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악찬양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토대 연구 : 백석예술대학교 국악전공 정기연주회를 중심으로

        정설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백석예술대학교의 국악찬양 정기연주회를 고찰함으로써, 국악찬양의 전문적인 교육과 확산을 위한 음악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에 있다. 2008년부터 시작된 백석예술대학교 국악과 정기연주회는 국악찬양을 위주로 연주곡목이 편성되어왔으며,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국악찬양곡이 축적되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화, 다변화 되어온 국악찬양의 음악적 양상들을 밝히고,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하여 발현된 국악찬양이 어떻게 젊은 기독청년들을 전문성 있는 국악찬양지도자로 교육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다. 1980년대 이래 가시화되어 나타나기 시작한 국악찬양은 개신교회 음악문화 흐름의 중요한 변화로 간주되며 꾸준히 연구되어왔다. 이는 19세기 말 유입된 기독교의 핵심요소인 복음이 서양문화의 형태를 통해 제시된 것에 대한 각성과 반성의 결과로, 국악찬양은 한국인이 부여받은 한국인의 고유한 문화를 통해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성경적 문화명령에 기인하여 발현된 것이다. 국악찬양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토대 연구의 실제적인 방법으로 먼저 현재 국악찬양을 활용하는 교회를 중심으로 그 활용 현황을 살펴본 다음 백석예술대학교 국악과의 정기연주회를 통해 개발된 콘텐츠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백석예술대학교의 국악찬양 개발은 새로운 창작 활동을 통한 개발과 기존의 콘텐츠를 활용한 개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통발성과 전통악기를 중심으로 한 순수한 전통음악을 통한 국악찬양과 서양발성이나 서양악기를 접목한 퓨전국악을 통한 국악찬양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 중 기존의 콘텐츠를 활용한 개발이나 퓨전국악을 통한 연주곡의 개발은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음악의 소재를 활용하여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사용된 적극적이고 유용한 방편이다. 이러한 분류와 분석을 바탕으로 국악찬양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성 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국악찬양의 전문성을 확립하기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즉 국악찬양의 개발과 활용을 단순한 음악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기독교적 관점을 제공하는 다양한 학문들과 연계하여 폭넓게 연구할 수 있는 학문적인 기구의 출범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 기구는 국악찬양대를 운영하는 교회나 전문선교단체와의 연합과 소통을 주선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아찬양의 이론적 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방안을 연구, 실행할 수 있는 기구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활동을 통해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한국적’ 찬양의 한 형태인 국악찬양을 예배에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의미와 음악적 즐거움을 알게 할 수 있고, 나아가 한국인으로서 한국적 찬양을 하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교회에 기반을 둔 전문적인 국악찬양대의 발족이나, 기존찬양대의 효과적 국악찬양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국악찬양 전문인을 공인하는 자격증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격증을 교육 기관이나 총회와 같이 공신력이 있는 기독교단체에서 인증해주는 일은 한국전통음악을 교회문화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는 건전한 한국기독교음악문화의 확립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나아가 기독교방송이나 기독교대학, 기독교문화재단 등 영향력 있는 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협력이 국악찬양사역자를 꿈꾸는 청년들의 비전을 키울 수 있을 것이고, 그 비전은 지금 이 시대에 기독교한국음악 문화의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기독교대학에서의 세례 프락시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백석예술대학교 학원복음화를 위한 세례자 인식도를 중심으로

