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창을 위한 호흡연구

        이형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성악가에게 있어 발성의 문제는 가장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다. 원할한 가창활동은 올바른 성악발성의 습득에 있긴 때문이다. 성악발성에 관한 이론은 성악의 역사에 비해 체계적인 이론으로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성악이라는 연구형태가 복잡한 인간의 구조나 체질을 바탕으로 하는 까닭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악발성에 관한 이론은 성악가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호흡은 성악발성에 있어 기초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올바른 성악발성을 습득하기 위해선 올바른 호흡의 습득을 필요로 한다. 성악발성에 있어서 호흡은 인위적인 호흡조절이 필요함으로 성악가는 자신의 능력에 맞는 호흡배양을 위해 호흡훈련을 부단히 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성악발성에 있어서 중요하게 다루어 지는 호흡을 연구해 봄으로써 가창시 나타나는 호흡적인 문제를 처리해 보고자 한다. 그것은 음악의 가장 큰 특성인 선율의 흐름을 성악에 있어 호흡이 가장 중요하게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성에 있어 추상적인 개념인 호흡의 원리를 파악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성악가는 호흡의 연구를 통해 가창시 어떠한 곡에서던지 호흡 조절의 적절한 방법으로 곡에서 요구하는 기교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음의 강약, 음의 고저, 선율의 여운, 감정의 기복, 가창시 나타날 수 있는 음악적인 처리는 호흡을 떠나서 생각해 볼 수 없는 문제로 성악가는 호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가창에 임해야 할 것이다. Voice production to the singer is the most important object to study, for smooth singing act is resulted from the good learning of voice production. Its theory, however, has not yet established as a systemic one, mirroring to the history of vocal music. It is because that its form is based in the complex human structure and physical constitution. The theory therefore is a problem to be solved by vocal musician. Respiration is the base of voice produc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master the right respiration in order to learn the right voice production. Since the respiration needs an artificial regulation of breathing in voice production, the musician should keep training the respiration to raise his own production fitting with his ability. This thesis deals with the respirational problem in singing, through studying the respiration treated as a critical question. It is because that the respir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melodical stream which is one of serious feature in vocal music.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respiration, an abstract concept in voicing. Through studying it, however, the singing musician should be able to apply the suitable respiration method into any song requiring a certain technique. The beat and pitch of sound, the lingering of melody, the change of feeling, and other musical problems in singing could not be considered without thinking the respiration, and the vocal musician should sing with recogition of its importance.

      • 중국민족간의 성악의 언어적 특징 연구

        무정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21st century, that is the times for China go to the world, and also the time for let the world know more about China.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China's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other aspects all got a huge change. The art's democracy, content and modality are never had before, and people feel very rejoicing with that. As this function, the people change theirs mind from uniform mode to choose aesthetic consciousness in experience and practice. We can say that, the Chinese traditional music has been made excellent results from passed to now. The Chinese traditional music production also shows to the development trend of diversification, so have a lot of representative composer. They incessantly increase their skills. For adapt to the international trend of development that further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traditional music. Research ours own music’s characteristics, comprehend more about ours own music. Those are very important for increase our music quality and overall quality, so there has very rich resource in every where in China.

