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현진, "희망과 공감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2 이용철, "희망, 공감,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주희,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21-232, 2001
4 송현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박혜진, "초등학생의 도움행동과 용서행동이 교우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조훈미,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및 행복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황수영,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행복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8 이희경,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751-766, 2007
9 김미라,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송순옥,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69-90, 2015
1 이현진, "희망과 공감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2 이용철, "희망, 공감,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주희,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21-232, 2001
4 송현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박혜진, "초등학생의 도움행동과 용서행동이 교우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조훈미,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및 행복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황수영, "청소년의 공감, 친사회적 행동. 행복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8 이희경,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751-766, 2007
9 김미라,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송순옥,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69-90, 2015
11 최순영, "인간의 사회·성격 발달심리" 학지사 2005
12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3 이경민,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65-181, 2009
14 권기남,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257-270, 2010
15 김도란,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11-333, 2008
16 하선아,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17 박서희,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8 이지희,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19 문미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과 어린이집에서의 생활만족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0 김성숙,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77-400, 2013
21 김은경, "유아 정서능력과 어머니 정서반응태도에 기초한 또래 유능성 모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2 김진희,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23 김세연, "어머니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4 여미옥,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공감능력과 학습몰입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5 박주희,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6 송선주, "성격강점, 사회적지지 및 공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7 김하니,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28 송영혜, "또래관계" 시그마프레스 2012
29 박민지, "또래 유능성, 자아존중감, 교사-유아관계와 유아 행복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217-240, 2016
30 이상은, "도움받기와 도움주기, 공감 및 정서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1 Seligman, M. E. P., "긍정심리학" 풀무레 2009
32 권석만,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33 정미라, "교사와의 관계와 또래상호작용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293-312, 2017
34 박성희, "공감학: 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35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행동" 문음사 1997
36 임은정, "가족기능성,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가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7 Quann, V., "The visible empathy of infants and toddlers" 61 (61): 22-29, 2006
38 Huebner, E. S.,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66 (66): 3-33, 2004
39 Asher, S. R.,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4, 1990
40 Lyubomirsky, S., "How to be happy: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지식노마드 2008
41 Bryant, B. K.,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53 : 413-425, 1982
42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