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심은실 ( Eun Sil Shim ),김예혜 ( Young Hye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 및 문제행동(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경기도 소재 4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 및 문제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째,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 및 문제행동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는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는 성차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 및 문제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문제행동을 외현적, 내면적 문제행동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와 외현적 문제행동 및 스트레스와 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는 이 둘의 관계를 모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와 외현적 문제행동 및 스트레스와 내면적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중심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덧붙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automatic thought and externalizing-internalizing problems. 410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on stress, automatic thought,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involved in problem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stress, automatic thought, and problems are interrelated. Second, automatic thought effectively mediates stress and problems. Third, this mediating effect manifests itself differently in males and fema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ess, automatic thought, and problems all have significant proportional relations. Second, when problems are categorized into externalizing outward and internalizing ones, it seems that automatic though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1) stres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2) stress and internalizing problems.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matic thought in the relations between (1) stres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2) stress and internalizing problems, do not differ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paper concludes with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이 청소년의 내현화와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장현,오현숙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mode, volitional inhibition mod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behavior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mo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surveys using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self-regulating ability scale (VCI),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scale of Youth Self-Report (YSR) were carried out with 29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with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Meanwhile, self-regulation mode, a mediating variable, was negatively related to all of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 Second, it was found that only the volitional inhibition mode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ty seeking temperament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was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by both the self-regulation mode and the volitional inhibition mod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과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청소년기에 중요한 발달적 의미를 갖는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중, 고등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JTCI), 자기조절척도(VCI) 및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은 내현화와 외현화 문제행동과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매개변인인 자기조절양식은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고, 의지적 억제양식은 자극추구, 위험회피 기질,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과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청소년의 자극추구 기질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 중 의지적 억제양식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과 내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 모두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3세의 기질 특성과 어머니 반응성이 5세의 문제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진나(Jinna Chung)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 of children’s temperamental attributes (i.e.,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to overall and specific externalizing/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during the preschool period. Methods: Data (N =1,438) from the 4th and 6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in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dditive and interactive effects of maternal responsiveness and temperamental attributes of children at the age of 3 years on the broadband and narrowband scales of their behavior problems at the age of 5 years. Results: Overall, results confirmed the additive and interactive effects of maternal responsiveness and temperamental attributes on the levels of different domains of behavior problems. Examination of the interactive effects showed that maternal responsiveness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some behavior problems for temperamentally vulnerable children as compared to children with less temperamental vulnerabilitie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behavior problems might be more pronounced for temperamentally vulnerable than for less vulnerable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외현적,내면적 문제행동간의 관계

        김유미 ( Yu Mi Kim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기 자녀의 사회정서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 2세 영아 126명과 영아들의 어머니 126명 등 총 25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및 부정적 사회정서행동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만 1, 2세 영아들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 전체,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긍정적 사회정서행동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행복감이 높을수록 영아기 자녀들은 긍정적인 사회정서행동을 많이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만 1, 2세 영아들의 외현적 문제행동 및 내면적 문제행동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높은 행복감을 느낄수록 영아기 자녀의 외현적 문제행동 및 내면적 문제행동은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 및 부모지원 분야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heir 1 to 2 year-old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For this study 126 mothers with 1 to 2 year-old inf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covered aspects such a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happiness. The teachers of the inf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that happier mothers have infants who behaves social-emotionally more positively. And the levels of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the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of the infants measured under the diverse sub-categories are correlated positively. Second, the general features of mothers` happiness and their infants`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happier mothers tend to have infants who express lower negative(externalizing/internal)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happier mothers have infants who express more posi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and less negative(externalizing/internal) social-emotional behaviors.