      • 성대결절 치료를 위한 음성치료법과 성악발성법의 비교

        최희승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성악가들을 포함한 일반 사람들은 발성 시 자신의 음성을 잘못 사용하거나 남용하고 있고, 발성 하지 않는 과정에서도 행동이나 생활 습관 등으로 음성을 오용하고 있으며 또한 음성에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사람들의 음성은 이러한 여러 잘못된 과정이 원인이 되어 목소리가 변하거나 목에 불편함을 느끼는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여러 잘못된 원인과 증상이 지속되면 성대의 무게와 크기, 성대 접촉에 변화를 일으키는 후두 장애의 원인이 되는데 이런 후두 장애를 가진 이들을 음성 장애자라 한다. 음성 장애자들의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보전적인 약물 치료법과 수술법 등이 시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음성 치료법이 일반 치료법과 함께 병행되어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음성 치료법이란 음성 장애자들의 발성의 잘못된 원인을 찾아 인식 시키고 잘못된 발성 습관을 다양한 방법으로 유도하여 올바른 발성으로 전환시키는 훈련 과정이다. 그 잘못된 발성을 고쳐 올바른 발성으로 유도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음성 치료법과 성악 발성법은그 목적과 의미에서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성악 발성법이 선율로 모든 것을 표현한다는 데에 있어 그 깊이가 더하겠지만, 같은 발성 기관과 후두, 호흡을 사용한다는 원리는 같다. 그러하기에 잘못된 발성의 교정에 있어서도 같은 이론이 사용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음성 치료사 Daniel R. Boone의 역서인 음성과 음성 치료 (원제 Voice and Vocal Therapy)에 소개된 25가지 음성 치료법을 중심으로 성악 발성법과 유사한 점이 있는 몇 가지의 치료 과정을 성악 발성의 여러 훈련법과 비교하였다. 음성 치료법과 성악 발성법은 여러 저자들의 성악 이론서 들을 토대로 하여 비교 한 결과 상당 부분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음성 장애자들 중 일부를 차지하는 성악인 들은 음성 치료법이 성대 치료에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 성악인 스스로 잘못된 발성 습관을 인식하고 조절하여 고칠 수 있고 또한 성대 건강의 예방 차원에서 음성 치료법은 일반 성악인 에게도 연구 가치가 있는 분야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문 외에 성악인의 음성 치료 과정의 사례를 부록화 하여 음성 치료의 효과를 내용화 하였다. 또한 음성 장애의 도발 전에 철저한 음성 관리를 통한 예방이 더욱 중요한 점을 강조 하였다. Many individuals, even singing professionals, have a tendency to misuse or abuse their voices both in vocalizing and non-vocalizing situations, and their voices are constantly exposed to harmful elements, weakening their vocal systems. When these harmful conditions continue, they may result in cracked voices or various laryngeal disorders. The worsening of these symptoms or a continual exposure to the harmful environments without proper treatments may bring about more serious laryngeal disorders, which deforms the size and weight of the vocal cords. This problem, called "voice disorder," had been exclusively treated with chemical medications or more drastic surgical operations, but currently a natural vocal therapy is introduced to supplement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se traditional procedures. The purpose of the vocal therapy is to help the patients with the voice disorder to recognize the sources of their problems and to rectify their inappropriate vocalization techniques and habits. Because both the therapy and voice training aim to correct and instill proper vocalization habits and primarily focus on the same apparatuses - larynx, breathing techniques, and vocal system - underlying principles are similar, only difference being that the voice lessons go a step further and add a musical dimension. Thus, any singing professionals can employ the same corrective techniques to correct improper vocalization and breathing techniques. This paper compares the conventional vocal training methods to the twenty-five therapeutic techniques used by an American speech therapist Daniel R. Boone. Since many authorities attest to the fact that vocalization techniques and the vocal therapy have much in common, the vocalists who may suffer from the voice disorder can employ the same voice therapy techniques to improve their conditions. Furthermore, the vocal therapy would enable the singers to recognize and change their improper vocalization methods and help them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disorder by promo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proper vocalization. Real accounts of singers who underwent the voice therapy successfully are documented,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is discussed in the appendix.

