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교육전문가를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 개발

        김근향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숲)과 사람(방문객)을 매개하는 연결자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에서 자신의 감각과 정서를 자각하고 명명하며 자연 관련 기억과 자연탐구지능을 발굴하여 자연에서 몰입하고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의미있는 생활의 3개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고안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완한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한 교육을 산림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으로 시행하고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해도와 활용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연탐구역량을 정서, 인지, 실천의 3개 영역의 심리학적 개념으로 구성한 교육과정을 완성하였다. 향후 지속적 평가를 통해 본 교육과정을 발전시켜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탐구 역량을 강화하여 향상된 산림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sychology-based naturalistic competency curriculum so that forest-related experts could fully play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nature(forest) and human(visitors). The curriculum was designed in three parts: a pleasant life, a wise life, and a meaningful life. Contents were focused on recognizing and naming one's senses and emotions in nature, discovering nature-related memories and Naturalistic Intelligence, experiencing the flow in nature and activating the Default Mode Network. The curriculum supplemented by expert‘s advice was implemented as job training for forest-related experts, and the curriculum was finally revised by examining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curriculum in three areas of emotion, cognition, and practice was completed. It is expected that this curriculum will be upgraded through evaluation in the future so that forest-related experts can provide more qualitative service by strengthening their naturalistic competency.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의 우울 및 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머양식의 조절효과

        김근향,조영은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전통적으로 유머는 정신건강의 지표로 여겨졌으나 유머양식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기능을 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어 유머의 양식과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유머의 역할 중에서도 정신병리로 인한 정신적 웰빙 저하에 대한 완충효과에 주목했고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에게 흔한 증상인 우울과 불 안이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데 어떤 양식의 유머가 완충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01명 환자들 의 유머양식, 삶의 만족도, 우울, 불안 자료를 상관분석한 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유머양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했 다. 그 결과, 자기고양적 유머가 우울과 불안 모두에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졌고 친화적 유머는 우울 과만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에게 긍정적 유머가 우울과 불안 증상으로 인한 정신 적 웰빙 저하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을 고양시키는 유머 사용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 적임이 시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비록 정신병리를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라 할지라도 긍정적 유머를 사용함으로써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의미에서의 적응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Conventionally, humor has been regarded as an indicator of mental health, but several researchers has proposed that the effects of humor in mental health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humor styles. Therefore, further studies about humor style and the effect of humor are worthwhile. In the present study, we shall pay attention to buffering effect of humor on a decline in mental health. we attempted to identify weather the buffering effect of humor is different depending on humor styles in psychiatric patients. For this purpose correlation analysis on humor style,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carried ou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analyse moderating effect of humor style. Consequently, self-enhancing humor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both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affiliative humor has 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with only depression.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positive humor can work as a protective factor on a decline in mental health, and using self-enhancing humor is effective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t might have a convergent meaning on adaptation that psychiatric patients could have a good adaptation(by using positive humor) in real world.

      • KCI등재

        범불안장애의 근거기반심리치료

        김근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6 No.4

        본 논문의 목적은 GAD의 국내외 최근 심리치료 관련 연구들을 개관하고 그에 따라 근거기반 심리치료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병리적 걱정과 범불안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GAD는 다른 정신장애와 공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불안장애군 중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과 더불어 연구도 적었다. 해외에서는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pplied Relaxation (AR), Psychodynamic Therapy (PDT), Meta-cognitive Therapy (MCT), Mindfulness-based Therapy (MBT), Worry Exposure (WE) 등이 적용되어 왔고 그 중 CBT (strong), AR (modest)은 그 효과성이 경험적으로 지지되는 수준이었으며 MBT는 실험적 수준으로 그 효과성에 대해 확정하기가 곤란하였다. 국내에서는 심리치료의 종류와는 별개로 GAD 심리치료 효과성을 검증한 논문이 미미하여 근거기반의수준을 상정하는 것조차 불가하였다. 대신 국내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GAD 관련 요인들(예, IU 등)에 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어 향후GAD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선통제(RCT)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러한 자료가 누적되면 근거기반의 수준을 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GAD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자 웹 및 앱 프로그램과 유용 사이트 등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GAD에 대한 근거기반 심리치료의 최종 권고안을 제안한 후 GAD 및 GAD 심리치료의 적용 및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떤 성격의 사람이 권태에 취약할까? - 내적/외적 권태성향과 HEXACO 6요인 성격특성의 관계 -

        김근향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권태성향과 성격(HEXACO 모형)의 6가지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어떤 성격 특성이 권태에 취약한지를 탐색하였다. 대학생 16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외향성, 개방성, 성실성은 내적 권태성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고 3개 요인의 설명변량은 약 50%였다. 정직/겸손성, 외향성, 원만성은 외적 권태성향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고 3개 요인의 설명변량은 약 22%였다. 외향성은 두 권태성향 모두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 반면, 정서성은 어느 권태성향과도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상호독립적인 내적/외적 권태성향이 HEXACO 성격모형의 6개 성격요인과 어떤 차별적인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봄으로써 권태성향의 속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높였고 향후 권태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범불안장애의 진단과 심리학적 평가