      • KCI등재후보

        가정폭력 피해 아동과 어머니를 위한 부모-자녀 관계치료 10-세션 모델의 효과

        김양순 ( Yang Soon Kim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쉼터에서 생활하고 있는 9명의 어머니와 폭력을 목격한 그 자녀들에게 CPRT 10세션 모델을 5주일 동안 집중적으로 적용하여 훈련한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훈련 효과에 대한 아동의 행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CBCL, PPAS, PSI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동에 대한 부모의 공감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MEACI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태도변화는 부모가 실시하는 특별 놀이 세션을 시작하기 전과 세션이 끝나고 난 뒤 t -검증과 ANOVA 반복측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아동에게 CPRT 10세션 5주 동안 집중적 개입을 한 결과 CBCL 검사 전체 행동문제 중 외현적/내재적 행동문제, 공격적 행동, 불안/우울한 감정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부모의 공감능력을 검사하는 MEACI에서도 CPRT 훈련은 전체적인 공감 능력, 수용적 의사소통, 아동의 자기안내 허용, 아동의 놀이에 참여하는 능력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쉼터에 거주하는 부모-자녀를 대상을 실시한 환경적 제한 때문에 통제집단을 선정하지 못하고 실험집단만으로 연구 설계가 이루어진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런 제한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의 CPRT 훈련 개입은 가정폭력 피해자인 어머니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이 과정을 목격하므로 서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었던 아동들 모두에게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보여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PRT 10session model on 5 weeks intensive training of 9 Mothers and Children witnesses of domestic violence shelter. The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repeated measure were performed for the CBCL, PPAS, PSI pre-post test for the children`s behavioral change, and on the MEACI for the comparison of mothers` attitude to their children`s change between the pre-post play sessions. Among the CBCL Total Behavior Problems, the Externalizing/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 Aggressive Behavior, the Anxious/Depressed Feelings subscale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CPRT intervention. The MEACI Total Empathy, Communication of Acceptance, Allowing the Child Self Direction, Involvement which also shows the mothers attitude to their children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CPRT training.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the sampling which has only an experimental group because subjects reside at the domestic violence shelter. Despite the limitation, this study covers the first CPRT for the domestic violence shelter residence and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intensive CPRT training as a treatment of children witness and the mothers of domestic violence.

      • KCI등재후보

        외현화와 내재화 문제를 가진 청소년의 로샤반응 -인지, 정서, 대인관계영역을 중심으로-

        손창석 ( Chang Seok Son ),백용매 ( Yong Mae Bae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1 동서정신과학 Vol.14 No.2

        본 연구는 정신과를 방문한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심리평가와 진단을 통해 외현화와 내재화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과 연령 및 학력 수준이 비슷한 일반 청소년들을 대응표집하여 로샤검사를 통해 심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로샤검사의 여러 지표들 중 사고의 생산성과 인지자원활용성은 반응 수(R)와 람다 값(L) 및 D점수를, 정서영역은 색채반응 총합(SumC)과 무채색반응 총합(Sum shading) 및 공간반응(S)을, 그리고 대인지각영역은 인간운동반응(M)과 공격반응(AG)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고와 인지자원 활용도 지표에서는 반응 수에서, 정서영역에서는 색채반응총합과 무채색 및 음영반응 총합이, 그리고 대인지각영역에서는 인간운동반응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분석하면, 내재화집단은 외현화집단에 비해 에너지수준이 낮고 정서적 자극상황에서 철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자극 상황을 억압하거나 회피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자극을 단순화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또한 내적인 사고 활동을 통해 좌절된 욕구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고, 스트레스 통제력과 인내력이 부족하여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는 대처능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이들은 외현화집단에 비해 초조, 우울, 불안, 고통스러운 정서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집단은 내재화집단에 비해 낮은 내적 자원을 가지고 있었지만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충족시키려는 경향이 높았으며, 현실에 대해 관습적으로 지각하고 대처하기보다 비관습적이고 충동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화집단에게는 정서자각과 표현 및 대인관계기술을, 외현화집단에게는 충동억제와 조절, 계획능력, 문제해결중심의 개입이 더 적절한 치료전략임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classified youths who had psychological problems into externalizing problems group, internalizing problems group, normal group through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diagnostic process, and investigated the coping styles, cognition, emotion, interpersonal problems by comparing Rorschach responses. Summarie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total responses than internalizing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productivity of thought and cognitive resources than internalizing group. Second, the internalizing group had more higher scores in achromatic color, shadowing response, Sum shadowing than externalizing group, while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higher Sum C than normal adolescents. This results indicate that internalizing group were more depressive, anxious, restless than externalizing group, and externalizing group had more impulsive, aggressive traits than internalizing group. Third, internalizing group has less human movement response(M) than externalizing group. Thi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ocial withdrawal and shrinking behavior of internalizing problems group than externalizing group. Forth, Rorschach recognized as an useful diagnostic tool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stress coping styles and psychopathology from youths who ha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 KCI우수등재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