      • 성악가를 위한 운동과 영양에 관한 연구

        김동환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훌륭한 성악 연주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호흡 훈련, 발성 연습, 성악 연습의 반복은 물론, 적절한 영양과 체력적 뒷받침이 함께 하여야 한다는 의견에 많은 전문 성악가들이 공감하고 있다. 전문 운동선수들처럼 많은 에너지와 스태미나가 요구되기도 한다. 하지만 잘못된 식습관이나 자세가 성악 연주 발전에 저해 요소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관리 방법이나 이유 등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모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신체를 악기로 삼는 전문 성악가에게 잘못된 자세나 호흡은 발성 저하로 이어져 결국에는 성악 연주에도 장, 단기적인 악영향을 주게 된다. 성공적인 성악 연주는 여러 분야에 걸친 철저한 준비를 필요로 하지만 운동과 영양이라는 측면이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진 바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성악 연주에 필요한 호흡과 발성을 위한 해부학적 구조들에 대해 기존 연구들을 통해 운동해야하는 근육들에 대해 알아보고, 성악 연주에 필요한 해부, 생리학적 해석을 바탕으로 최적의 운동과 식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호흡 활동에 필요한 올바른 자세와 호흡의 역학, 발성에 관련된 근육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척추의 바른 자세(중심근육의 발달과 올바른 자세에 대한 인식을 통한 생활습관 교정에서 비롯되는) 유지, 특히 머리, 목, 흉곽에 연결되는 자세의 안정성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며, 횡격막의 자유스러운 운동을 위해 여러 보조적인 근육들(늑간근, 복부근육, 장요근, 후두내근)의 발달 또한 큰 의의를 가진다. 성악가 개개인 마다 선천적, 신체적, 심리적 잠재 능력들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효율적인 신체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운동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 적절한 평가가 요구된다. 평가의 세부적인 내용에는 자세평가 (Posture Evaluation), 중심근육평가(Core Muscle Test), 머리-목-흉곽의 기능성 평가, 폐활량 검사 및 호흡 능력 검사, 기초 체력 검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성악에 필요한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운동을 선택할 수 있다. 해부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거의 없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성악가를 위한 운동법(호흡훈련, 중심 근육 운동, 머리-목-흉곽의 올바른 자세와 안정성 돕는 운동 등)을 소개한다. 운동과 더불어 올바른 식이는 건강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몸에 더 잘 적응시키고 성악 연주에도 큰 도움을 주므로 영양에 대해서도 운동선수와 마찬가지의 접근법으로 연구해 보았다. 이러한 영양을 통해 성악연주 시 에너지의 지속력과 강도가 증가하고, 피로감이 개선되며, 성악연주활동 후에 회복력이 증진되어, 성대의 손상을 예방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건강의 유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개인의 영양 상태는 현재 식단에 대한 조사와 영양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성악에 도움이 되는 영양의 핵심은 기본 영양소(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미네랄, 수분)가 충분히 포함되어 있는 건강한 식단을 가능한 규칙적으로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다. 개인의 에너지 소비량에 부합하는 칼로리 섭취와 균형적 식단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철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성악연주는 운동과 영양뿐만 아니라 마음과 영혼까지도 고려하는 만큼,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좀 더 과학적인 규명이 필요하겠지만, 해부학적, 생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성악가를 위한 운동과 영양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악인의 평소 건강 유지와 성악 연주의 발전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Robert Schumann의 Liederkreis op.24에 관한 연구 :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혜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슈만은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한 작곡가로서, 그의 전 생애를 통해 300여 곡의 가곡을 작목함으로서 독일의 19세기 낭만주의 예술 가곡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낭만주의의 가곡은 일반적 특징으로는 시와 음악의 조화를 꾀하고자 성악 선율은 서정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고, 피아노 반주부분도 낭만적인 특성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 또 성악 성부와 무관한 독립적인 피아노 반주는 선율의 소재에 의한 분위기와 의미를 더 높이는 기능을 했다. 이와 같은 기법의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슈만을 들 수 있다. 슈만은 시에서 받은 영감을 선율에 섬세히 드러내어 이를 반주와 함께 잘 조화시켰다. 주로 성악 성부에 보조적인 역할만을 맡았던 피아노 반주를 독립적이고 대등한 위치로 끌어내어 이전 시대의 작곡가들에 비해 가장 완성된 형식을 피아노 반주부분에 부여했다. 그의 가곡에서 전주, 간주, 그리고 후주의 역할은 특징적이다고 할 수 있다. 전주는 연주자가 간신히 시작할 수 있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고, 간주는 곡을 연결하며 통일감을 주고 있고, 후주는 전체 노래를 지속시키거나 강화시키는 느낌을 갖고 있다. 또 가곡 속에서 마디구조는 비례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하더라도 시어와의 관계 속에서 마디수를 확장, 연장시키기도 했다. 슈만은 반음계적 진행, 변화화음, 비화성음의 자유로운 사용으로 인한 조성의 불명료함과 모호성으로 낭만적 분위기를 묘사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슈만은 낭만주의 예술가곡의 시조인 슈베르트의 뒤를 이어 보다 더 낭만적, 서정적인 예술가곡으로서 낭만음악을 창조해내었다. 본 논문에서 다룬 「리더크라이스」op. 24는 하이네(Heinerich Heine, 1797~1856)의 시에 의한 9곡으로 된 연가곡으로서 슈만이 피아노 작품을 작곡하던 성향에서 본격적인 가곡 작곡으로 전환한 때 초기의 가곡이다. 그는 클라라(Clara Wieck Schumann, 1819-1896)와의 결혼한 해인 1840년에‘가곡의 해’로 불리 울 만큼 가곡 작곡에 집중되었다. 이 작품은 가곡 작곡하는 초기 시기의 곡으로 이전에 피아노 작품을 주로 써왔던 배경으로 피아노 반주부분이 더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나 있기도 하다. 슈만 가곡의 특징들에 비춰 이 작품을 연구함으로서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것들의 최종적인 목적은 연가곡으로서 순환적인 모습과 각 곡마다의 통일성을 이루는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며, 시와 음악과의 조화,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부 사이의 관계를 통해 연주시 9곡의 흐름을 파악하고 청중에게 전달하여야 한다는 생각 아래 이 작품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낭만주의 가곡의 특징을 살펴봄으로 낭만시대의 작곡가인 슈만 가곡의 특징 또한 알아보고 그의 가곡에서 피아노 반주부분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전주, 간주, 후주의 역할과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부분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분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와 음악과의 관계성을 살펴볼 때 곡의 구조가 시의 구조와 일치하는 통절 형식을 취하기도 하고 제 7곡과 같이 4개의 절을 한 형식으로 계속 반복하고 있는 유절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또 변형된 유절 형식은 여러 곡에서 취하고 있다. 둘째, 조성을 살펴보면 9곡 중 제 1곡과 제 9곡을 D장조로 같게 하여 곡 전체에서 조성 통일성을 주었다. 