        원삼열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에서의 세례 프락시스(Praxis)를 통한 학원복음화 구현 방안연구이다. 백석예술대학교의 설립정신은 학원복음화 구현을 통한 인재 양성에 있다. 학원복음화 구현을 위한 다양한 활동 중에 채플과 기독 교 교과목수업과 세례식이 그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기독교대학은 탈 기독교화와 세속화로 인하여 그 정체성에 위기를 맞고 있 다.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은 설립정신을 이루는 학원복음화 구현에 있다. 이 를 회복하기 위한 핵심 과제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본 논문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논자는 기독교대학의 학원복음화 구현을 위한 활동들을 살펴본 결과 세 례 프락시스가 학원복음화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 과제임을 알게 되었다. 그 리하여 본 논문은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학원복음화 구현에 있 어서 세례 프락시스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에 따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논자는 실천신학적 방법론에 따라 기독교대학에서의 세례 프락시스의 문제점을 찾아 세례의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 관점(과거)을 통해 난제를 규 명하고, 이를 통해 오늘날 기독교대학에서의 세례 프락시스 실상(현재)을 분석하여, 마지막으로 세례 프락시스의 행동 지향적 관점(미래)을 따라 기 독교대학에서의 세례 프락시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얻은 연구 결과 기독교대학의 설립정신을 이루는 학원복음화 구현의 사명을 위한 핵심 과제가 세례 프락시스 활성화에 있다 고 본다. 본 연구인 기독교대학에서의 세례 프락시스 활성화 방안은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 위기 속에서 설립정신을 이루는 학원복음화가 활성화될 뿐 아니라 한국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데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가 한국교회에 순기능으로 작용하여 청년들에게 예 수 생명 운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그와 더불어 기독교의 바람직한 세 례 프락시스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과 연계하여 한국교회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백석예술대학교의 왕성한 세례 프락시스를 통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영 적생명운동이 활성화되어 백석학원의 설립정신인 “신학은 학문이 아닙니 다”(2003)와 그것에서 출발된 “개혁주의생명신학”(2010)이 민족과 세계를 살리는 참된 신학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리하여 백석학원이 기독교대학 의 글로벌 리더(Global Leader)로 더욱 비상(飛上)하면서 하나님의 나라 확 장사역에 귀하게 쓰임을 받으리라 확신한다. 주제어: 기독교대학, 기독교대학의 설립정신, 학원복음화, 백석예술대학교, 세례, 세례식, 세례 프락시스 This paper explores the baptismal praxis in a Christian university. It is inspired by the founding spirit of Baekseok Arts University, which aim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evangelization. Among the various evangelization activities at the school, such as the chapel, Christian curriculum, and baptism are central. However, Christian universities currently face an identity crisis due to de-Christianization and secularization. The identity of Christian universities is grounded in the implementation of evangelization, reflecting the institution's founding spirit.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address the critical issues involved in restoring this identit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activities of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implementing school evangelization and identified baptismal proclamation as a crucial element. This thesis, therefore, examines the challenges of baptismal proclamation in implementing school evangelization to restore the identity of Christian universities. It adopts a practical theology methodology to explore the problems of baptismal praxis in Christian universities through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f baptism (past),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baptismal praxis (present), and finally propose a plan to revitalize baptismal praxis in Christian universities through an action-oriented perspective of baptismal praxis (future). The study's findings underscore that revitalizing baptismal praxis is essential for fulfilling the mission of evangelizing Christian universities, aligning with their founding spirit. This study, titled "How to Revitalize Baptismal Praxis in Christian Universities," aims to rejuvenate school evangelization amidst the identity crisis faced by Christian universities, significantly impacting the restora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Additio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olster the Korean church and invigorate the Jesus Life Movement among youth. It also posits that suitable Christian baptismal praxis could profoundly influence the Korean church in conjunction with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of Reformed Life Theology. Through robust baptismal praxis at Baekseok Arts University, the spiritual life movement of Reformed Life Theology will be energized, and the founding spirit of the Baekseok Schools, epitomized by the statements "Theology is not an academic discipline" (2003) and "Reformed Life Theology" (2010), will be recognized as a theology that saves the nation and the world. (See Chang Jong-hyun, Theology Is Not An Academic Discipline, Cheonan: Baekseok Christian Academy, 2023). I am confident that Baekseok Schools will continue to thrive as a global leader among Christian universities and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God's kingdom. Topics: Christian university, founding spirit of Christian university, school evangelization, Baekseok Arts University, baptism, baptism ceremonies, baptismal praxis