        허청아(Cheong-Ah Huh),배한진(Hanjin Bae)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777 fa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aged 5-7 years, 912 boys and 865 girl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ata from three waves were analyzed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Our analysis showed that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Second, a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a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In other words, fathers’ prior affective parentin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reschoolers’ late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the preschoolers’ pri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fathers’ later affective parenting.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Given that preschoolers’ pri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decreases fathers’ later affective parenting, which in turn is likely to worsen preschoolers’ late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e recommend finding ways to make fathers show affective parenting regardless of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 KCI우수등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유아기 외현화 행동문제 발달궤적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과 실행기능 곤란

        김선희(Sunhee Kim)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6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trajectories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rom 4-6 year olds and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of first-grade children for elementary school by types of trajectories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Methods: The 2012-2015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The sample for this analysis was 1518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participated from the first (2012) to the fifth (2015) years. Data was analyzed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Results: First,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rom 4-6 year olds showed linearly decreasing change over time. Second, four distinct latent classe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or young children were found (low-decreasing trajectory, high-stable trajectory, moderate-increasing trajectory, and high-decreasing trajectory).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by four distinct latent classe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Young children were on high-stable trajectory showed the lowest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highest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hile young children were on low-decreasing trajector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lowest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se result showed that four distinct trajectories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rom 4-6 year olds was close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of the first-grade children for elementary school. Conclusions: Finding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early intervention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grounded by four distinct latent classes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내재화, 외현화, 내-외 혼재 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기질 및 성격에 대한 비교 연구

        구연익,노경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children with internalizing, externalizing disorders and comorbidity, to identifiy variables that distinguish internalizing, externalizing disorder and comorbidity. The sample comprise of 49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under psychological treatment in Songpa AiZone, Seoul for Day Treatment Center Childen & Adolescents. The measurements are K-CBCL and JTCI.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 externalizing disorders and comorbidity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ernalizing disorders group in novelty seeking. Second, the internalizing disorders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xternalizing disorders and comorbidity group in harm avoidance. Third, the externalizing disorders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internalizing disorders group in cooperativeness. Fourth,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internalizing disorder from externalizing disorder are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and cooperativeness. Finally,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comorbidity from internalizing disorder is cooperativenes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omorbidity group and a proposal of therapeutic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재화, 외현화, 내-외 혼재 장애(이하, 혼재 장애)를 지닌 아동의 기질 및 성격 특성을 비교하고, 각 집단을 유의하게 변별해주는 기질 및 성격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형 아동․청소년 주간치료센터인 송파아이존에 내원하여 심리치료 중에 있는 초등학생 49명의 양육자에게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와 한국판 아동용 기질 및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장애집단별 기질 및 성격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기질 요인 중 자극추구는 외현화와 혼재 장애집단이 내재화 장애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위험회피는 내재화 장애집단이 외현화, 혼재 장애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성격 요인 중 연대감은 외현화 장애집단이 내재화 장애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다음으로 내재화와 외현화 장애집단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자극추구가 높을수록 외현화 장애집단을, 위험회피가 높을수록 내재화 장애집단을, 연대감이 낮을수록 외현화 장애집단을 변별하였다. 또한 내재화와 혼재 장애집단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대감이 낮을수록 혼재 장애집단을 변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재화 장애집단은 위험회피의 기질적 극단성이, 외현화 장애집단은 자극추구의 기질적 극단성 및 연대감의 성격적 미성숙이 설명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이를 기반으로 두 장애집단에 대한 치료적 제안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혼재 장애집단은 자극추구와 위험회피가 모두 높아 기질적 취약성이 가장 두드러지고, 연대감 또한 미성숙하므로 그 동안 간과되었던 아동․청소년기 혼재 장애에 대한 중요성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평가와 진단에서 K-CBCL과 MMPI-A의 유용성

        이슬아,김근향,육기환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iles of K-CBCL and MMPI-A in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disorders. Parents of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s(n=34) and those with externalizing disorders(n=29) completed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Adolescents in both groups completed the Korean MMPI-A. The subscales of K-CBCL well reflected the behavioral problems of each group. In the MMPI-A profiles, the internalizing disorders group showed elevated scores on F, Hs, D, Hy, Pd Pa, Pt, Sc, and Si. Moreover, in all subscales of MMPI-A except L and K, they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externalizing disorders group, and the difference in some sca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y subscales of MMPI-A was not elevated over 60T score in the profiles of the externalizing disorders group. MMPI-A profiles showe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but did not reflect well those of adolescents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It could be attributed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Further studies need to recruit participants with more specific diagnosis.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t scale was especially important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ome subscales of K-CBCL and those of MMPI-A showed mild correla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