또한 제 8곡과 제 9곡에서 나란한조를 사용하여 각 곡의 사이에서도 순환적인 모습을 꾀하고 있다. 셋째,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의 관계에서도 제 3곡은 노래의 첫 가사와 함께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간이 서로 동등하며, 독립적으로 되어 슈만 고유의 특징을 지녔다. 제 6곡에서는 길게 늘려져 있는 후주에서 이별의 슬픔이 잔향처럼 흐르고 있다. 이는 시의 분위기를 음악과 융화시키는 반주의 역할이라 볼 수 있겠다. 제 9곡은 보다 풍부하고 발전된 형식을 취하고 성악 성부의 선율은 피아노를 사로잡고 았다. 긴 후주를 통해 처음 리듬으로 되돌아가며 이를 통해 연가곡의 전체를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사이에 존재하는 통일성을 보여주고 었다. 슈만은 가곡 속에서 피아노 반주의 역할을 성악 성부와 이중주를 꾀하며 슈베르트의 뒤를 이어 예술가곡의 발전에 공헌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19세기 낭만주의 가곡의 특정들을 반영시키고 있고 슈만의 특정인 시어와 음악의 융화, 성악 성부와 피아노 반주의 관계를 잘 조화시키고 연가곡에서 보여지는 통일성을 꾀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 볼프(Hugo Wolf, 1860~1903),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등과 같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되었다. Robert Schumann is a composer who played an active part during the romantic period, affecting much on the development of artistic song of German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by composing some 300 pieces of songs throughout his whole life. If the general properties of romanticistic songs is cited, the vocal part became to have some lyrical properties in order to devise harmony between poetry with music, while the part of piano accompaniment became a means to express the romanticistic properties. Also, an independent piano accompaniment unrelated to the vocal part which functions to heighten mood and meaning by a motif of melody. Schumann is counted as the representative composer who uses this technique. Schumann harmonized an inspiration from a poem well with the accompaniment by exposing it subtlety into melody. He offered the part of piano accompaniment with the most accomplished form which played a supplementary role of the vocal part by making it to occupy an independent and equal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mposers of the former times. The role of prelude, interlude, and postlude contained in his songs is characteristic. At times, prelude can be narrowly started by performer or does not exist by any means, interlude connects two pieces to give unification, and postlude maintains and reinforces the whole song. Though the structure of phrase has a proportional structure in his song, the number of phrases are expanded or extended in relation with poetic diction. Schumann depicted the romantic mood by means of obscurity and ambiguity owing to free use of chromatic procession, transformed chord, and note out of harmony. Through these properties, Schumann created a romanticistic music as more romantic and lyric artistic songs following Schubert, an originator of artistic songs of romanticism. Liederkreis op. 24 is a love song composed of 9 pieces written by Heinerich Heine(1797-1856) in his early period, when he converted his composition style from piano works to full-scale song. He concentrated in composing songs in 1940, called 'a year of song', when he was married to Clara Wleck Schumann (1819-1896). In this piece, the part of piano accompaniment is more expanded with a background in which he formerly composed piano pieces in main. Throughout this thesis, the properties of Schumann's song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it has a circulatory aspect as a love song and whether each piece is unified through analysis, and to identify harmony between poetry and music, and relationship between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which results in as follows: First,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music, it takes a form of whole phrase in which the structure of song corresponds to that of poem, or a form of possessive phrase in which 4 phrases are continually repeated into a form as in the 7th piece. And he takes transformed form of possessive phrase in a number of opuses. Second, he gives unification of tonality in the whole song by making 1st piece identical to 9th piece with D major. In addition, parallel key is used in the 8th and 9th pieces to search for a circulatory aspect among all the piec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of the 3rd piece is identical each other from the first lyrics, while they become independent by taking Schumann's own unique properties. In the 6th piece, sorrow of parting expressed with reverberation in the postlude extended at full length, which plays a role of accompaniment by fusing poetic mood and music. The 9th piece takes richer and more developed form, while the melody of vocal part captures piano. The lengthened postlude makes it return to the first rhythm, through which unification is found in the whole love song between the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Schumann seeks for the role of piano accompaniment in the vocal part and duet in songs, whil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stic songs as a successor of Schubert. This opus reflects the properties of romanticistic songs by means of fusion of poetic diction and music, and good harmony between vocal part and piano accompaniment, and unification found in love songs. All of these properties have effect on many composers including Johannes Brahms(1833-1897), Hugo Wolf(1860-1903), and Richard Strauss (1864-1949).