      • 한국교회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방안

        이재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영유아 사역자의 직전교육 및 현직교육의 만족도의 차이와 그 관계성을 검증하여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현직교육방안을 제시한 양적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사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영유아 사역자들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사역의 효율성을 높여 하나님 나라의 사역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은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직전교육은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현직교육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과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관계성은 어떠한가? 다섯째, 영유아사역자의 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여섯째, 영유아 사역자의 전문사역을 위한 현직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등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서울, 경기, 광역시, 중소도시, 농어촌 교회 영유아부서가 조직되어 있는 한국교회 교회학교 영유아 사역자 211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는 2019년 6월3일부터 6월10일까지 160명이 응답하였고 2차는 7월7일부터 7월12일까지 51명의 응답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211명 중 불충분한 응답자 4명을 제외한 최종 207명의 설문을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Scheffe의 사후 검정,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직접 설계한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 도구는 영유아사역자의 자질을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으며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 분석 결과는 나이, 성별, 사역부서, 대학학제, 대학원전공, 직분, 경력, 교인 수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전문사역자의 전공에 따른 대학직전 교육만족도는 13개 항목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대학원 직전교육 만족도 역시 9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사역자의 현직교육 만족도는 13개 일반특성 중 대학원 전공 하나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에서도 대학원전공에서 유아교육과가 높게 나온 부분이 일치된다. 넷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과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관계성 분석결과에서는 대학, 대학원 직전교육 만족도는 현직교육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유아 사역자 자질 역시 대학, 대학원 직전교육만족도, 현직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분석에서도 영유아사역자 자질과 현직교육 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원 직전교육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몇 가지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영유아 전문사역자가 받은 전문교육 횟수는 높지 않았고 교육 형식도 강의식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영유아 사역자들이 원하는 교육 방법은 소그룹 워크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직교육 불만족의 이유는 비싼 교육비가 가장 높았다. 영유아 전문교육기관의 필요성과 전문교육 참여의사에서는 높은 참여의사를 보였다. 이상에서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사역자의 자질과 함께 직전교육만족도와 현직교육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직전교육의 차별화 방안으로 신학전공자, 기독교교육전공자, 유아교육전공자, 기타 전공자를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 차별화 방안으로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향상시켜줄 4가지의 방향이 제시되었다. 첫째, 교육기관의 전문화이다. 이를 위해 석사학위와 같은 전문 학위과정, 그리고 현장사역을 강화할 수 있는 평생교육과정 등의 개설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방법의 다양화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형태의 추구와 연계적 현장 교육형태 추구를 제안하였다. 셋째, 공동체적 참여화이다. 교육 참여자인 영유아 사역자를 위해 교회, 더 나아가 교단 차원의 정책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넷째, 네트워크 활성화이다. 영유아 전문사역자간에 서로 보완해주고 관리해줄 수 있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합사역지원활동과 지역별 네트워크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의 영유아 전문사역자 현직교육방안 연구가 계기가 되어 영유아 전문사역자에게 필요한 보다 실제적이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이 후속 연구로 나올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주제어: 한국교회, 영유아, 영유아 전문사역자,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 직전교육, 현직교육 Abstract A Study on the In-Service Training Methods for th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 Korean Churches Lee, Jae-Young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It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presented practical in-service training methods tha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qualities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 South Korea and examining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pre-service training and that of in-service trai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help young children workers handle the ministry of the kingdom of God well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inistry of young childre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of young children workers in the field, and increasing efficiency. Research questions associated with them are: (1) what about the qualities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2) what about pre-service training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3) what about the in-service training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4)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pre-service training, in-service training? (5) what is the training status of young children workers? and (6)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in-service training for young children workers? To measur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ing style survey to 211 young children workers in Korean Sunday schools. These churches had a young children department and were located in Seoul, Gyeonggi, 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the first round of a survey, 160 subjects responded from June 3 to June 10, 2019. In the second round of a survey, 51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July 7 to July 12, 2019. The final 20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fter excluding 4 questionnaires due to insufficient responses. This study carried ou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ed effects using SPSS 22.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ool for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designed by the author was valid and reliabl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gender, ministry department, university systems, graduate school major,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Second, all 13 items of college pre-service train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jor. The nine items of graduate school pre-service training satisfac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the in-service training satisfaction of young children worker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graduate school major. Particularly, it was the high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hich agreed with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that showed the high value for subject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in a graduate school. Fourth,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raining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of in-service training.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 workers was also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pre-service training and that of in-service training.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pre-service train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 workers and the satisfaction of in-service training. Fifth, some surveys were conducted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First of all, the number of professional training received by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was not high, and most of the training was conducted by lectures. However,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 workers desired small group workshop the most and the main reason for the dissatisfaction of in-service training was an expensive fee. The necessity of young children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education were high.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education improvement plan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as well as the qualifications of young children workers. First of all, as a way of differentiating pre-service training, this study suggested concrete plans for theology majors, Christian education maj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nd other majors. Moreover, four method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as a means to differentiate in-service training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The first method is the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is, it was proposed to open professional degree programs such as master's degrees and lifelong education courses to strengthen in-field service. The second is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suggested pursuing various education forms and linking them with on-site training. The third is communal participation. This study presented that policy support at the church and even religious body level is needed for young children workers. Fourth is active networking. This study proposed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ministry support activities and regional network plans to complement and manag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Lastly, this in-service training study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can initiate studies on more practical and diverse training programs necessary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service training plan l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practical and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needed for th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 look forward to follow-up studies. Key words: Korean Churches, Young children,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Pre-service training, In-service training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역사신학적 고찰

        장영수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87

        개혁주의생명신학은 백석학원(백석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백석대학교평생교육신학원, 그리고 백석대학교 산하 7개 대학원)의 신학적 정체성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형성과정을 밝히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회역사 속 의미, 즉 역사신학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과 동일한 신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을 계승해 그 본질을 회복함을 지향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원리는 종교개혁자들의 신앙 원리인 5대 솔라(Solae) 와 동일하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교회에 적용할 때 각 원리들은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통해 우리는 이를 실천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004년 경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러나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정신과 내용은 장종현 박사가 신학교육의 사명을 받고 백석학원을 설립했던 시기에 이미 배아처럼 존재하고 있었다. 설립 후 30년(1976년-2005년) 동안 백석학원은 개혁주의신학에 바탕을 둔 복음전파 사역에 매진했다. 복음전파의 터전이 마련되어 학교가 성장하고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한 학문 연구와 교육이 시행되면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서서히 형체를 드러내었다. 백석학원 40년 역사 중에서 마지막 10년(2006년-2015년)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정립되고 확산되는 시기였다. 한국교회사 가운데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교회연합운동에 본을 보이며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유지를 통해 본질을 잃어가고 있는 다른 기독교대학들에게 도전과 자극을 주고 있다. 세계 교회사적 측면에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대표적 명제는 신학을 ‘살리는 신학’과 하나님을 아는 지식,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담은 복음으로 이해하고, 개혁주의신학의 전통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종교개혁자들의 신학관(神學觀)과도 그 맥을 같이 함으로써 그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theological identity of Baekseok Schools (e.g., Baekseok University including seven graduate schools, Baekseok Culture University, Baekseok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Theological Semin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to illuminate its significance in the church history, i.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identical with the Reformed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pursues to recover the very nature of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 a creative succession. The principle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the same as the Five Solae which present the basic faith of the Reformers. Each principle, however, has a new meaning as it is applied to today's Korean church. Thus, we can practice the principles through the Seven Practical Movement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started with the declaration,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circa 2004. But the mind and contents had already existed like embryos when Dr. Jong Hyun Chang, the Founder of Baekseok Schools, was initially called to educate Christian leaders. From 1976 to 2005, Baekseok Schools had strived for practicing evangelism based on the Reformed theology for 30 years. During that time, the Reformed Life Theology was gradually organized as Baekseok Schools steadily developed with research and education based on its Biblical world view. In the last decade of the 40-year history of Baekseok Schools (2006-2015) the Reformed Life Theology had been defined and disseminated.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n churches, the Reformed Life Theology sets an example for church union movement and challenges other Christian colleges, which are losing their purpose of establishment, by maintaining its identity.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church history, it can be said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supported by the Reformers because its slogan,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moreover with the Reformers’ view of theology for all of them understand by considering theology as the Gospel embracing the life of Jesus Christ, the personal knowledge of God, and ‘the theology that quickens.’

