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임상심리대학원 인증제의 방향성에 대한 제언

        홍지영,조현주,이종선,김소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우리나라는 아직 심리서비스 제공 인력에 대한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으로, 최근 들어 국제적인기준에 걸맞은 임상심리전문가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임상심리학자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임상심리학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심리서비스 실무를 제공하는 분야로, 임상심리전문가 혹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취득을 위해 최소 석사 학위와 약 3년의 수련 시간이 요구된다. 임상심리대학원 과정은 전문성을 증진시키는 핵심적인 교육과정으로, 대학원 과정에 대한 질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전문 인력을배출하고 국가와 지역사회 수준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임상심리학자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이에 따른 훈련 과정을 점검하고, 석사 수준의심리서비스 대학원 인증 제도를 검토하여 국내 임상심리대학원 인증제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조사 결과, 영국과 미국의 경우 임상심리학자가 되기 위해 최소 박사 수준의 교육이 요구되며, 독립적인 전문가로서 다양한 대상에게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심도 있는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석사 과정에서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교육을 제공하나, 박사 과정과 동일하게 윤리, 다양성, 실습이 강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국내 임상심리대학원 인증제 도입 시 임상심리학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석사 과정에서 교과목을 확장하는것과 더불어 체계적인 실습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심리대학원의 구체적인 커리큘럼에대한 고민뿐만 아니라 제도와 행정 및 인적 자원을 포함한 프로그램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outh Korea needs to establish a legal system for psychological service providers.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qu ality of clinical psychologis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n expert model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has recen tly been emphasized. Clinical psychology is a field that provides psychological service practice based on scientific eviden ce, and obtaining a “clinical psychology expert” or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ist level 1” certificate requires a m inimum of a master’s degree and three years of training. Strengthening expertise through graduate programs is essenti al, and effective quality management is vital for producing adept professionals and providing qualified mental health se rvices at both national and community levels. This study examined the competencies and training processes required fo r clinical psychologists, focusing o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e reviewed the accreditation system of master’s-level graduate programs to propose the guidelines for the domestic accreditation system for clinical psychol ogy graduate program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becoming a clinical psychologist entails a min imum doctoral-level education and comprehensive training to independently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to diverse p opulations. Although the master’s programs offer relatively limited education, they similarly underscore ethics, diversity, and practical skills, akin to doctoral programs. Therefore, when imposing future accreditation systems for domestic gra duate programs, we suggest broadening coursework and implementing systematic practice in master’s programs to deve lop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clinical psychologists. This should involve addressing concerns about the curriculum a nd fundamental improvements in the program structure, encompassing administrative and human resource aspects.

      • KCI등재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시설 현장의 요구: 대안적 임상심리 자격 제도에 대한 필요성

        이연주,최승원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을 파악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에서의 상근 직원의 현황과 구직 자격 요건에 대한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고 실무자와 관련 업계 종사자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자료 조사 결과에 따르면정신건강증진시설에서 상근직으로 근무하는 전문요원은 38.23%이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는 5.12% 에 해당하며 61.77%는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비전문요원이었다. 1년 동안 게시된 한국정신건강전문요원협회의 구인공고 중에서 40.70%는 임상심리, 사회복지, 간호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되었고, 30.97%는 전문요원 자격증을 요구하였으며 25.66%만이 특정 직역의 전문요원 자격증을 요구하였다. 현장 실무자의 FGI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하는 직무에는 사례관리, 정신건강증진사업, 행정입원 신청, 입원적합성 심사, 응급위기개입, 수련과정 운영이 있었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개별 직무에는 정신질환자의 심리 평가, 심리 상담, 연구가 있었다. 자료 조사와 FGI 결과에 따르면 전문요원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근무 장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의료기관을 제외하고는주로 직역의 특성이 반영되기보다는 국민의 정신건강증진과 지역사회 정신보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공통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을 이해하고 임상심리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도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ffing statistics of full-time employees at mental health improvement facilities and job requirements.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to identify the role of mental health speciali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38.23% of full-time workers at mental health improvement facilities were specialists, 5.12% were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ists, and 61.77% were non-specialists with related certificates. In the job postings by the Korea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over the past year, 40.70% of facilities sought individuals with certificates in clinical psychology, social work, and nursing, 30.97% required specialist certificates, and only 25.66% specifically requested mental health specialist certificat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GI, the common tasks included case management, services aimed at improving mental health, requests for administrative admission, assessment of legitimacy of admission, crisis intervention during emergencies, and training courses. The data analysis and FGI indicate that mental health specialists in mental health improving facilities, distinct from medical institutions, are typically engaged in common tasks. Researchers are hopeful that these findings will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oles played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system that encapsulate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clinical psychologists.