      • 한국 대학교 성악과 교육과정 분석 : 4개 대학교 성악 전공을 중심으로

        ZHANG JIEXUE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한국의 성악교육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을 만큼 발전 하였다. 또한, 한국 성악가는 몇 해 사이에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 다. 따라서 저자는 한국 성악 교수의 가치를 인정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서양음악의 영향을 받은 한국음악 교육의 발전사, 한국 성악 교 육의 과정 체계, 교수의 역할, 한국 음악 교육에 대한 정부 정책 등 4개의 장을 통해 저자가 알게 된 한국 성악 교수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저 자는 논문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면서 대학교 성악 교수인 류현수, 이영숙, 정낙영, 최종우 등 네 분의 교수를 인터뷰하였다.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 전남대학교, 한세대학교, 부산대학교 4개 대학교 의 음악 교육 과정을 통해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대학교에서 개설된 과정을 분류, 귀납 및 요약하고 표로 작성하여 결과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 했다. 저자는 한국의 성악 교육과정 체계에 대해서도 제안점을 제시했다. 저자는 한국 성악 교육의 발전 역사와 과정, 한국 성악 교육의 체계 등 을 탐구함으로써 한국 성악 교육이 성공한 원인을 찾고, 연구 성과를 청해 민족대학교의 성악 교육의 개혁과 연구자 개인의 교육과정에 응용함으로써 청해민족대학교에서 성악 교육이 성장하고 발전하도록 촉진하고자 한다.

