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만수,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883-890, 2014
2 최기영, "협동적 집단게임이 유아의 공동작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3-164, 2005
3 노수자, "협동적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유안진, "한국의 전통육아방식"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5 엄정애, "한국의 전통 아동놀이 고찰" 21 (21): 117-140, 2001
6 김광언, "한국의 민속놀이" 인하대학교출판부 1982
7 이경우, "한국어린이의 전통적 집단놀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7
8 유안진, "한국고유의 아동놀이" 정민사 1981
9 이기숙, "한국ㆍ중국ㆍ일본ㆍ대만 유아의 일상생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9-71, 2012
10 이경우, "한국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을 위한 큰 책" 한국어린이육영회 1994
1 이만수, "협력적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883-890, 2014
2 최기영, "협동적 집단게임이 유아의 공동작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3-164, 2005
3 노수자, "협동적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역할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유안진, "한국의 전통육아방식"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5 엄정애, "한국의 전통 아동놀이 고찰" 21 (21): 117-140, 2001
6 김광언, "한국의 민속놀이" 인하대학교출판부 1982
7 이경우, "한국어린이의 전통적 집단놀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7
8 유안진, "한국고유의 아동놀이" 정민사 1981
9 이기숙, "한국ㆍ중국ㆍ일본ㆍ대만 유아의 일상생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9-71, 2012
10 이경우, "한국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을 위한 큰 책" 한국어린이육영회 1994
11 정계숙, "집단 전통놀이를 적용한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191-222, 2011
12 이숙재, "제3판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4
13 곽현주, "정서교육활동경험이 유아의 감정이입 및 사회·정서적 문제해결과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14 이병래, "정서 지능 개념의 성립" 2 (2): 195-214, 1997
15 엄정애, "전통유아놀이의 연구와 실제" 창지사 2010
16 공수선, "전통놀이적용이 혼합연령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허소영, "전통놀이의 유아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18 김명애, "전통놀이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수행능력 및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9 조금미,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0 김호숙, "전통놀이가 유아의 보존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제기놀이, 팽이놀이, 고누놀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1 김선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김유경,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김미자,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1): 49-65, 2011
24 신명숙,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5 박태숙,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6 김원준,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198-208, 2010
27 한정은, "전래동요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박향아, "전래동요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발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97-422, 2010
29 이명이, "전래동요가 유아의 정서지능 및 음악적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0 엄성은, "전래동요 부르자" 현대음악출판사 2001
31 김영숙, "전래놀이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32 최상미, "전래놀이노래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3 이상호, "전래놀이 101가지" 사계절 2011
34 손혜영, "자연물을 이용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5 강은덕,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행동·동작·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6 이순자, "유치원의 전통놀이 활용에 관한 실태 및 교사의 지각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7 최미선, "유치원의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8 박영희, "유치원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2 (2): 89-109, 2005
39 배영희, "유치원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40 이학선,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303-325, 2007
41 박선희, "유아를 위한 문학활동" 정민사 1998
42 이영석,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 확인 연구" 6 (6): 1-28, 1998
43 황의명,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 프로그램" 양서원 1999
44 신숙희, "유아 교육과정 영역별 유아의 전통놀이 연구"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45 김영주, "영유아를 위한 발달 영역별 전래놀이의 이론과 실제" 울산대학교출판부 2005
46 이기현, "아동이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이에 관한 연구" 23 : 9-27, 1997
47 이윤희, "신체접촉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8 임미혜, "생각하기·느끼기·행동하기·유아 정서교육과정의 효과 연구"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49 이영숙, "사회극놀이와 연계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5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51 최기영, "두레 정신의 교육적 함의" 9 : 33-54, 2007
52 박성중, "대집단 전통놀이가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3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54 최하연, "기초체력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5 박향아, "경남지역 전통놀이문화에 기초한 유아놀이감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1-28, 2007
56 이혜경, "감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7 藤志美子, "育" 書房 1996
58 李恩和, "傳統놀이의 幼兒敎育現場 適用을 위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0
59 津守眞, "乳幼兒精神發達診斷法 3歲〜7歲まで" 大日本圖書 1965
60 Parten, M. B.,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27 : 243-269, 1932
61 Mayor, J.,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Basic" Harper Collins 3-34, 1997
62 Kohn, M., "A social competence scale symptom checklist for the preschool child" 6 : 430-444, 1972
63 이경우, "5개국 전래동요에 관한 연구" 창지사 1995
64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12
65 보건복지부, "3-5세 누리과정 총론" 보건복지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