      • KCI등재

        임상심리전문가의 역량 분석: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방향성 모색

        고그림,한영경,최승원 한국임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8 No.2

        한국의 임상심리학이 성장을 거듭함에 따라 교육 및 수련 제도에 대해 현행 보다 표준화된 질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표준화된 제도를 위해서는 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 논의가 선행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러나 임상심리전문가의 역량에 대해 조사한 국내 연구 및 논문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심리전문가의 핵심 역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심리전문가가 재직하는 기관을 조사한 후 각 기관에서 임상심리전문가를 선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직급의 조직 내부 전문가 9명을 선발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문화적 다양성, 개입, 다학제간․다영역간 협력, 심리평가, 연구, 윤리 및 직업적 가치, 지도․감독 총 7개의 역량군이 도출되었다. 역량군에 대한 분석과 함께 도출된 역량과 관련된 쟁점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쟁점은 각 역량에 대한 현 한국사회에서의 한계 및 요구와 관련되어 있었고,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심리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

        김석웅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본 조사는 국내에 부재한 심리서비스 관련 법안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심리서비스 관련 법안의필요성을 밝히고 나아가 임상심리학회의 역할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대상으로 2022년 8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에 참여한 총 표본 수는 710명이었다. 조사내용은 ‘심리서비스 이용실태’,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에 따른 욕구’, ‘심리서비스 제도에 대한인식’ 3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710명 중 338명이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었으며, 나머지 372명은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에서 향후 심리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75.8%)고 응답했으며, 심리서비스 기관을 선택하는 경로는 주로 ‘지인의 소개’를통해서였고, ‘인터넷 검색’, ‘기관 연계’, ‘지역 대학에 문의’ 등의 응답 순이었다. 심리서비스 기관을 선택하는 기준은 ‘보유 자격증’을 가장 먼저 꼽았고, ‘서비스 내용’, ‘비용’, ‘근접성’ 순이었다. 특히 20대는 ‘서비스 비용’을 가장 크게 고려하였으며, 20대의 경우 경제적 자립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수 있어 ‘서비스 비용’이 심리서비스 기관 선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자의 능력’을 심리서비스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했으며, ‘상담자의 자격’, ‘상담자의 경력’, ‘상담비용’ 순으로 반응했다. 심리서비스 유경험자의 경우는 ‘상담자의 능력’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상담자의 자격’도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 보다 더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자격에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내담자를 존중하는 태도’, ‘비밀유지’, ‘도덕성’ 순으로 높았다. 심리서비스 관련 전문자격 취득 시 심리학을 전공해야 한다는 것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93.0%로 매우 높았고, 이는 전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ublic’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ervice-related bills that are not in Korea, to clarify the need for psychological service-related bills, and to further clarify the role of the Clinical Psychological Assoc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5, 2022, targeting adults aged 19 or older across the country, with a total of 710 respondents participating.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areas: “Use of psychological services,” “need based on experience of using psychological services,” and “awareness of the psychologica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338 out of the 710 respondents had prior experience with psychological services, while the remaining 372 indicated no such experience.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psychological services in the future (75.8%), and the primary avenues for selecting psychological service providers were “recommendation from acquaintances,” followed by “internet searches,” “institutional connections,” and “contacting local universitie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psychological service institution were primarily centered on the “possession of certificate,” followed by “service offerings,” “cost.” In particular, those in their 20s considered “service cost” the most, and those in their 20s may have a relatively low economic independenc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dicating that “service cos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oice of psychological service institutions. “Counselor’s 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psychological services, followed by “counselor’s qualifications,” “counselor’s experience,” and “counselor fees.” In the case of those with experience in psychological services, the “ability of counselors”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the “qualification of counselors” was also considered more than those who had no experience in using psychological services. Many respondents believed that “professionalism”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individuals seeking qualifications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it was high in the order of “a respectful attitude toward clients,” “commitment to confidentiality,” and “morality.” Notably, 9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a major in psychology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acquir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services, and this consensus held true across all age groups.