      • 성악교육에서의 과제곡의 실태 : 1999~2008년까지의 계명대학교 졸업연주회 program을 대상으로

        황진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ate of arts is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activities. Music can not be excluded from that point. Especially, the art of vocal music is formed when human voice is sounded. Therefore, an act of self-expression through moving vocal cords is more emphasized than any other arts. This feature, which emphasizes the act, caused both teachers and learners of vocal music to have an interest only in practical aspect, disregarding theoretical aspect. Education and activities of vocal music which are placed too much emphasis on now need theoretical and systematic analysis and evaluation so that reasonable direction for vocal music education and activities could be set through attaching theory to practice. In Korea, the systematic initiating and developing of the art of vocal music are carried on through activities at univer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our art of vocal music, problems of vocal music activities should come to the surface on the basis of theory from every point of view. The activity of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ideology, process and method. Among those activities, education process has caused trouble at the field of vocal music education. The core of education process in vocal music education is 'Assigned Piece'. Therefore, grasping the actual state of assigned piece equals grasping the realities of vocal music education. The changes of assigned piece also means the changes of vocal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at grasping the actual state of assigned pieces which have been taught at the tion.tment of Vocal Music, Keimyung University in terms of history of music. Vocal music has a lot of forms to perform, and songs for graduation recital is related to assigned pieces which are used for vocal music education at universities. I chose Graduation Recital Programs of Department of Vocal Music at Keimyung University from 1999 to 2008 as an object of study to achieve the aim of this research. Analysis method is to classify the collected data by composers, and grasping composers nationalities and the age of the composers. For subdivided work, a melody and a aria will be compared, and also each part of a voice part will be compared. This comparison will be present with percentage when need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form public opinion which makes the public has critical mind about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rt of vocal music. It will also present necessary data when selecting assigned piece on the basis of objectivity, not individual differences considered. This theoretical arrangement and criticism about the practice of arts will be needed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not only in the art of vocal music, but also in other arts. 예술의 상태는 실천적인 활동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음악도 이에 예외일 수 없으며, 특히 성악예술은 사람의 목소리를 매개체로 하여 음화 될 때 비로소 성립되므로 성대의 운동을 이용한 자기표현의 행위가 타 예술보다도 더 강조 된다. 이렇게 행위가 강조되는 성악의 특성은 성악을 지도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 모두에게 실천적인 면에만 관심을 갖게 하며 이론적인 면을 성악예술에서 등한시하게 했다. 실천적인 면에만 줄 곧 치중되어 온 성악 예술 활동과 교육을 이제는 이론적으로 체계성 있게 분석하며 평가하여 그 실천에 이론을 정립해 주며 앞으로 나갈 길에 근거 있는 방향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한국에서 성악예술의 체계적인 전수와 발전은 대부분 대하의 성악교육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우리의 성악예술 발전을 위해서는 성악교육 활동에 대한 문제가 여러 방면에서 이론적인 근거에 의하여 표면화 되어져야 한다. 교육활동은 교육이념,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성악교육활동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교육과정이며 성악교육에서 교육과정의 핵심은 과제곡이다. 따라서 과제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성악교육의 현실을 파악하는 것이 되며 이의 변천은 바로 성악예술의 변천을 뜻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계명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에서 교수되는 과제곡들에 대해 음악사적인 견지에서 그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성악의 연주는 여러 형태로 수없이 많이 있는데 대학의 성악교육에 사용되는 과제곡과 실제적인 관계가 있는 것은 졸업연주곡이다. 이에 필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명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의 1999년부터 2008년까지의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연구의 대상으로 채택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수집한 자료를 카드화 하므로 작곡자별로 분류한 다음 그 작곡자의 시대와 국적을 음악사적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세분작업에 있어서는 가곡과 Aria 라는 성악곡의 종류에 따른 비교를 해 보고, 성부의 각 Part 별로도 비교를 할 것이다. 서로 비교를 요하는 것은 백분율로 나타낼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성악예술발전을 위한 교육에 문제의식을 갖도록 하는 여론을 형성할 것이며 개인차가 고려된 보다 객관적인 기준에 의한 과제곡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예술의 실천에 대한 이론적 정리와 비판은 비단 성악예술 뿐만 아니라 타 예술에 대해서도 그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 한국과 중국 음악대학 성악과 교육시스템의 비교분석 연구