      • 기독청년의 기독교이단 탈퇴 경험연구

        이영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의 기독교이단 탈퇴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현상학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하위 연구문제는 기독청년의 기독교이단 탈퇴 배경과 기독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무엇인가? 이다. 이를 위해 정통교회에 소속되어 신앙생활을 하던 중에 기독교이단에 미혹되어 이단 활동을 하다가 자발적 또는 부모에 의한 비자발적으로 탈퇴한 이후 ○○○교회 기독교이단전문상담소에서 이단상담을 받고 이단교리반증교육에 참여한 2년 이내인 기독청년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Colaizzi 자료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118개의 구성적 의미와 35개의 주제 그리고 14개의 주제군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기독교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의 경험은 ‘믿었던 이단에 대한 회의, 혹독한 이단 생활에 숨 막힘, 가족들의 탈퇴 종용에 의한 압박감, 주변 사람들의 탈퇴 권면에 마음이 흔들림, 마음 둘데 없어 허탈함, 가족들의 회심 요구에 번민함, 배교자 낙인에 대한 두려움, 이단 숭배에 대한 수치심,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회한, 탈퇴한 선후배들과 서로 도우며 의지함, 사랑의 재경험을 통한 자기회복, 교회공동체 소중함을 재발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앙적 갈등 해소, 올바른 신앙을 기반으로 미래에 도전’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첫째, 기독청년의 기독교이단 탈퇴 배경은 ‘믿었던 이단에 대한 회의, 혹독한 이단 생활에 숨 막힘, 가족들의 탈퇴 종용에 의한 압박감, 주변 사람들의 탈퇴 권면에 마음이 흔들림’ 배경이 되었다. 기독교이단의 내부 요인은 이단 교리의 거짓과 허구, 신도들의 혹독한 이단 생활이었으며 기독교이단의 외부 요인으로는 부모와 교회 성도 등 외부의 종용이 이단 탈퇴의 배경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탈퇴한 이후에 한동안 마음을 둘데가 없어 허탈하였고, 부모의 회심 요구에 번민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기존에 자신이 다니던 교회로 돌아가고 싶어도 배교자의 낙인이 두려워 쉽게 갈 수 없었고, 이단 교리와 교주를 숭배한 것에 대해 수치심을 느꼈으며, 그동안 잃어버린 시간에 대해 후회를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먼저 탈퇴한 선후배들과 서로 돕고 의지하였고, 부모와 성도들로부터 사랑을 재경험함으로써 자기회복의 경험을 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은 교회공동체 소중함을 재발견함은 물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앙적 갈등을 해소하고 올바른 신앙을 기반으로 미래에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첫째, 본 연구는 기독교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에 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이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기독청년이 기독교이단에서 탈퇴한 이후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밝혀냄으로써, 정통 기독교 교회의 목회자와 기독청년의 자녀를 둔 부모 그리고 교회 상담센터에서 종사하는 전문 심리상담사와 이단전문상담소 등 유관기관 종사자들에게 이단에 빠진 기독청년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접근과 교회 평신도들을 대상으로 한 이단예방교육 교재 제작과 각종 프로그램 개발 시 근거자료로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셋째, 본 연구는 기독청년이 이단에 미혹되었다가 탈퇴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교회공동체와 부모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단에서 탈퇴한 이후 신앙생활의 회심과 적응도 교회공동체와 부모들의 사랑이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기독청년이 이단에서 탈퇴한 이후 곧바로 회심하여 신앙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한동안 낙인에 대한 두려움과 수치심 등의 부정적인 심리·사회적 경험을 하였다. 그러나 가정과 교회공동체를 통한 사랑의 재경험으로 자기회복을 했다는 것을 발견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기독교이단에서 탈퇴한 기독청년이 이단에 미혹되지 않고 올바른 신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교회 등을 포함한 청년들의 신앙 생태학적 관점에서 이들을 도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독청년이 이단에서 탈퇴한 이후 이단교리상담사와 청년부 동료의 도움을 받아 신앙적 갈등에 해소하며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가지고 변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회 내 전문목회상담사나 이단교리상담사를 통해 회심을 도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혀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기독교대학 채플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을 중심으로