      • KCI등재

        한국판 MMPI-2의 개발 연구

        한경희,임지영,김중술,민병배,이정흠,문경주 한국임상심리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판 MMPI-2 표준화과정을 기술했고 한국판 MMPI-2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미국규준집단의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했다. MMPI-2의 규준집단(남자 651명, 여자 701명)은 <2000년 인구 및 주택 총조사>에 기초하여,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 비례에 따라 표집하였는데, 통계검증 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지역, 거주지에 준거해 2000년 한국국민을 잘 대표하였다. 척도의 원점수는 적절한 T 점수 (동형, 선형)로 전환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형 T 점수로 전환된 임상척도와 내용척도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들 척도의 동형 T 점수 편포치가 선형 T 점수의 편포치보다 더 고르게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MMPI-2의 새로운 T 점수 전환법인 동형 T 가 척도간 백분위를 동등하게 해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국집단의 척도 점수는 미국집단보다 높았으며 문항반응 빈도에서 한미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MMPI-2 문항 중 남녀 집단을 가장 잘 변별해주는 문항은 한미 두 나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MMPI-2의 기본척도의 요인분석결과 3, 4 요인 구조에서 한국남녀의 요인구조는 미국남녀의 요인구조보다 훨씬 더 유사했다. 한국 MMPI-2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는 미국 자료와 상당히 일치했다. 임상척도와 배우자 평가지 문항의 상관도는 MMPI-2의 외적타당도를 입증해주는 중요한 결과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판 MMPI-2가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서 쓰일 수 있는 예비증거를 제시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표지연,박중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1

        The results of 463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PGE) scale, Additionally the way of coping checklist and the subjective happiness(SH) scale,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We analyzed what was most influential on subjective happiness among PG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gender, and then whether emotional relaxation,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SH, mediates the effect of PGE on SH. In the results that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PG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oping strateg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GE and SH also presented a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stress coping strategy and S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emotional relaxation and hopeful thou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mal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er SH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ported a higher tendency to seek help and use hopeful thinking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Third, emotional relax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SH among PG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gende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GE and SH, emotional relaxation had a nega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perceived PGE affects SH, and emotional relaxation i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has a negative effect on SH.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심리적 성장환경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총 4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성장환경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심리적 성장환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수준,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심리적 성장환경과 행복감 역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와 소망적 사고가 행복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각 요인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행복감을 유의하게 높게 보고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조력추구, 소망적 사고는 여자 대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보고하였다. 심리적 성장환경,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각 하위요인 그리고 성별 중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였으며, 정서적 완화는 심리적 성장환경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정적으로 부분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개인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정서적 완화방식은 행복감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서울심리지원센터 내담자들의 상담경험 질적 연구

        한영주,김수진,조용래,조성근,김영한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본 연구는 서울심리지원센터 심리상담서비스를 경험한 실수요자들의 상담경험을 더욱 세밀하고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심리상담을 진행해 온 3개 권역(동남, 동북, 서남)의 서울심리지원센터에서 상담을 종결한 내담자들 5명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9개의 하위 범주, 13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서울심리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내담자들은 ‘보이지 않는 고통에서 찾은출구’로서 상담을 시작하였고, 상담과정에서 ‘그냥 나로 존재하며 회복되는 안전한 공간’을경험하였으며, 상담 이후 ‘고통의 감소와 높아진 삶의 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공공 심리지원서비스 전달체계로서 서울심리지원센터의 실제 경험과 성과,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clients who had completed counseling at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lients from three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s (East-Southern, East-Northern, West-Southern) to gain insights into their counseling experience. The interviews along with inductive analyses revealed that the clients sought counseling in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s as the final exit from their invisible emotional distress.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they found a safety haven for self-exploration and recovery, leading to a noticeable reduction in their emotional distress and an enhancement in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ublic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Korea, highlighting how these insights can guide the future direction of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s.