        조은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음악대학 성악과의 교육시스템과 한국 음악대학 성악과 교육시스템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한국 음악대학에는 중국 유학생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중국 음악대학에는 앞으로 중국 음악대학 성악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서양 클래식 음악도입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서술하였고, 음악대학 성악과 교육시스템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성악과 교육시스템에 대해 전반적으로 서술하였다. 제3장 연구 방법에서는 중국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국음악대학 성악과로 유학을 온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두 나라 교육시스템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면접 문항들은 두 나라의 음악대학 성악과 교육시스템을 비교분석 하기 위한 10개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학생들이 한국 음악대학으로의 유학을 선택한 계기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국의 성악 교육 수준이 중국의 성악 교육 수준보다 발전되었다는 점과 중국 음악대학 교수님들의 추천, 그리고 문화적 차이가 크지 않고 지리적 위치도 적합하다는 점 때문에 유학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음악대학 성악과와 중국의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 전문성에 크게 차이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대학 성악과의 교육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음악대학 교육 시스템이 비교적 체계적이었다. 넷째, 중국학생들은 한국의 음악대학에 바라는 점으로 언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대학원 선택과목의 다양성, 보다 편리한 기숙사 제공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국의 음악대학 성악과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한다. 먼저, 전문성을 갖춘 성악과 교수를 선정하고 성악가가 갖추어야 할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가곡문헌과 딕션 등 부족한 전공과목에 관한 수업을 개설하여야 하며 오페라 앙상블, 오페라스코어리딩, 오페라 워크숍, 연주 및 비평 등 다양한 실기에 관련된 수업들을 개설하여야 한다. 그리고 음악전공자들이 찾아 볼 수 있는 외국문헌들을 번역하고 편찬하며, 음악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주축이 되는 오페라를 개최하고 교내 연주 및 음악대학들 간의 교류를 통해 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음악대학에는 중국 유학생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중국 음악대학에는 앞으로 중국 음악대학 성악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한국과 중국의 클래식 성악 교육 부문에서 많은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ducational system of vocal music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music in Korea and China, thus providing necessary materials to underst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Korean university of music and present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vocal music department to Chinese university of music. In the first chapter of introduction, the aim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ntroduction of Western classic music into Korea and China was looked into. In addition, via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system of vocal music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music, the general aspects of educational system of vocal music department in Korea and China we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of study metho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Chines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music in China majoring in vocal music and then came to Korea to study vocal music at the university of music in Korea was carried out, thus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ducational systems of both countries. The items of interview consisted of ten questions for the educational systems of vocal music department in Korea and China.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oice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coming to Korean university of music to study vocal music, most of them thought that the level of Korean vocal music is higher than that of China, and their professors recommended Korean university of music to them. In addition, they thought cultural difference is not big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Korea is proper. Second, the difference of expertise of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vocal music at the university of music between Korea and China seemed to be big. Third, regard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vocal music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music in Korea and China, Korean educational system at the university of music was more systematic than that of China. Fourth, regarding Chinese student's wish for Korean university of music, it is necessary for Korean university of music to prepare the methods to settle down language problems for Chinese students, diversify elective subjects, and provide a more convenient dormitories to them.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vocal music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music in China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the vocal music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Music in China to appoint professors who are specialized in vocal music, open major courses for Italian/French/German song literature and dictions with which vocal musicians could supplement their needs and have qualification as vocal musicians, and provide students various practical technique-related lessons, such as opera ensemble, opera score reading, opera workshop, playing of instruments and criticis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ranslate/compile foreign literature and books which are useful for music majors, hold operas of which main performers are students, and provide students opportunities for campus concerts and interuniversity exchanges, thus making them have a broader perspective.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provide useful data on understand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Korean university of music, a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vocal music department to Chinese university of music, thus making Chinese classic vocal music developed far greater in the future.