        이승열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0687

        국 문 초 록 기독교대학 채플의 활성화 방안 연구 기독교대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대학 구성원들이 함께 신앙고백과 결단을 통해 기독교대학 정체성을 유지해 온 것을 볼 수 있다. 채플은 기독교대학 정체성의 중심에 있다. 그러나 최근 기독교대학의 채플이 점차 축소되거나 정체성을 상실한 채 명맥만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곧 기독교대학의 소명을 잃게 되어 일반 대학과 별반 다르지 않게 된다. 채플의 존재만으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을 담보하는 채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채플의 구조와 요소를 변형하여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채플의 구조와 요소를 변형하기에 앞서 그 본질과 내용에 대해서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갱신과 발전이라는 명목하에 본질과 내용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신학적 이해가 요청된다. 또한 채플은 다양한 기능이 있다. 예배학적 기능이 있으며,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장소성과 그 대상이 학생이라는 특수성은 채플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갖게 한다. 나아가 비기독교 학생들의 참여라는 점에서 선교적 기능은 필수적이다. 오늘날 채플은 그 어느 때보다 선교 지향적 일 수밖에 없다. 기독교학교에서 비기독교 학생들의 비율은 이미 신자인 학생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이론과 현실적 배경을 토대로 채플 갱신을 위한 시금석을 제시한다.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을 중심으로 기독교대학 채플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백석예술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채플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기독교 학생들의 비율이 더 높았고 때문에 기존의 예전과 설교 중심의 채플 방식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다양한 채플의 필요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의 인식도 조사에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콘서트 채플로 이루어진 채플에 대하여 만족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변화된 채플에 대해서 기대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모델은 실제적으로 백석예술대학교에서 시도했던 음악 콘서트 형식의 채플이다. 이를 통해 기독교 학생뿐만 아니라 비기독교 학생들의 호감도를 이미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두 번째 모델로는 문화 콘텐츠를 적용한 채플로 학생들과의 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모델은 사랑축제이다. 1년에 1회 기획하고 실시되며, 비기독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을 세례로 인도하기 위한 과정에서 기독교에 대한 관점과 생각의 전환을 비롯하여 기독교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적으로 수세자들이 되어 교육을 받고, 세례를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통계자료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회중 참여를 중심으로 한 채플이다. 학생들 중 기존의 채플에 호감을 갖고 있으며, 보다 더 예전적 형식의 채플을 기대하는 이들을 위한 채플이다. 궁극적으로 채플을 통해 참여자들이 하나님을 예배하고 삶의 변화를 기대한다.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이 다양한 채플의 시도들이 일어나는 현장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형식적인 것을 벗어나 채플의 예배적 의미와 선교적 목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그리고 채플의 대상이 비기독교 학생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채플의 예배학적 의미보다 선교적 접근에 무게를 두었다. 예배의 개방성에 중점을 두고, 채플의 선교적 기능을 강화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기독교 학생들을 위한 예배적 의미가 강조된 채플도 시행하여 채플의 다양화를 이루고 학생들에게 선택권이 부여될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채플의 다양화를 통해 비기독교 학생들이 신자가 된다면, 채플이 예배로서 갖는 의미를 회복할 수 있다. Abstract A Study Revitalization of Christian University Chapel Seung Yeol Lee Doctor of Theology in Ministr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Advisor: Sang Ku Kim (Dr. Theol.) I think that the chapel is the identity of a Christian university. Recently, Christian university chapels are gradually diminishing or losing their identities. This has led to the loss of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Christia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i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Christian universit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by changing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the chapel. This study first need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chapel in terms of liturgical perspective before transforming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the chapel. In addition, we take pedagogical approach considering chapel's specialty. Furthermore, also it is necessary of missiological approach because it is a point of contact for non-believers. Today, chapel is more mission-oriented than ever. Therefore, based on this theory and realistic background, I present a touchstone for the renewal of the chape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is to suggest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Christian university chapel centering Baekseok university of Arts. To do this, students of Baekseok university of Arts were surveyed about chapel. As a result, four new chapel model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Chapel 's worshipful meaning and missiological purpose will be done well beyond the formal. And the fact that the object of the Chapel includes many non-Christian students, weighed more on the missionary approach than the chapel's liturgical meaning. Focusing on the openness of worship, a model for enhancing the missional function of the Chapel was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chapel, which emphasizes the liturgical significance for Christian students, was also implemented to diversify the chapel. By diversifying the chapel, if non-linguists become believers, the meaning of chapel as a worship can be restored. Key words: Christian University, Chapel, Mission, Culture, Postmodernism

      • 대학행정조직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혁신행동 매개효과와 지식공유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종대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87