        김근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2 신경정신의학 Vol.51 No.1

        Of the anxiety disorders which may be identified in a clinical sett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has often been overlooked for several reasons : 1) its unremarkable place in the diagnostic hierarchy, 2) relationship to excessive anxiety and worry, and 3) comorbidity with other mental disorders which may take clinical precedence. However, clinicians should be attentive to the clinical signs leading to a diagnosis of GAD. This paper reviewed the availability of reliable assessment tools to help clinicians diagnose and assess GAD. First, diagnostic interview tools targeting GAD were introduced. Then, the tools for assessing worry (intensity/frequency/topic), factors associated with its maintenance (cognitive avoidanc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ools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severity/aspects), comorbid condi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were reviewed. Lastly, cultural and developmental aspects related to GAD were addressed. The considerations included in this report were summarized in a flow chart and table that are practically useful in the diagnoses and assessment of GAD. Thus, this review provided guidelines for clinicians in the Korean psychiatric setting to enable appropriate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of GAD. GAD는 정신장애 분류의 진단적 위계, GAD 진단의 핵심인 과도한 불안과 걱정의 개념 및 정의, 동반되는 다른 질환과의 관계 문제 등으로 인해 임상장면에서 충분히 주의를 받아오지 못하다가 최근 관련된 이슈들이 다루어지고 GAD 진단과 관련된 문제들을 보완하고자 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최근 GAD에 대한 여러 약물치료의 효과 또한 입증되고있다. 국내에서도 GAD 약물치료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등관심이 확대되고 체계적인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본고에서는 GAD 진단과 이를 위한 심리학적 평가에서중점으로 다루어야 할 점들과 현재 국내에서 가용한 GAD 평가도구들을 개관하였다. 이와 같은 개관이 GAD 환자의 조기선별 및 진단적 평가 그리고 여러 가지 면에서 이질적인 증상과 특성들을 지닌 GAD 환자들을 다룰 때 치료적 초점을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도움을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AD의 정확한 진단과 면밀한 심리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GAD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또한 기대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 분야에 영성을 적용하기 위한 제언

        김근향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propose several issues of spirituality for the clinicians who try to apply spiritual elements in the mental health field. At first, spirituality was compared with religiousness a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and its components were illuminated. Next, the main scales of spirituality were introduced and the considerations with regard to measuring spirituality were addressed. Then, two main mental health models(Medical/Disease Model, Positive Mental Heath Model) were explained an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pirituality were addressed. Based on these respects, a few considerations about spirituality which should be pay attention in the mental health field were proposed. 본고의 목적은 그 동안 정신건강 분야에서 간과되어 왔던 영성을 조명하고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해 개관함으로써 심리학자를 비롯한 정신건강전문가들이 정신건강 분야에서 내담자와 환자들을 위해 영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성을 종교성과 비교하고 영성의 구성요소를 살펴봄으로써 영성의 개념을 파악하였고 영성측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함께 측정도구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대별되는 2가지 주요 정신건강 모델(의학/질병 모델과 긍정적 정신건강 모델)을 통해 정신건강의 개념을 살펴본 뒤,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내용들을 바탕으로 정신건강전문가들이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영성을 활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본고를 통해 정신건강 영역에서의 영성과 그와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국내에서도 그와 관련된 연구와 개입의 시행이 보다 풍부해질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청소년의 적응문제에 대한 기질 및 성격 차원의 영향

        김근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2 No.2

        I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and temperament/character in adolescents was examined according to diagnos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clinical samples or in non-clinical sam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ment/character for adaptive problems in psychiatric adolescents.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with regard to complaints, diagnoses, progress, and prognoses etc.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tween MMPI-A content scales(A-aln, A-con, A-las, A-fam, A-sch) and the JTCI 12-18 sub-scale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of achievement level, and school problems to Self- Directedness. However alienation, social relational problems such as conflict with parents, and school problem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Harm-Avoidance. These results should be replicated with larger samples.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with regard to examination of the features of psychiatric adolescents' temperament/character focusing on adaption not only on psychopathology.

      • KCI등재

        능력모델에 근거한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정서 지능 : 수행기반 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의 융합적 사용

        김근향,박주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병리를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의 정서 지능의 특징을 능력 모델에 근거 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가지 대별되는 정서 지능 측정치 즉, 수행기반 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 결과를 비교했다. 자기보고가 가능한 환자들 중 정신증 유무로 구분(각 30명, 32명)하여 전체 지능지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두 집단의 정서 교양 검사(수행기반)와 특성 메타-기분 척도(자기보고식) 점수를 독립 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증적 집단이 비-정신증적 집단에 비해 수행기반 정서 지능 측정치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낮은 반면,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된 정서 지능 측정치는 반대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불일치는 정서 지능 측정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정신병리를 겪는 환자들의 정서지능을 평가할 경우에는 수행기반 검사 와 자기보고식 검사의 융합적 사용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feat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EI) in psychiatric patients in terms of the ability model. EI scores of patients, measured by performance-based test and self-report inventory, was compared. The scores of performance-based test(Emotional Literacy Test) and self-report inventory(Trait Meta-Mmood Scale) of patients(30 with psychotic symptoms, 32 without psychotic symptoms) who had a appropriate literacy were analyzed by means of independent t-test.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Q between two groups. Our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tic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EI in performance-based test than non-psychotic group. In contrast, non-psychotic group showed lower EI in self-report inventory than psychotic group. This inconsistent results might be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s in method of measurement. Thu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may be important to adopt a convergent using of both performance-based test and self-report inventory while assessing EI of patients with psychopathology.