      • 효율적인 방과 후 특기적성 성악교육활성화 방안 연구

        김상숙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how after-school vocal education can be revitalized. It was conducted through three ways. Firstly, by basing official documents published in the Council of Education in Seoul and Kyungido, 2009 I looked at how various program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Secondly, I examined the state of vocal education as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uggested a more dynamic and effective programs for vocal lessons and tuition. Thirdly, among the elementary schools in Namyangju in Kyungido, I chose five of them which have vocal lessons and carried out a survey on a sample of 100 parents with 38 questions, which were later analyzed. Results from this enquiry are as follows; Firstly, female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extra-curricular vocal tuitions than male students with 21% compared to 79%. Furthermore it seems seniors are less intrigued by it than juniors with 28% compared to 72%, also parents seem to be very interested in such activity as indicated by the result with 78%. However only five elementary schools currently have such facilities in Namyangju which shows the deficit of particular service to meet the demand of parents in education. Secondly, while of those who received vocal lessons 32% said they were averagely satisfied, those who were said to be satisfied (54%) were proportionally much higher than dissatisfied (14%). This is because largely due to people gaining a sense of confidence while they were singing as a result of effective and satisfactory vocal tuitions. Having received vocal tuitions, 9% said they intend to carry it on for a degree, while 25% said they will consider it and 30% maybe, totaling up to 64% of positive response. This kind of positive result can partly be due to easiness of access to high quality tuition at an early age, leading to discovery of those with musical gifts hence able to develop those skills much earlier than others. Thirdly, with regards to environments and facilities where the lessons are being carried out, they were mostly carried out in normal school classes (58%) with limited space (47%), hence lacks in various equipments for such specialized lessons. With no doubt the level of satisfaction indicates its current state with low 22%. Having done the survey, vocal tuition as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an area which receives reasonably high interes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t generates from its effects correlates highly with positive response. Therefore as results show, it should necessarily revitalized in the realm of early school education. For vocal lessons to become more universal and commercial there should be a change in the awareness of the people that it is not just for selective group of elites. Furthermore, one should promote the lucrative benefits that follows after-school extra curricular activities, hence encouraging more students to engage in those activities actively. For this to occur, music specialists should energetically make efforts to campaign for such programs to be established in schools.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their skills while fuelling their edu- cational appetite and will be given opportunities to explore their potentials for future career at an early age. This would be achieved through high quality vocal tuitions and to make this happen we need more specialized and diverse research continuously. 본 연구는 방과 후 특기적성 성악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첫째, 서울시와 경기도 교육청에서 발행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2009년 이후 새롭게 확대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먼저 살펴보았다. 둘째, 방과 후 특기적성 성악수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성악수업 개설과 어린이 성악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경기도 남양주시 관내 초등학교 중 현재 성악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다섯 초등학교의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총 38개 항목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특기적성 성악수업에 대한 참여도와 관심도는 남학생(21%)보다 여학생(79%)이, 고학년(28%)보다 저학년(72%)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부모의 관심도 또한 78%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도 남양주시의 54개 초등학교 중 현재 성악수업이 개설된 곳은 단 5곳뿐인 것으로 보아 초등학교의 성악수업이 실제 학부모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많은 부족함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둘째, 성악교육을 받은 후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보통이다’고 응답한 경우가 32% 있었지만 만족하는 경우(54%)가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14%)보다는 훨씬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노래할 때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38%)이며, 이것은 성악수업을 통해 노래실력과 자신감을 얻음으로써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기적성 성악 수업을 받은 후 성악을 전공할 의사가 있다(9%)는 경우와 생각해 보겠다(25%) 및 여지가 있다(30%)고 긍정적인 대답을 한 응답자도 64%나 되었다. 이것은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교 시절에 양질의 성악수업을 누구나 쉽게 접함으로써 성악에 재능 있는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양성하는데 특기적성 성악수업이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설문 결과이다. 셋째, 성악수업 시설과 환경에 대한 설문에서는 현재 성악수업이 진행되는 장소가 대부분 교실(58%)이었기에 공간의 협소함(47%)과 피아노, 오디오 등 성악수업에 필요한 제반 시설의 부족(38%)으로 만족도(22%)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특기적성 성악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그 효과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이는 앞으로 성악교육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반증해 주는 결과이다. 성악교육이 보편화되고 대중화 되려면 우선 성악에 대해서 특정인만 배우는 교육이 아니라는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경비 절감이 용이한 방과 후 특기적성의 장점을 잘 활용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방과 후 학교 성악 프로그램이 개설될 수 있도록 음악 전공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홍보하며 노력해야 한다. 학생들은 양질의 성악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각자의 소질을 계발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좀 더 다양하고 폭넓은 미래를 일찍부터 설계할 수 있는 기회까지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좀 더 전문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 대학 성악 학습자들을 위한 독일어 딕션 교육의 실제에 관한 조사 연구 : 딕션 지도 방안 연구를 중심으로

        CAO JIAJUN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교수자가 겪고 있는 독일어 딕션 교육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조사 대상 대학은 18개 학교로 음악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는 독일 가곡 딕션 과목을 성악과 교육의 기초 과목으로 개설하지 않았다. 이는 중국 내 독일어 딕션 교육의 부재를 보여주며 지도방안 연구에 대한 필요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중국 성악 학습자 160명과 세종대학교 교수자 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학습자와 교수자의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독일어 딕션 학습과 지도에서의 어려움을 보면 대부분 학습자는 변모음, 이중모음, 자음 r(r과 l의 구별 포함), n[n]과 ng[ŋ]의 구별, ch[ç]와 ch[x]의 구별,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인한 문제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 성악 학습자들은 독일 가곡의 발음을 표기할 때 IPA가 아닌 한어 병음 또는 중국어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먼저 중국 성악 학습자의 경우 나타나는 잘못된 발음을 발음 구강 구조도와 발음할 때의 구강사진을 통해 학습자에게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IPA를 악보 상에 표기할 때에 모음과 자음의 음가에 맞추어 표기하는 방법을 통해 지도하는 방안이 제시 하였다. 또한, 독일어 딕션 교육에 있어 IPA 학습, 가사 내용 학습, 낭독 연습, 모방 연습의 순서에 따른 종합적인 지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주요어: 독일어 딕션, 한어 병음, IPA, 중국 성악 학습자, 지도방안, 조사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