        대학행정조직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혁신행동 매개효과와 지식공유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 종 대 경영ㆍ행정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최근 한국의 대학들은 대내외 여건의 급속한 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학의 기본 교육 방식, 행정관리체제 등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들은 생존을 뛰어넘어 혁신적인 발전의 원동력을 구비하기 위해 새로운 대학 경영전략 수립 및 대변혁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대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 운영에 필요한 정책계획을 수립·조정·집행함은 물론 전략적으로 필요한 인적 자원을 조달·관리하는 대학행정이 더욱 더 중요하게 부각될 것이다. 또한 대학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기존의 대학운영을 위한 수준을 지나 궁극적으로 대학의 중장기 발전전략과 상호 연계하여 대학조직의 발전을 위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대학행정조직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지식공유가 미래 대학의 생존 및 발전을 위한 유효한 조직성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대학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대학행정조직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이론적 고찰 및 실증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실증적 시사점과 대학행정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제안, 그리고 궁극적으로 기독교 행정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적 시사점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행정직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젊은 세대, 고학력 수준임으로 이를 고려한 교육훈련, 보상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조직성과 제고와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교육훈련은 대학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통적인 교육훈련방법인 강의식 교육, 회의·토의 프로그램화된 교육 등을 탈피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교육훈련방법, 행동개발 훈련기법, 실무훈련과 인력개발, 전략적 교육훈련 등으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인적자원관리의 가장 기초가 되는 채용관리 측면에서 공개신입채용 뿐만 아니라 조직특성, 직무특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방법으로 행정직원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은 대학행정을 맡고 있는 보직교수와 행정직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대학행정에 반영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하여야 한다. 이는 대학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경영목표 실현과 재정위기 극복 등을 위해 직무분석을 전제로 한 행정조직의 재구조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대학이면서 기독교대학인 대학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대학이라는 것을 모든 구성원이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기독교 대학은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대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형식’이 아닌 ‘진정성’을 가지고 접근하여 ‘십자가 영성’을 기반으로 한 경영전략 및 조직문화가 대학의 중요한 정책기조가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정책기조가 형성될 때 보직교수 및 행정직원들이 동일한 성경적 세계관으로 하나 되어 대학행정조직에서 거룩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게 될 것이다. 셋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의 목적과 경영전략을 인적자원관리에 반영하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경쟁우위 확보의 원천적인 기능을 하는 활동으로 조직의 경영전략과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핵심전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의 미래 및 조직성과 제고를 위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반드시 연계되어야 한다. 실무적 제안은 다음 네 가지이다. 첫째, 채용관리 측면에서 직무분석을 통한 실·처 산하 센터 및 팀별 적정 규모 인원을 산정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하여야 하고, 신규직원의 채용 시기 및 방법, 인재상 등을 중장기 인적자원관리 전략 하에서 전문 분야에 대한 전문 인력 채용을 포함하여 계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적자원의 경쟁력 강화와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비정규직 직원을 채용하기 보다는 정규직 직원을 채용하는 방향으로 인사정책의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교육훈련관리 측면에서 조직과 행정직원의 욕구를 융합시켜 직원의 태도(동기)와 능력을 개발시키는 전략적인 교육훈련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고, 또한 행정직원의 역량 강화 및 동기부여를 위해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평가결과는 반드시 행정직원 인사고과 및 성과평가에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경력관리 측면에서 일부 대학의 대학행정직원 고령화 추세로 인하여 퇴직예정 직원을 대상으로 경력 상담, 노후대책준비, 아웃플레이스먼트 등의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제공해야 하고, 또한 젊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경력관리를 통한 경력경로를 제시하여 승진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자기개발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 직장에 대한 안정감을 갖고 자신의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자 하는 성취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핵심인재육성, 멘토링, 경력개발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보상관리 측면에서 성과중심의 보상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시스템을 가지고 직원을 평가해야 하고, 또한 법정 복리후생은 물론 법정 외 복리후생의 지원으로 행정직원의 사기진작 및 동기부여를 높여서 조직성과를 창출하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실무적 제안은 대학행정조직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지향점이 ‘기독교 행정’에 기반을 두고 인간 중심이 아닌 십자가 예수와 Living Word 안에서 성령이 행하실 때 대학의 진정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혁신이 실현될 것이다. 기독교행정 시사점은 다음 네 가지이다. 첫째, 대학행정조직에서 십자가 신앙과 기독교영성을 갖춘 사람이 행정력을 갖춘 행정보직자 및 구성원이 되어 자신의 소명을 다할 때 성령에 기반을 둔 진정한 대학의 정체성 회복은 물론 하나님 나라가 확장될 것이다. 둘째, 대학행정이 성경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십자가 행정의 실천적 모형이 될 때, 대학의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조직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은 대학행정조직에서 섬기는 총장을 비롯한 실·처장, 행정보직자, 교원, 직원 등을 대상으로 십자가 성령을 통하여 창조주 하나님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만나고, 빛의 나라를 경험하고, 빛 되신 하나님 말씀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삶을 살아가게 하는 ‘기독교 영성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전략적 인적자원정책의 일환으로 새롭게 도입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빛 되신 하나님의 지혜로운 말씀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행정이 이루어질 때, 기독교 영성적 행정사례가 축적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독교 행정이론이 만들어 질 수 있다. 한편, 보혜사 성령이 주체가 되고 성경적 세계관에 입각한 기독교행정을 대학행정조직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조직과 그 조직을 이루는 모든 구성원이 육신의 법이 지배하는 세상의 바다에서 완전히 탈출하여 하나님의 통치역사가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나라에 날마다 거해야 한다. 이때 바로 십자가 능력의 복음과 성경적 세계관에 기반을 둔 기독교행정만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장갑삼아 대학행정조직을 창조주 하나님의 주권이 살아 역사하시고 예수 그리스도가 기뻐하시는 방향으로 대혁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우리가 성령으로 살면 또한 성령으로 행할지니(갈5:25).” 주제어: 기독교행정, 대학행정조직,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혁신행동, 지식공유, 조직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ve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 Jong Dae Ki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tudies Christian Graduate School of Baekseok University Korean universities are facing continual challenges to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due to rapid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e.g.,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regard, university administrations are challenged to establish revolutionary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go beyond simple survival, and drive towards innovative development. The role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is expanding and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university administrations are being tasked with establishing, coordinating, and executing policy plans, as well as procur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s, in order to meet strategic mid- to long-term human resource development goals.