      • KCI등재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한 지적장애 판정에서 지능지수 및 사회성숙지수 산출의 문제점

        김근향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본고에서는 지적장애 판정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심리평가에서 지능지수 및 사회성숙지수 산출의 문제점을 논의하여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향후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지능지수의 산출에서는 첫째, 사용되는 지능검사의 종류(동일한 검사의 다른 버전)에 따라 동일대상에서 지능지수가 다르게 산출되는 점, 둘째, 특정 연령대에 적용할 수 있는 지능검사의 종류가 다양하여 지능지수가 다르게 산출되는 점, 셋째, 산출되는 지능지수의 세분화 부족 및 고령자 규준 부재 등과 같은 규준자료 관련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사회성숙지수 산출에서는 지적장애 판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회성숙도 검사의 사회지수 산출에서 30세 이상 연령에서 적용하는 생활연령의 다양성 문제와 현재 사회성숙도 검사가 시대적 변화와 세대적 발전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적장애 판정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에서 장애인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국가재정으로 공적 부조와 연금을 지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판정 과정의 공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임상현장에서 지적장애 판정을 근거가 되는 심리평가를 담당하는 실무자인 심리학자들은 무자격자에 의한 검사시행 및 해석을 배제하고, 최신의 도구를 사용하되, 평가과정과 결과해석에서 발생하는 동일한 문제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합의를 도출하며, 관련 법 제정 및 개정에서 위와 같은 의견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국심리학회 및 임상심리학회와 같은 학계와 정신보건임상심리사협회 등의 관련 직능단체들이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review is aimed to discuss problems of calculating IQ & SQ in judgemen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pose further researches and tasks. In calculating IQ, we have often encountered problems that 1) same subjects got different quotient by various tools/versions 2) equal aged subjects got different quotient by different tools 3) IQ tests did not have norm for elderly(in K-WAIS, over 64) and unable to calculate specific IQ for persons with very low intellectual function(eg. K-WAIS cannot display less than IQ 45). Also, in calculating SQ, there were problems with applying arbitrary CA(Chronological Age) for persons older than 30 and using test items out of date. Fair judgemen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each individuals involved but also for public society because it is used to determine the beneficiary of disability pension. We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1) psychological evaluation by licensed clinicians 2) consensus among psychologist about IQ/SQ calculation 3) active trial to reflect psychologist's opinion in legisla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우울장애 환자군의 기질 및 성격적 특성

        김근향,이은선,성기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its of depressive patients with Cloninger's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Specifically, based on the two concepts of vulnerable temperament and immature character proposed by Cloninger, 175 heterogeneous depressiv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e., adaptive, vulnerable temperament, immature character, and complex vulnerability group. Following four factors were measured as the indices of level of adaptation-rates of comorbid personality or anxiety disorders, and symptom severity of depression (HAM-D) and anxiety (HAM-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group differences in rates of comorbid disorders; and multivariate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ymptom severity of depression, anxiety and the scores of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and self-transcendence among the four group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ate of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but the immature character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comorbid anxiety disorder. Secondly, depression sever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but anxiety severity had the lowest score in the adaptive group. Thirdly, vulnerable tempera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emperament scales of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and on character scale of self-transcendence, as compared to the complex vulnerability group. The results need further confirmation in more controlled samples. However,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daptive character on psychological adaptation regardless of vulnerable temperaments, and its consequent role in the management of character factors in interventions for depressive disorders. 본 연구에서는 Cloninger(1994)의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를 이용하여 성격(personality) 특성에 따른 우울장애 환자군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Cloninger가 제시한 취약기질 및 미성숙성격의 개념에 근거하여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175명의 우울장애군 환자를 적응, 취약기질, 미성숙성격, 복합취약성의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환자들의 심리적 특성 및 적응 수준의 척도로서 기타 기질 및 성격 특성, 우울 및 불안 심각도(HAM-D, HAM-A)의 집단 간 차이는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불안장애 및 성격장애 공병 비율의 집단 간 차이는 Χ2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네 집단 간 성격장애 공병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불안장애 공병율은 미성숙성격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취약기질 집단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더불어 우울 심각도에서는 네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불안 심각도에서는 적응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자기초월 척도에 있어서는 취약기질집단이 미성숙성격 혹은 복합취약성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적으로 통제된 집단 및 종단적 연구를 통해 반복검증될 필요가 있으나, 우울장애군에서 취약한 기질의 보유여부보다는 성숙한 성격의 유무가 심리적 적응의 수준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일 가능성이 시사되어, 우울장애 치료에 있어 후천적인 성격 특성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