 No.65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동일시(brand identification)가 브랜드 로열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브랜드 로열티를 행동적 로열티와 태도적 로열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브랜드 감정(brand affec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브랜드 동일시와 브랜드 로열티의 관계에서 브랜드 감정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특히 제품유형을 쾌락적 제품(hedonic product)과 실용적 제품(utilitarian product)으로 나누어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감정, 브랜드 로열티간의 관계가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동일시가 증가할수록 브랜드에 대한 태도적 로열티와 행동적 로열티가 모두 증가하며, 브랜드 동일시는 브랜드 감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브랜드 로열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브랜드 감정은 브랜드 로열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브랜드 동일시가 태도적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력은 실용적 제품보다 쾌락적 제품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 동일시가 행동적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쾌락적 제품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brand-self identification on brand loyalty by employing the concept of brand affect.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meæflating role of brand affect between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yalty.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brand identification on brand loyalty between the two product classes: hedonic products and utilitarian products. Several interesting results are found. First, brand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that is, as brand identification increases, both attitudinal and behavioral loyalty increase. Second, brand identification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ffect; consumers may feel pleased when they purchase the brand that gives high brand-self identification. Third, brand affec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Fourth, the influence of brand identification on both attitudinal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is greater for hedonic products than for utilitarian products.

      • KCI등재후보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학습

        박지연,이수민,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4

        Museum is a medium which communicates with previous generation's experiential memories and present generation's cultural memories. Therefore, the communication is a core task in museum. Museum needs mediums like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we have to discuss how to structuralize these things. The museum communication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he CHAT has been developed by several theorists like Vygotsky. Especially, the third generation's CHAT has been developing by Engeström. It is a worthy theoretical structure that can show museum as a messenger of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its communication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on the CHAT and analyzes museum in a social activity system and activity system in a museum from micro/macro-scopic view. Also, it produces practical models that connect museum with community art field and museum with schools. 박물관은 앞선 세대의 체험적 기억을 현 세대에게 문화적 기억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박물관에서 소통(communication)이라는 개념은 핵심적인 과제일수 밖에 없다. 박물관은 그 자체로 전시와 교육과 같은 매체(medium)를 필요로 하며 이를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의 문제가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과제는 비고츠키와 여러 이론가들의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발전시킨 활동이론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Y. Engeström에 의해 발전된 제3세대 활동이론은 사회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전달자로서의 박물관과 박물관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이론체계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사회활동시스템 속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 내에서의 활동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을 박물관 내부 활동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실천, 박물관과 지역의 예술장(藝術場)이 연계된 네트워크 실천과 박물관과 학교가 연계된 네트워크 실천 모형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려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행이론의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축제의 현상학

        박지연,박신영,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1

        현재 전국적으로 중앙정부로부터 선정된 평생학습도시들은 매년 평생학습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평생학습축제는 평생학습이라는 같은 주제로 지역별로 개최되는 평생교육 관련 기관·단체 간의 교류를 통한 평생학습문화 진흥과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 문화, 스포츠, 복지 등의 복합적인 종합축제이다. 지역차원에서는 평생학습축제의 기획과 준비에 비교적 많은 시간과 예산, 노력이 투입되고 있으며 평생교육실천가들의 많은 에너지가 수반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문화의 촉진을 위한 정책적 차원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지역 평생학습축제의 문제를 다룬다. 학습문화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는 축제가 교육적으로 유의미하기 위해서는 축제에 기저를 둔 연행과 의례에 기반한 새로운 경험과 학습의 이행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기존의 축제들은 정책홍보적 성격을 띄고 있어 축제 주제와 컨텐츠의 탈지역성, 운영의 행정주도성으로 인해 교육적 의미가 내포되지 못한 채 중요한 지역행사로 자리잡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문제의 발단은 평생학습을 생각하며 축제를 기획하는 사람들이 축제가 가지는 연행이론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유의미함을 이론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는데서 비롯된다. 즐거움과 문화적 분위기속에서 경험과 학습이 촉진될 수 있다는 컨셉이 있다면 지역평생학습축제가 전국적으로 대동소이한 주제와 방식으로 그리고 동원된 특정 계층의 참여자를 기반하지는 않을 것이다. At present, the worldwide lifelong learning cities selected by central government hold lifelong learning festival every year. The lifelong learning festival is a general festival combined by studying, culture, sports, welfare, etc. with the purposes that promotion of lifelong learning culture and re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through the exchange among the institutions·organizations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held in each region, under the same subject, lifelong learning. At regional level, relatively lots of time, budgets and efforts are invested to planning and preparation of lifelong learning festival and lifelong learning doers put lots of energy to it. In spite of it, there is few introspective studies on it. This study treats problems of regional lifelong learning festival held every year at political level for promoting lifelong learning culture. The process of new experience and studying based on festival's performance and rite must be understood so that the festival which is planned to promote studying culture can be significant educationally. Existing festivals have political publicity characteristics, so they become important regional festivals without educational meaning because of the delocality of festival subject and contents and administrative leading of operation. The problem is caused by that people who plan the festival by considering lifelong learning don't grasp the festival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theoretically from the aspect of performance theory. If there is a concept that experiences and studying can be promoted in the atmosphere of pleasure and culture, regional lifelong learning festival will be neither progressed under similar subject and method nationally nor participated by mobilized special-class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