      • KCI등재

        병원 현장에서 사용되는 종합심리검사의 구성 및 활용 실태: 건강보험 수가 산출 구조에 기반한 논의

        유수현,권윤나,이연주,최승원 한국임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8 No.3

        본 연구는 병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심리평가 배터리의 구성과 그 활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병원에서 근무 중인 101명의 임상심리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배터리에 포함되어 있는 검사는 약 8-14가지이고, 1주일을 기준으로 시행되는 심리평가 배터리의 평균 개수는 약 12.7개로 나타났다. 병원 현장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는 성인 종합심리평가의 평균 소요시간은 약 539.3분(약 9시간)으로, 실시에 약 207.4분(3시간 27.4분), 채점 및 보고서 작성에 약 256.8분(4시간 16.8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평가를 실시하는 시간보다 채점과 보고서 작성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검사의 낮은 수가가 현행 심리평가 실태의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논의에서는 건강보험 수가 산출 구조에 기반한 심리평가 실태 문제점의 원인 파악과,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해결 방안으로는 면담, 채점, 보고서 작성 등 각각의 행위에 대한 보험 수가 마련과, 새롭고 다양한 평가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를 통한 검사 도구 자체의 개선 등이 있었다.

      • KCI등재

        임상심리 관련 자격증 소지자들의 보수교육 욕구조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을 중심으로

        이동주,최승원 한국임상심리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9 No.1

        1995년 12월 최초로 제정된 정신보건법이 2016년 정신건강복지법으로 개정되면서 보수교육 의무조항이 최초로 신설되었다. 보수교육은자격 취득 이후에도 전문성 유지 및 향상과 환자 및 내담자에게 제공하는 정신건강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히 이러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직업인 정신건건강전문요원에게는 필수적인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보수교육은 타직역에 비해 교육의 질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의 근간이 되는 실태조사나 욕구조사에 대한 연구 및 논문이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보수교육의 운영과 교육참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증 소지자 5인과 Focus Group Interview 형태로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의 전반적인 운영 사항, 특히 실무에도움이 되지 않거나 현실과 동떨어진 제한된 교육내용이 가장 시급한 개선사항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교육 참여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영을위하여온라인교육활성화, 교육미이수자에대한행정처벌등의여러의견이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심리서비스 관련 민간자격 현황 연구

        홍은택,김현진,박수현,최기홍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3

        근거-기반 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EBP)의 세 가지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심리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성이다. 근거-기반 심리서비스의 질을 좌우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성을 규정할 수 있는 자격요건이다. 한국의 경우, 심리서비스 관련으로 등록된 민간자격의 수가 3천개 이상으로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민간자격은 혼란을 야기하며 국민들이 비전문적이고 비윤리적인 심리서비스에 노출될 위험을 높인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심리서비스 관련 민간자격에 대한 공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격에 명시된 심리서비스 유형, 제공 대상 및 요구되는취득 요건 등 구체적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국내의 심리서비스 관련 민간 자격의 취득 요건을 해외 심리서비스 자격요건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심리서비스 관련 민간자격은 심리치료/상담 이외에도 다양한 심리서비스 영역을 직무영역에 포함하였으며, 상당수가정신질환자 및 아동 등 취약군을 서비스대상자로 명시하였다. 또한 국내 대다수의 심리서비스 민간자격의 교육 및 수련시간 등 자격요건이 해외의 법령으로 규정된 심리전문가에 비해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제 수준의 심리전문가 요건을 충족하는 민간자격과 그렇지 못한 자격을 구별하고,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전문 심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자격을 규제하고 관련 법을 제정하는 것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One of the three key elements of evidence-based practice (EBP) includes the expertise of psychological service providers. The qualifications that define these service providers determine the quality of evidence-based psychological services. In Korea, numerous private psychological service qualifications have been inadequately regulated, leading to the provision of non-professional and unethical psychological services to the public.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ivate psychological service qualifications in Korea, analyze their specifics including service types and training requirements and compare their regulatory status and prerequisites with those in other countri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qualifications in South Korea encompass a range of psychological services extending beyond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nd are designed to provide psychological services to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children an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es. However, most psychological service qualifications in Korea were found to specify insu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requirements, as compared to those regulated in other countr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urgent need for the legal regul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s and the formulation of comprehensive legislation for psychological services with the context of Korean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