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nnovative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re essential in facilitating eff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review, and analyses of empirical research, of the effec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uggests application of findings for university administration in general, and within a Christian university context. This research found,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cohort of administrative staff to be younger and possess a higher degree of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suggest a need for an adjustment to the compensation management programs. Furthermore,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a need to break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s employed by universities, towards a greater emphasis on information technology, behavioral training techniques, practical training and manpower development, and strateg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recruitment management, the hiring of administrative staff should be flexible in order to meet required organizational and job characteristics needs, and follow an open recruitment format. Second, the collection of data and analyse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and administrative staff, as well as analyses of job descriptions, would aid in facilitat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structuring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niversity circumstances (e.g., environmental, management goals and financial crises). Christian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Spirit’, and strive towards a ‘Spirit of the Cross’ in the management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hopes the positional professors and administrative staff become one with the same biblical worldview in fulfilling their holy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the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ird,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an activity that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reflecting the purpose and management strategy of the organization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erves as a fundamental function of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s. In this regar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and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linked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ies. First, for job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ject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for each center and team, and plan for hiring new employees, including professionals in specialized fields.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s and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personnel policy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in hiring regular employees rather than hiring non-regular employees. Second, for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ment, the implementation of a strategic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argeting the improvement of employee attitudes(motivation) and abilities is require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must be reflected in the administrative personnel and performance evaluations. Third, when considering the aging trend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at some universities, programs such as career counseling, retirement preparation, and outplacement should be provided, and younger employees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demonstrating their abilities. Fourth, for compensation management, performance-oriented compensation should be tied to systematic and objective evaluation systems, and administrative staff supported by legal employee benefits and services, as well as out-of-legal employee benefits and services, to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As such, the practical proposal will realize the tru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nnovation of the university when the Holy Spirit performs in Jesus and Living Word, not human-centered, based on a ‘Christian administration’. When considering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when a person with Christian faith and Christian spirit in a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ttains the role of an administrative officer with administrative power, while fulfilling his/her Christian mission, the true university identity based on the Holy Spirit will be restored, as the kingdom of God. Second, when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becomes a practical model of Cross administration based on the biblical worldview, it can lead to innova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at can turn a crisis into an opportunity. Third, there is a need for the introduce and implement a new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s part of its strategic human resource policy to meet the Creator God in Christ Jesus, experience the Kingdom of Light, and live life in the Word of God. Fourth, whe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dministration is carried out with the wise words of the shining God, exemplary Christian spiritual administration cases can be researched, and new Christian administration theory emerge. In order to realize Christia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Biblical worldview as the subject of the Holy Spirit of Counselor, the university organization and all its members must first escape from the sea of the world governed by the laws of the body, and live in the kingdom of God every day. A Christia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gospel of the Cross and the Biblical worldview can revolutionize the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a way that glorifies the sovereignty of the God our Creator and Jesus Christ. “Since we live by the Spirit, Let us keep in step with the Spirit.”(Galatians 5:25) Key words: Christian administration,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nnovative behavior, knowledge shar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에 관한 연구 : 백석문화대학교 ‘기독교의 이해’ 중심으로

        강금연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50687

        본 논문을 연구하는 목적은 효과적인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의 효율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백석문화대학교 학원복음화 사역 가운데 ‘기독교의 이해’가 학원복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가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했다. 최근에는 상명하달식이 아닌 지식정보화 사회에 걸맞은 리더십 패러다임의 전환이 대두되었다.기업뿐만 아니라 학교, 병원 및 공공기관들은 고객 만족과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경영에 초점을 두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기독교의 이해’교수의 리더십에도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왜냐하면 교회 밖에서도 섬김의 리더십을 도입하고,그 모델을 예수님으로 삼아 예수님에게 최고 경영자라는 칭호를 부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섬김의 리더십은 수직적인 지시가 아닌 수평적 대화로 다가가기 때문에 상대의 자리로 내려가는 것을 전제로 한다.예수님과 바울처럼 상대의 자리로 내려와서 종의 자세를 가지고 그들을 변혁시켜 나가는 것이다.조직체와 구성원의 삶에 변화를 일으키려면 변화를 일으키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리더십을 섬김의 리더십으로 보았다.가치관의 혼란과 바람직한 리더십의 부재현상을 보이고 있는 이 시대에 섬김의 리더십은 세상을 바꾸는 방법이다.이 리더십은 하나님이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세워두신 전략의 핵심이다.섬김의 리더십은 섬김을 받는 자들의 필요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그 필요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그들을 도우려면 그들을 돕기 위해 경청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럴 때 그들과 일체가 되고 공감대가 형성되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리더들을 남을 섬기는 사람으로 부르셨다.그런데 리더들 대부분이 명령하고 남들이 따라오도록 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처럼 다가가려고 하는 섬김의 리더십을 발휘할 때 섬김의 리더의 특징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증가될 것이다.리더십이란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통하여 특별한 공동체의 변화를 성취하는 방향으로 인도하는 인간 상호간의 영향력이기 때문이다.리더십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은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능력이기에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아무리 올바른 철학과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도,자신의 뜻을 다른 사람들에게 제대로 알리고 이해시키지 못하면 리더로서의 자격이 없는 것이다.그래서 조직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능력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따라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면 고착된 전달자의 틀에서 수신자의 틀로 과감히 전환해야 한다.‘기독교의 이해’교수 역시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 이러한 전환이 필요하다. ‘기독교의 이해’교수들 역시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N세대 인 학생들을 이해하고 N 세대 학생들과 공감할 수 있는 감성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현대인은 자신과 공감할 줄 아는 사람을 따 르는 경향이 짙기 때문이다.백석문화대학교는 교목실을 두고 채플과 ‘기독교의 이해’를 교양필수과목으로 이수하게 함으로써 괄목할만한 학원복음화를 이루어왔다.그러나 시대가 다변화 되어가면서 학원복음화의 양대 산맥인 ‘채플’과 ‘기독교의 이해’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변해가고 있는 실정이다.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기독교 정체성을 구현하고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 ‘기독교의 이해’도 시대에 맞게 새롭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특히 ‘기독교의 이해’교수의 리더십 역량에 따라 학원복음화가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러므로 ‘기독교의 이해’교수가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의 리더십을 모델로 훨씬 더 효과적인 학원복음화를 이루게 되길 기대한다.

      • 한국교회 여성의 지위 향상과 역할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교회 중심으로

        최현숙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 초록 한국교회 여성의 지위향상과 역할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회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실천신학전공 최 현 숙 본 논문은 한국교회에 여성들의 온전한 참여와 역할이 어떻게 수용되고 실현되고 있는가? 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며 진행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여성의 역할과 지도력에 대한 연구가 신학적으로 논의 되고 있다. 하지만 신학적 입장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누어지고 있어 보수주의적 성경신학적인 몇 가지 원리를 근거로 여성의 역할을 남성과 차등하게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논자는 한국기독교를 조명하여 여성관의 제 문제로 보수신학에 대비되는 성서적 여성관 정립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바야흐로 이제는 그 어느 때 보다 여성이 이슈화되어 가고 있다. “여성”에 대한 탁월한 복음적 이해는 폭 넓은 여성이해에 대한 복음적 응답으로서 발전적이며 적실성 있는 답을 기다리고 있다. 성경이 말하는 여성의 의미와 위치를 이제는 회피 할 수 없다. 급변하는 지금 “한국교회 여성의 지위향상과 역할 개선에 관한 연구”는 인간존중의 양양으로의 발돋움이다. 1장은 본 논지의 서론부분으로 성경적인 여성관의 바른 근접을 위해 한국기독교 안에서 평등적 가치관이 왜곡되고 이념화된 사유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과 목적을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 제시했다. 2장은 성경적인 여성이해의 바른 근접을 위해서 성서와 문헌을 자료로 삼아 여성 창조에 대한 형성 배경, 또 타락 사건에 대한 창세기 저자의 주된 기록 목적을 살펴보며 새로운 성서적 이해를 조망하였다. 성서는 다양한 성차별적 텍스트를 담고 있는데, 성서의 남성 중심적 전승과 해석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가부장제적인 배경 하에 쓰여 진 여성들의 억압과 고통의 문제를 해방의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3장은 ‘한국기독교 역사’를 통해 초기 기독교 교육을 재조명하여 신학적 분석과 평가를 시도하였다. 한국기독교가 어떤 과정을 통하여 남성 우위적인 개념으로 왜곡되었는가와 또 한국교회의 차별적 구조의 비 복음적인 가치와 제도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 그리고 각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성단체의 프로그램과 통계자료를 통해 여성들의 신앙양태와 의식들을 살펴보았다. 4장은 3장까지의 연구를 토대로 한 신학과 목회의 재구성이다. 여성들이 존엄성을 가지고 자신의 역할과 직위를 올바로 인지하는 것은 여성의 역할이 보충성이 아닌 상호성의 관계이다. 한국교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남녀가 함께 ‘성숙한 상호 협력의 전제’가 된 양성평등공동체 문화의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5장은 결론으로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고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미래의 연구로 앞으로 계속 구현되어야 할 개혁주의 생명 신학으로 성령운동이 확산되기를 바라며 마무리 하였다. 본 논문 “교회 여성의 지위와 역할의 개선을 위한 연구”를 통하여 온 인류의 가치관과 문화가 상호 협동적이며 공동체의 구성원의 성장을 촉진하는 균형으로 보며, 분명 앞으로 차세대를 위한 생명공동체문화로서 한국교회를 향한 도약이 되기를 소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